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는 **5G MBSTF (Multicast-Broadcast Services Transmission Function)**에 대한 3GPP Rel-17~18 기준 실무 중심 설명입니다.
✅ 1. MBSTF란?
**MBSTF (Multicast-Broadcast Services Transmission Function)**는
5G 네트워크에서 Multicast 또는 Broadcast 콘텐츠를 다수의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기능입니다.
이는 특히 **eMBMS(Enhanc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의 5G 확장 개념으로,
무선 자원을 공유하면서도 고품질 스트리밍이나 공공 경보, 대규모 이벤트 중계 등에 활용됩니다.
📌 쉽게 말해, 5G 네트워크에서 "한 번에 여러 단말에게 동일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전송 엔진입니다.
✅ 2. 포함 표준 릴리즈
릴리즈 | 포함 여부 | 주요 내용 |
Rel-17 | ✅ 포함 | - 5G multicast/broadcast 아키텍처 정의 - MBSTF 기능 도입 (TS 23.247 등) |
Rel-18 | ✅ 고도화 | - MB-IoT와 연계 가능 - 동기화 전송(SFN), 네트워크 슬라이스 기반 MB 서비스 지원 |
✅ 3. 주요 기능
기능 | 설명 |
MB 데이터 분배 | 동일 콘텐츠(예: 실시간 영상, 공공경보 등)를 다수의 UE에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 |
gNB 연동 | RAN에 효율적으로 분배할 수 있도록 gNB와 다중 경로 전송 연동 |
QoS 제어 | PCF 및 SMF 연동으로 멀티캐스트 세션의 우선순위 및 지연 설정 가능 |
Session 관리 | Multicast Session ID 할당, 그룹 단위로 관리 |
슬라이스 분리 | 방송용, 공공경보용 슬라이스를 별도로 운영 가능 |
✅ 4. 연동 구조 (Simplified)
↓
[gNB 1]—SFN 동기화—[gNB 2]
↓ ↓
[UE Group A] [UE Group B]
- MBSTF는 하나의 콘텐츠를 여러 gNB에 분배하여 다수 UE에게 동시 전송
- SFN(Single Frequency Network) 기반으로 지연 없는 동시 수신 가능
✅ 5. 실무 적용 사례
분야 | 설명 |
재난/공공 경보 | 특정 지역 단말에게 빠르게 경고 방송을 전송 (Cell Broadcast 또는 multicast 기반) |
스포츠 생중계 | 대규모 사용자에게 영상 스트리밍을 동시에 전달 (개별 unicast보다 효율적) |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 다수의 IoT 단말이나 차량에 OTA 소프트웨어 패치 전송 |
스마트 시티 정보 방송 | 특정 구역 내 모든 사용자에게 날씨/교통정보 실시간 제공 |
✅ 6. MBSTF vs 일반 unicast 방식
항목 | MBSTF (Multicast/Broadcast) | 일반 Unicast |
대상 | 다수 단말에게 동일 콘텐츠 | 1:1 개별 단말 |
효율성 | 무선 자원 공유로 트래픽 감소 | 트래픽 다중화로 망 부하 증가 |
사용 시나리오 | 방송/경보/OTA 등 | VoD, 개별 통화 등 |
전송 방식 | SFN 기반 동기화 가능 | 비동기 다중 경로 전송 |
✅ 7. Rel-18 고도화 포인트
항목 | 설명 |
MB-IoT 연계 | IoT 단말에게 OTA/명령 전달 시 multicast 방식으로 효율 전송 |
슬라이스 기반 MB 구성 | 방송 전용 Slice를 구성하여 미디어 사업자에게 전용 제공 가능 |
NWDAF 기반 수요 예측 | 트래픽 수요 증가 예상 시 자동으로 Multicast 전환 제안 |
세션 기반 흐름 제어 | MBSTF ↔ SMF ↔ UPF 간 트래픽 흐름 최적화 지원 |
✅ 실무 요약
항목 | 설명 |
역할 | 5G에서 다수 단말에게 효율적으로 동일 콘텐츠를 전송하는 전송 제어 기능 |
Rel-17 내용 | 기본 Multicast/Broadcast 기능 도입, MBSTF 정의 |
Rel-18 확장 | IoT, 슬라이스, SFN 기반 고정밀 전송 기능 강화 |
적용 대상 | 방송, 공공안전, 차량 OTA, 대규모 실시간 스트리밍 |
아래는 **5G MBSTF(Multicast-Broadcast Services Transmission Function)**을 **4G eMBMS(Enhanc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와 비교하여 연계 구조, 기능, 기술 진화 측면에서 정리한 표와 설명입니다.
