IT 정보

3GPP Rel-15 ~ Rel-18에 따른 5G Core NF(Network Function) 종류와 진화

aiproductmanager 2025. 4. 30. 20:47
728x90
반응형
 

아래는 3GPP Rel-15 ~ Rel-18에 따른 5G Core NF(Network Function) 종류와 진화 사항을 표 형식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표] 3GPP Rel-15 ~ Rel-18 기준 5G Core NF (Network Function) 정리

 

📘 3GPP Release 15: 5G Core 기본 구조

No NF 명칭 주요 기능 NF별 상세 내용 링크
1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UE 접속 및 이동성 관리, 인증 처리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45
2 SMF Session Management Function PDU 세션 관리, IP 주소 할당, UPF 제어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46
3 UPF User Plane Function 사용자 데이터 포워딩, QoS 처리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47
4 PCF Policy Control Function 정책 및 QoS 결정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48
5 UDM Unified Data Management 가입자 데이터 관리, 인증 정보 제공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49
6 AUSF 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 인증 절차 수행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50
7 NRF NF Repository Function NF 등록 및 검색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51
8 NEF Network Exposure Function 외부 애플리케이션에 네트워크 기능 노출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52
9 NSSF Network Slice Selection Function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지원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53
10 UDR Unified Data Repository 가입자 데이터 저장소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54
11 BSF Binding Support Function IP 주소와 정책 간 바인딩 관리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55
12 AF Application Function 서비스 정책 요청 및 QoS 요청 처리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56
13 CHF Charging Function 과금 정보 생성 및 전달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57
14 SMSF SMS Function SMS over NAS를 지원하는 5GC 내 SMS 처리 기능
IMS/VoNR 없이도 메시지 수신 가능
 NAS + IMS 연동 가능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80
15 N3IWF Non-3GPP InterWorking Function Wi-Fi 또는 기타 비-3GPP 접속 단말이 5GC에 접속할 수 있도록 IPsec 기반 IKEv2 터널을 지원
기업망/집에서의 5G 접속을 가능하게 함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78
16 LMF Location Management Function 위치 측정 기능 (Rel-15 도입), 정밀도 강화 (Rel-18: sub-meter, Edge-LMF)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81
17 GMLC 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 LMF 연동 게이트웨이 (Rel-15 도입), NEF/API 노출 (Rel-17+), 긴급위치 강화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82
18 TNGF Trusted Non-3GPP Gateway Function 보안된 Wi-Fi 단말을 5GC에 연결 (Rel-15부터 도입)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83

📗 3GPP Release 16: 기능 확장 및 보안 강화

  NF 명칭 주요 기능 NF별 상세 내용 링크
19 NWDAF 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 네트워크 데이터 분석 및 예측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58
20 SEPP Security Edge Protection Proxy PLMN 간 보안 통신 중계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59
21 EASDF Enhanced Application Support for Data Function 비주기적 데이터 수신 지원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60
22 5G LAN-type Service Support NF 5G LAN 서비스 지원 그룹 통신 및 프라이빗 LAN 기능 지원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61
23 Enhanced NEF 강화된 NEF 메시지 브로커 및 IoT 트리거 기능 확장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62
24 SCP Service Communication Proxy SBA 메시지 흐름을 최적화
NF 간 통신을 프록시 형태로 라우팅
NF Discovery/Retry/Failover 지원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79
25 W-AGF Wireline Access Gateway Function FTTH 등 고정망 접속을 5GC에 연계 (Rel-16 최초 도입, Rel-18은 슬라이스 기반 강화)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84
26 TSNAF TSN Adaptation Function TSN ↔ 5G 트래픽 매핑 및 시간정렬 (Rel-16 도입, Rel-18에서 MEC/로봇 연동 강화)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93

📙 3GPP Release 17: AI 기반 분석 및 멀티캐스트 지원

  NF 명칭 주요 기능 NF별 상세 내용 링크
27 SIDF Subscriber Identity De-pseudonymization Function 가상 IMSI 복호화 및 개인정보 보호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63
28 MB-SMF / MB-UPF Multicast/Broadcast Session/User Plane Function 5G 방송/멀티캐스트 세션 및 데이터 처리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64
29 NWDAF 강화 강화된 NWDAF AI 기반 정책 조정 및 예측 기반 슬라이싱 제어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65
30 DN-Aware UPF Data Network 인식 UPF 데이터 네트워크별 인식 및 처리 기능 강화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66
31 PCF/NEF 연동 강화 정책 기반 서비스 노출 및 조정 기능 고도화 atis.org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67
32 MBSTF Multicast-Broadcast Services Transmission Function 5G MBS 사용자면 전송 담당 기능
- SFN 지원
- 대규모 UE 동시 전송
- Multicast over NR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94
33 MBSF Multicast-Broadcast Session Function 세션 제어 기능 (생성/삭제/UE 그룹 관리)
- 정책기반 MBS 구성
- NEF/API 연동 세션 제어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95
34 TWIF Trusted WLAN Interworking Function) TNGF 경량화 버전 (Rel-17 도입), 가정/기업 Wi-Fi 연동 간소화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85
35 UCMF User Consent Management Function 위치정보/API 노출 동의 제어 기능 (Rel-17), 조건부 동의 및 만료 제어 (Rel-18)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86
36 AAnF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Function NEF/API 연동 외부 서비스 인증 (Rel-17), OAuth2, Scope 제어 등 강화 (Rel-18)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87
37 TSCTSF TSC Time Sync Function 정밀 시간 동기화 제공 (Rel-17), 산업용 sub-microsecond 대응 (Rel-18)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91

📕 3GPP Release 18: 초지능형 자동화 및 위성 통신 지원

  NF 명칭 주요 기능 NF별 상세 내용 링크
38 EAS Edge Application Server MEC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간 통신 지원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68
39 NWDAF v3 고도화된 NWDAF 예측, 최적화, 반영의 자동화 사이클 지원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69
40 TSC-SMF/UPF Time Sensitive Communication SMF/UPF 초저지연 통신 지원 (산업용)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70
41 NTN-SMF/UPF/AMF Non-Terrestrial Network SMF/UPF/AMF 위성 통신 등 비지상망 지원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71
42 LADN-Dedicated NF Local Area Data Network 전용 NF 지역 데이터 네트워크 지원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72
43 MF-NRF Multi-Federation NRF 복수 PLMN의 NF 연동 지원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73
44 SNPF Slicing Policy Function 슬라이스별 정책 최적화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74
45 UPF Selection Enhancer UPF 선택 강화 기능 Edge/Cloud UPF 동적 선택 및 최적화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75
46 SSMF Secondary SMF Dual SMF 구성 지원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76
47 Edge Enabler Function 에지 활성화 기능 MEC 애플리케이션 간 연동 및 라우팅 관리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77
48 NSWOF Network Slice-specific WoF 슬라이스별 인증/인가 기능 (Rel-18 도입), B2B망 보안 분리 대응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88
49 NSSAAF Network Slice Specific Auth & Authz Function 슬라이스 단위 인증·인가 정책 (Rel-18), 공공망·민간망 분리 대응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89
50 NSACF Network Slice Admission Control Function 슬라이스 접속 허용/거부 판단 기능 (Rel-18 도입) https://aiproductmanager.tistory.com/790

📊 요약: Release별 NF 진화

Release 주요 추가/강화된 NF
Rel-15 AMF, SMF, UPF, PCF, UDM, AUSF, NRF, NEF, NSSF, UDR, BSF, AF, CHF
Rel-16 NWDAF, SEPP, EASDF, 5G LAN-type Service Support NF, Enhanced NEF
Rel-17 SIDF, MB-SMF/UPF, 강화된 NWDAF, DN-Aware UPF, PCF/NEF 연동 강화
Rel-18 EAS, NWDAF v3, TSC-SMF/UPF, NTN-SMF/UPF/AMF, LADN-Dedicated NF, MF-NRF, SNPF, UPF Selection Enhancer, SSMF, Edge Enabler Function

이러한 NF들의 진화는 5G 네트워크의 기능 확장, 보안 강화, AI 기반 자동화, 초저지연 통신, 위성 통신 지원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발전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더 자세한 기술 사양은 3GPP의 공식 문서인 TS 23.501 및 관련 문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ETSI+2ETSI+2ETSI+2