✅ 5G MBSTF vs 4G eMBMS 비교 요약
항목 | 4G eMBMS | 5G MBSTF (Rel-17/18) | 📌 진화 방향 |
기능 이름 | eMBMS (Evolved MBMS) | MBSTF (Multicast-Broadcast Services Transmission Function) | 용어와 아키텍처 재정비 |
핵심 구성 요소 | BM-SC, MBMS-GW, MCE | MBSTF, MBS Session ID, MBS User Plane | 단순화 + SBA 기반 구조 |
전송 방식 | SFN (동기화 전송) 기반 LTE DL | SFN or unicast fallback in NR | SFN 고도화 + fallback 대응 |
전송 경로 | BM-SC → MBMS-GW → eNB | MBSTF → gNB → UE (via UPF optional) | UPF 경유 유연 전송 구조 |
QoS 제어 | QCI 기반 (고정 QoS) | 5QI 기반 (동적 QoS/슬라이스 기반) | Policy-based, NEF/PCF 연동 |
슬라이스 연동 | 없음 (전체망 단일 QoS) | 슬라이스 기반 Multicast 구성 가능 (S-NSSAI) | 방송 전용 Slice 구성 |
통신방식 | DL-only multicast | UL-triggered multicast, B2X 가능 | 차량/로봇 제어까지 확장 |
UE 지원 제약 | 별도 MBMS 모뎀 필요 | 일반 NR UE + MB-capable only | 단말 확대, Broadcast fallback 지원 |
서비스 예시 | 실시간 중계, 공공경보, 뉴스 앱 | 공공경보, 대용량 OTA, 미디어 스트리밍, IoT 다중제어 | 산업+공공+미디어 융합 |
✅ 구조 비교: 4G vs 5G 멀티캐스트 전송 흐름도
📡 4G eMBMS 구조:
↓
[MBMS-GW]
↓
[MCE] ↔ [eNB] → [UE Group]
🌐 5G MBSTF 구조:
↓
[MBSTF]
↓
[gNB 1] –SFN Sync– [gNB 2] → [UE Group]
↕
[UPF] (선택적)
- 5G는 BM-SC/MBMS-GW 없이 SBA 기반 MBSTF 단일 기능으로 통합
- 필요 시 UPF 경유 전송 가능 (QoS 보장, 로컬 MEC 활용)
- 슬라이스(S-NSSAI) 기반으로 방송망 분리 가능
✅ 진화된 기능 요약 (4G 대비 5G의 강점)
기능 항목 | 4G eMBMS | 5G MBSTF (진화점) |
동기화 송출 (SFN) | 지원 | 지원 + 타이밍 최적화 강화 |
Fallback 전송 | 불가능 (오직 multicast) | 가능 (unicast fallback 지원) |
슬라이스 분리 | 불가 | 가능 (Multicast Slice 따로 운영) |
IoT OTA 패치 | 제한적 | 가능 (대량 IoT 그룹 OTA 지원) |
공공안전 통신 연계 | 제한적 | 가능 (MCX 서비스와 연계 가능) |
UE 역방향 통신 연계 | 없음 | 일부 지원 (UL-triggered MB capability) |
✅ 실제 통신사 도입 시 고려 사항
항목 | 설명 |
기존 eMBMS 망이 존재할 경우 | MBSTF는 완전 대체 구조로, 기존 장비(BM-SC, MBMS-GW)는 폐지 가능 |
슬라이스 기반 OTT 방송 서비스 개발 시 | 5G MBSTF 기반 SLA 제공 가능 (QoS, 혼잡 방지) |
공공 경보 시스템(PPDR) 연동 시 | 긴급 알림 방송 슬라이스를 MBSTF + NWDAF + PCF 연계로 최적화 가능 |
✅ 실무 요약
항목 | 설명 |
4G 한계 | 정적 구조, 장비 중복, 슬라이스 미지원 |