 

출처
 

 


[표] 4G EPC vs 5G Core NF 매핑 및 진화 비교

4G EPC 기능 (장비) 5G Core NF기능   진화 설명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AMF (Access &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접속/이동성 관리는 AMF로 이관되며, NAS 보안/이동성 중심 역할만 수행 (세션 제어는 SMF로 분리됨)
SGW (Serving Gateway) UPF (User Plane Function) 사용자 트래픽 처리 기능만 남겨 UPF로 재구성. SGi 인터페이스는 N6로 대체됨
PGW (PDN Gateway) SMF + UPF 세션 제어(SMF)와 사용자 트래픽 처리(UPF)로 분리. 5G에서는 세션 제어와 데이터 처리를 분리하여 확장성 강화
PCRF (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PCF (Policy Control Function) 정책·QoS 관리 기능은 동일하되, 서비스 기반 아키텍처(SBA) 기반으로 재설계
HSS (Home Subscriber Server) UDM (Unified Data Management) + AUSF 가입자 데이터 관리(UDM)와 인증 수행(AUSF)으로 분리됨. RESTful API 기반 인터페이스 채택
OCS / OFCS (Charging) CHF (Charging Function) 과금 기능은 SBA 기반의 CHF로 통합. 통합형 오프라인/온라인 과금 지원
SPR (Subscription Profile Repository) UDR (Unified Data Repository) 가입자 데이터 저장소로 역할 동일하지만, 여러 NF(UDM, PCF 등)가 공유하는 구조로 개선됨
PCRF <-> AF PCF <-> AF QoS 요청, 트래픽 관리 요청은 4G와 유사하나, NEF를 통해 외부 API 호출도 가능
Diameter Routing Agent (DRA) NRF (NF Repository Function) Diameter 기반 라우팅이 아닌, RESTful 기반의 NF 등록/발견 기능(NRF) 제공
SGi 인터페이스 (외부 데이터망 연결) N6 인터페이스 (UPF→DN) 동일한 기능이지만, N6는 MEC 및 다양한 데이터망 확장을 고려한 구조
없음 NEF (Network Exposure Function) 외부 앱에 네트워크 기능(API)을 안전하게 노출. 5G 신규 기능
없음 NSSF (Network Slice Selection Function) 슬라이스 선택 기능. 5G에서만 도입된 논리 분리 구조
없음 SEPP (Security Edge Protection Proxy) PLMN 간 통신 보안을 위한 보안 프록시. 5G에서 도입
없음 NWDAF (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 AI/ML 기반 네트워크 분석 기능. 5G Rel-16부터 도입

시각적 요약

기능 영역 4G 장비 (EPC) 5G NF (SBA 구조)
접속/이동성 관리 MME AMF
세션 제어 MME + PGW SMF
사용자 데이터 처리 SGW + PGW UPF
정책 및 과금 PCRF + OCS/OFCS PCF + CHF
가입자 데이터 HSS + SPR UDM + UDR + AUSF
NF 간 라우팅 DRA NRF
외부 앱 연동 없음 NEF
슬라이스 제어 없음 NSSF
보안 게이트웨이 없음 SEPP
네트워크 분석 없음 NWDAF

요약

  • 4G는 기능 통합형, 5G는 기능 분산 및 모듈화(SBA 구조)
  • 5G NF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설계가 가능하며, 슬라이싱/AI 기반 분석/오픈 API 노출 등 서비스 확장성이 뛰어남
  • 기존 4G 장비는 일부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로 5G NSA용 데이터 플레인 역할은 가능하지만, 5G Core SA 기능은 전면 재설계 필요

아래는 2G → 3G → 4G → 5G에 이르는 이동통신 세대별 Core Network 장비 및 기능 매핑표입니다.

기능 영역별로 어떤 장비들이 어떤 NF(Network Function)로 진화했는지를 한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표] 2G~5G Core 장비 및 NF 매핑 비교표

기능 영역 2G (GSM) 3G (UMTS) 4G (LTE) 5G (5GC) 설명
가입자 정보 관리 HLR (Home Location Register) HLR HSS (Home Subscriber Server) UDM (Unified Data Management) + UDR 가입자 인증/위치/서비스 프로필 관리
인증 서버 VLR/HLR 기반 VLR/HLR 기반 HSS 내 포함 AUSF (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 AKA 인증 분리, REST API화
접속 제어/이동성 MSC (Mobile Switching Center) MSC + SGSN MME (Mobility Mgmt Entity) AMF (Access & Mobility Mgmt Function) 접속관리, 위치 등록, 핸드오버
세션 제어 (데이터) GGSN GGSN + SGSN PGW + SGW SMF (Session Mgmt Function) PDU 세션 설정, 정책제어 분리
데이터 전송 (User Plane) - SGSN/GGSN SGW + PGW UPF (User Plane Function) 사용자 데이터 전달, QoS 관리
정책/과금 없음 (정적 과금 중심) - PCRF + OCS/OFCS PCF (Policy Control Function) + CHF 정책 결정, 과금 분리 및 자동화
데이터 저장소 HLR 내부 HLR 내부 SPR (Subscription Profile Repository) UDR (Unified Data Repository) NF 간 통합 데이터 저장소
라우팅/탐색 고정 구성 고정 구성 DRA (Diameter Routing Agent) NRF (NF Repository Function) SBA 구조 기반 서비스 디스커버리
외부 앱 연동 없음 없음 제한적 API NEF (Network Exposure Function) 외부 API 노출 및 제어 기능
슬라이스 선택 없음 없음 없음 NSSF (Network Slice Selection Function) 슬라이스 기반 논리 네트워크 선택
보안 게이트웨이 없음 없음 IPSec GW (non-standard) SEPP (Security Edge Protection Proxy) PLMN 간 보안 통신 처리
네트워크 분석 없음 없음 제한적 CDR 기반 NWDAF (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 AI 기반 트래픽 예측/분석
음성 제어 MSC MSC/CSCF IMS(Core)+SBC IMS + enhanced NEF 음성은 IMS 기반으로 진화, API 연동 강화

주요 진화 방향 요약

요소 진화 방향
기능 통합 → 분리 2G~3G는 하나의 장비가 여러 기능 수행 → 4G부터 Control-User Plane 분리(CUPS), 5G는 완전한 기능 모듈화(SBA)
프로토콜 MAP (SS7 기반) → Diameter (4G) → HTTP/2 + JSON (5G)
NF 구조 2G~3G: 장비 중심
확장성 제한적 (하드웨어 의존) → 유연한 VNF/CNF 가능 (5G는 서비스별 NF 선택 가능)

시각적 정리 예시

세대 접속 관리 세션 관리 정책/과금 데이터 전송 인증 외부 연동
2G MSC - - - HLR -
3G MSC + SGSN GGSN - GGSN HLR -
4G MME PGW + SGW PCRF + OCS PGW/SGW HSS 제한적 API
5G AMF SMF + UPF PCF + CHF UPF UDM + AUSF NEF + SEPP

결론

  • 2G/3G는 모놀리식 구조(장비 통합)
  • 4G는 기능 단위 분리 + EPC 아키텍처
  • 5G는 SBA(Service-Based Architecture) 기반의 NF 모듈화/클라우드 네이티브화

삼성전자나 통신사 입장에서는 기존 4G 장비를 기반으로 일부 User Plane은 재사용하되,
Core Control Plane은 신규 NF 중심으로 재구축해야 합니다.


**이동통신 세대별(2G~5G)**에서 **망운영 및 관리 시스템(OAM)**이 어떻게 발전했는지, 특히 OAM/NMS/EMS/OSS/BSS/FLAPS/OAK 등의 관점에서 기능 및 구조가 어떻게 진화했는지를 비교한 포괄적 매핑표입니다.