5G MBSTF 진화 | 단순화 구조 + 유연 QoS + 슬라이스 분리 + MEC 연계 |
기술적 이점 | SFN 개선 + fallback + IoT/OTT 융합 방송 |
적용 분야 확대 | 스포츠 중계, 재난방송, IoT 제어, 스마트시티 알림 서비스 등 |
아래는 **5G MBSTF (Multicast-Broadcast Services Transmission Function)**과 **MBSF (Multicast-Broadcast Session Function)**가 각각 **3GPP의 어떤 릴리즈(Rel-15~Rel-19)**에 포함되는지에 대한 정리입니다.
✅ MBSTF / MBSF 릴리즈 포함표
기능명 | R15 | R16 | R17 | R18 | R19예정 | 📌 주요 설명 |
MBSTF | ❌ | ❌ | ✅ | ✅ | 🔄 고도화 중 | 5G MBS 사용자면 전송 담당 기능 - SFN 지원 - 대규모 UE 동시 전송 - Multicast over NR |
MBSF | ❌ | ❌ | ✅ | ✅ | 🔄 고도화 중 | 세션 제어 기능 (생성/삭제/UE 그룹 관리) - 정책기반 MBS 구성 - NEF/API 연동 세션 제어 |
✅ 세부 정리
✅ Rel-17 (최초 정의)
- TS 23.247 (5G System Support for MBS) 문서에서 MBSF, MBSTF 구조가 공식 정의
- Multicast/Broadcast 서비스가 필요해진 배경:
- 공공경보 (PPDR)
- e스포츠/콘서트 중계
- OTA 소프트웨어 배포
- IoT firmware multicast
✅ Rel-18 (기능 고도화)
- MBS 전용 슬라이스 (S-NSSAI) 지원
- MBSTF의 unicast fallback 기능 강화
- MBSF의 예약 기능, API 기반 외부 서비스 연동, NEF+PCF+SMF+NWDAF 통합 연계
- IoT OTA, 산업용 멀티캐스트 확장을 위한 정책 기반 세션 제어 강화
🔄 Rel-19 (예정/초안 기준)
- MBS mobility 강화 (handover 중에도 세션 유지)
- 대규모 IoT multicast broadcast 스케줄링 최적화
- QoS SLA 기반 MBS 다중 인스턴스 분기 지원
- 고정-이동 단말 혼합 multicast 전송(MBS-CAST)
✅ 요약
릴리즈 | 포함된 기능 |
Rel-17 | ✅ MBSF, MBSTF 최초 도입 (3GPP TS 23.247) |
Rel-18 | ✅ 슬라이스 연계, API 고도화, fallback 등 기능 확장 |
Rel-19 | 🔄 대규모 IoT·모빌리티 중심 MBS 기능 강화 예정 |
'IT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5G Core Network Functions (Rel 15-18) - 총 50개 NF 종합 (0) | 2025.05.01 |
---|---|
5G MBSF (Multicast-Broadcast Session Function) (0) | 2025.05.01 |
5G TSNAF (Time-Sensitive Networking Adaptation Function) (0) | 2025.05.01 |
5G TSCTSF (Time-Sensitive Communication Time Synchronization Function) (0) | 2025.05.01 |
5G NSACF (Network Slice Admission Control Function) (0) | 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