[표] 2G~5G 망운영 시스템(OAM) 진화 매핑 비교

구분 2G (GSM) 3G (UMTS) 4G (LTE) 5G (SA) 진화 요약
OAM (Operations, Admin & Maintenance) 벤더별 CLI 중심 장비 관리 EMS 중심의 GUI/CLI 병행 통합 NMS/EMS + OSS 연동 클라우드 기반 자동화 OAM (CBAM, ODA 등) 수작업 → GUI → 자동화 → 폐루프 지능형
EMS (Element Management System) NodeB/BSC 수준 장비 단위 관리 NodeB/RNC 단위 GUI 기반 관리 eNB/MME 등 EMS 중앙집중화 vCU/vDU, CNF 단위 EMS→CNF Manager 진화 장비 단위 → 모듈 단위 → 클라우드 단위
NMS (Network Management System) HLR/MSC 등 네트워크 구성 시각화 통합 망 관제 시스템 출현 EPC+RAN+IMS NMS 통합 대시보드 NMS+Cloud Orchestrator 통합, Intent 기반 물리망 시각화 → 논리망/서비스 기반
OSS (Operational Support System) 회선/자원 수작업 운영 회선+서비스 연동 자원+QoS+성능 관리 API화 Service Orchestration (TMF ODA) 수작업 → API 기반 → 서비스 자동화
BSS (Business Support System) 과금/청구 단위 처리 실시간 과금 시스템(CDR 기반) OCS/OFCS로 실시간 요금제 대응 SLA 기반 다중 사업자 과금/청구/계약 단순 청구 → 실시간 → 동적 계약/SLA
FLAPS (Fault, Config, Accounting, Performance, Security) 벤더 개별 처리 (CLI 등) EMS에서 기본 수집 통합 FCAPS + SNMP 기반 처리 FCAPS + gNMI/gRPC + AI 기반 폐루프 관리 수집 → 자동 분석/수정 (Closed-Loop)
OAK (OSS Assurance Kit) 개념 없음 (벤더 도구 의존) 일부 OSS 벤더에서 지원 OSS 통합 진단/모니터링 도구 AI 기반 Root Cause 분석 + RCA-RCA 자동 조치 장애 감지 → 예측/복구 자동화로 진화

각 요소별 5G에서의 핵심 변화 요약

요소5G에서의 변화 핵심

 

요소 5G에서의 변화 핵심
EMS 물리장비 → 컨테이너 단위 EMS, Kubernetes 기반 관리 연동
NMS SDN/Cloud 기반 NMS, Edge 포함 전체 네트워크 인벤토리 가시화
OSS TMF ODA 기반 Service/Resource Orchestration 통합, API-first 구조
BSS 슬라이스 단위 과금/계약 가능, CSP-MVNO-엔터프라이즈 요금 분리
FLAPS 폐루프 자동화 구현, AI 기반 네트워크 예측 및 실시간 리커버리
OAK AI Ops 기반 Root Cause/Impact 분석 및 자동 패치/회피 제어 연동

시각 요약 (운영 구조 진화 단계)

시대 관리 방식 운영 구조
2G CLI + 전담 인력 수작업 기반
3G EMS + NMS 분리 GUI/CLI 혼용, 장비별 관리
4G 통합 NMS + OSS 연동 EPC/IMS 등 서비스 레벨 가시화
5G ODA + 폐루프 자동화 NFV, CNF, 슬라이싱, AI Ops 기반 운영 최적화

결론

  • 망 관리 체계는 장비 중심에서 서비스 중심으로 진화 중
  • **5G에서는 AI 기반 지능형 폐루프 자동화(AI Closed-loop Automation)**가 핵심
  • OSS/BSS는 분리 → 통합 → 서비스 기반 계약/과금 모델로 확장
  • 5G에서는 EMS/NMS보다 오히려 ‘Cloud-native Infrastructure Management + Service Orchestration’이 중요

**SMO(Service Management and Orchestration)**를 포함하여,
2G ~ 5G 및 5G RIC 구조까지 포함한 전체 OAM/OSS 진화 비교표를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표] 2G ~ 5G+SMO 시대 망운영 시스템(OAM) 진화 비교 (EMS/NMS/OSS/BSS/FLAPS/OAK/SMO 포함)

영역 2G (GSM) 3G (UMTS) 4G (EPC) 5G (SA) 5G Advanced (SMO/RIC) 설명/특징
EMS
(Element Mgmt System)
BTS/BSC 단위 CLI/GUI 관리 NodeB/RNC 수준 장비별 GUI eNB/MME 단위 EMS vCU/vDU, CNF 단위 EMS → K8s 연동 SMO 하위 구성으로 흡수됨 장비 → 모듈화 → 컨테이너화
NMS
(Network Mgmt System)
물리 구성도 위주 관제 망 시각화 + 알람 집중화 EPC, IMS, RAN 통합 NMS 클라우드 중심 NMS, VNF/NF 인식 SMO에서 Non-RT RIC와 통합 전체 네트워크 슬라이스 기반 가시화
OSS
(Operational Support System)
수작업 회선 운영 OSS 플랫폼 일부 등장 API 기반 자원/QoS 관리 TMF ODA 기반 서비스 오케스트레이션 SMO와 통합되어 폐루프 제어 관여 수동 운영 → 정책 중심 자동화
BSS
(Business Support System)
청구 위주 실시간 과금 도입 OCS/OFCS 중심 실시간 과금 슬라이스 기반 과금·계약 분리 B2B/B2C 동적 SLA 기반 청구 오퍼레이터-MVNO-기업 분리 청구 대응
FLAPS
(FCAPS)
벤더 도구 기반 EMS 단위 통합 제공 SNMP 중심 통합 대시보드 gNMI/gRPC + AI 이벤트 분석 SMO에서 폐루프 제어 (AL/ML 기반) Fault/Perf를 정책 기반 자율처리로
OAK
(Assurance Kit)
없음 일부 OSS 벤더 제공 Root Cause 분석 모듈화 RCA + Impact 기반 분석 SMO에서 RCA + Policy-based Action 장애 감지 → 예측+자동 조치
SMO
(Service Mgmt & Orchestration)
없음 없음 없음 없음 5G RAN 도입 핵심 구조
- Near-RT RIC 제어
- Non-RT 정책 관리
rApps/xApps로 RAN 최적화 자동화

SMO란?

구성   요소설명
SMO Service Management and Orchestration, 5G RAN(특히 Open RAN)의 중앙 제어/운영 뇌
Non-RT RIC 정책 기반 RAN 제어, AI 모델 적용, 장기 최적화
Near-RT RIC 밀리초 단위 RAN 실시간 제어 (e.g. 핸드오버, 빔 포밍)
rApp/xApp SMO/RIC 위에서 돌아가는 기능 애플리케이션 (e.g. 자동셀최적화, 간섭제어 등)

진화 흐름 요약

시대 주요 구성 운영 방식 제어 중심
2G/3G EMS + NMS 수작업, 장비 중심 CLI/장비 단위 제어
4G EMS + OSS/BSS GUI + API 혼용 장비/서비스 병행
5G EMS + OAM + OSS + AI 클라우드/폐루프 기반 SLA/슬라이스 중심 제어
5G Advanced (2026~) SMO + RIC + xApp/rApp AI 기반 자동화/예측/정책 기반 운영 정책-실시간 분리 제어 (RIC 구조)

결론

  • 5G부터는 EMS/NMS 중심에서 SMO 중심으로 무게 중심 이동
  • 서비스 중심 + AI 기반 정책 폐루프 자동화 운영이 핵심
  • OAK/FLAPS는 더 이상 개별 시스템이 아닌 SMO 내 기능으로 통합
  • 삼성, 에릭슨, 노키아 등은 자체 SMO 플랫폼 (ex. Samsung SMO 플랫폼) 개발 중

**SMO(Service Management & Orchestration)**와 **OSS(Operational Support System)**를 구성하는 세부 분야별로 분류하여,
2G~5G 시대의 기능별 진화 방향과 역할 차이를 비교 분석한 심화 매핑표를 제공해드립니다.


[표] SMO & OSS 구성 세부 분야별 비교 (2G~5G/5G Advanced 기준)


세부 분야 2G/3G 시대 4G 시대 (EPC) 5G 시대 (SA) 5G Advanced/SMO 기반 주요 역할 및 진화 방향
1. FCAPS 관리
(Fault, Configuration, Accounting, Performance, Security)
CLI 수작업, 벤더별 툴 SNMP 기반 EMS/NMS 통합 대시보드 자동화 이벤트, Policy 기반 조치 가능 SMO 내 AI 기반 폐루프 처리 (FCAP→AIOps로 진화) 이벤트 감지 → 실시간 예측 및 자동 복구로 고도화
2. 인프라 자원 관리
(Inventory, Topology, Discovery)
BTS/BSC 수작업 등록 OSS에서 자동 탐색/구성 VNF/CNF 기반 동적 리소스 등록 SMO와 INF 관리 통합 (K8s 기반) 자원 탐지 → 동적 오케스트레이션 구조
3. 서비스 오케스트레이션
(Service Orchestrator)
없음 OSS/EMS 연계 API 기반 설정 TMF ODA 기반 Orchestrator 도입 SMO 내부 Service Orchestrator와 연동 단순 설정 → 슬라이스/서비스 자동 배포
4. 라이프사이클 관리
(LCM)
수명주기 없음 SW 업그레이드 위주 VNF LCM 가능 (e.g., VIM-NFV) CNF & rApp/xApp LCM 지원 배포 → 확장 → 축소 → 종료까지 자동화
5. SLA 관리
(SLA Monitoring & Enforcement)
단일 요금제 기반 계약 단순 QoS 등급별 SLA 슬라이스별 SLA 적용 B2B SLA 기반 가시화 + 위반 시 자동 보정 기업형 요금/SLA 기반 실시간 트래픽 제어
6. 정책 제어
(Policy Control/Decision)
고정 설정, 수동 제어 PCRF 기반 QoS 정책 PCF 중심 + AI 기반 정책 적용 Non-RT RIC에서 AI 기반 정책 연동 상황 예측 → 정책 자동 적용
7. 네트워크 슬라이싱 관리 없음 일부 MVNO용 APN 분리 NSSF+SMF 조합으로 슬라이스 구분 SMO 기반 슬라이스 생성, 수정, 삭제 지원 기업별 서비스 분리 및 SLA 제공 가능
8. 보안 정책/계정 관리
(Security & Identity)
장비 계정/ACL RADIUS/AAA/DIAMETER 기반 AUSF/UDM 기반 인증 구조 Zero Trust 기반 보안 관리 + Policy 연동 네트워크 보안 → 서비스/슬라이스별 보안
9. 모니터링/분석
(Telemetry, Analytics)
알람 모니터링 중심 SNMP 트랩, KPI 수집 gNMI/gRPC 기반 실시간 Telemetry NWDAF + SMO 내 AI 분석 자동화 KPI → 이벤트 → 인과관계 분석까지 자동화
10. 폐루프 자동화
(Closed-Loop Automation)
없음 수동 반복 작업 조건 기반 자동화 일부 Intent 기반 폐루프 제어 (SMO+RIC) AI 기반 목표 설정 → 실시간 정책 실행 및 조정

SMO와 OSS의 관계 요약

구분 OSS SMO
역할 전체 네트워크/서비스 운영 지원 (E2E) RAN 중심의 실시간 제어/운영 최적화
적용 범위 Core + RAN + Transport RAN 중심 (O-RAN 포함), 점점 Core 연동 중
구조 기반 TMF SID/ODA 기반 BSS/OSS 통합 구조 O-RAN WG6, ONAP/OSM 기반 통합 관리
기술스택 REST, SNMP, SOAP 등 혼합 K8s, Helm, gRPC, YANG, O1/O2 interface 등
지능화 수준 대부분 수동 정책 + 자동화 일부 AI/ML 기반 실시간 폐루프 운영 가능

결론

  • OSS는 전통적인 전체 운영 프레임워크
  • SMO는 5G 이후 RAN 자동화/지능화를 위한 차세대 중심
  • 각 세부 영역(FCAPS, SLA, LCM, 슬라이싱 등)이 기존 OSS 분산 구조 → SMO 통합 구조로 재편 중
  • 궁극적으로는 SMO+RIC가 OSS 일부 기능을 대체하고, AI Ops와 통합되어 자동운영 체계를 완성하게 될 것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