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SMF (Session Management Function)**에 대해 핵심 기능, 인터페이스, 구조, 진화를 체계적으로 정리해드립니다.
■ 5G SMF란?
**SMF (Session Management Function)**는 5G Core Network에서 PDU 세션의 생성, 관리, 해제를 담당하는 핵심 Control Plane NF(Network Function)입니다.
4G EPC의 PGW-C(Control Plane) 기능에서 진화하였으며, 사용자 데이터 처리를 담당하는 **UPF(User Plane Function)**와 분리되어 동작합니다.
■ SMF 주요 기능
기능 구분 | 상세 설명 |
PDU 세션 관리 | PDU 세션 생성, 수정, 해제 및 세션 ID 관리 |
IP 주소 할당 | UE에 IP 주소 할당 (IPv4/IPv6/DNN 기반) |
UPF 제어 | UPF 선택, QoS Flow 설정, TEID 설정 및 경로 관리 |
정책 적용 | PCF로부터 QoS/Charging Policy 수신 후 적용 |
Roaming 관리 | 홈/방문지 UPF 제어, DNN 기반 로컬 브레이크아웃 처리 |
슬라이스 인식 세션 제어 | S-NSSAI 기준으로 슬라이스별 세션 분리 관리 |
ULCL 설정 | UL Classifier 기능을 통한 MEC(Edge) 기반 트래픽 라우팅 |
법적 감청 지원 | LI(Lawful Interception) 관련 세션 트리거 및 보고 처리 |
■ 주요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 | 연결 대상 | 기능 |
N11 | AMF | Initial PDU 세션 요청 수신, UE context 동기화 |
N4 | UPF | Session Rule(PDR/FAR/QER) 전달, 트래픽 경로 설정 |
N7 | PCF | 정책 정보(QoS, Charging) 요청 및 수신 |
N10 | UDM | IP/DNN 관련 사용자 데이터 요청 |
N40 | CHF | 과금 정보 전달 (온라인/오프라인) |
Nnrf | NRF | 다른 NF 탐색 및 등록 |
N16 (옵션) | NEF | 서비스 기반 세션 노출 및 외부 QoS 제어 (e.g., V2X) |
■ 4G PGW-C vs 5G SMF
항목 | 4G PGW-C | 5G SMF |
세션/터널 관리 | O | O (더 세밀하게 제어됨) |
UP 제어 | S5-GTP 터널 설정 | N4 인터페이스로 세션 룰 제어 |
IP 할당 | O | O (IPv6 Prefix 포함 가능) |
정책/과금 연동 | Gx/Gy(Diameter) | N7/N40(HTTP/2 기반) |
로컬 브레이크아웃 | LBO 기능 있음 | DNN + ULCL 기반 MEC 최적화 |
구조 | MME/SGW/PGW 혼합 제어 | SMF-UPF 명확히 분리된 구조 |
인터페이스 | Diameter + GTP | RESTful + N4-GTP-C |
■ SMF 진화 (Rel-15~Rel-18 기준)
Release | SMF 관련 진화 |
Rel-15 | 기본 PDU 세션 관리 구조, AMF와 분리된 설계 |
Rel-16 | ULCL 기능, DNN 기반 Local Breakout 지원 |
Rel-17 | MB-UPF와의 Multicast/Broadcast Session 연동 |
Rel-18 | TSC(Time Sensitive Communication) 지원용 TSC-SMF, Edge-aware SMF 제어 최적화 |
■ SMF 배포 구조 예시
- Single SMF: 단일 SMF 인스턴스가 전체 세션 제어 (중소규모 네트워크)
- Dual SMF (SSMF/Primary SMF): Rel-18 이상에서 슬라이스 혹은 기능별 분산 제어 (예: TSC 전용 SMF)
■ SMF 구성 모듈 예시
- Session Manager
- N4 Agent (UPF 제어)
- IPAM (IP Address Manager)
- Policy Handler (N7 연동)
- Charging Module (N40 연동)
- ULCL Router Module (MEC 연동용)
(1) AMF↔SMF↔UPF Call Flow, (2) SMF 구성도 및 리소스 요구사항, (3) 슬라이싱 기반 SMF 분리 배치 전략 모두 아래에 심화 정리드립니다.
① AMF → SMF → UPF Call Flow (예: UE 초기 등록 + PDU 세션 수립)
시나리오: UE가 5G Core에 최초 접속하여 PDU 세션(IP 할당 포함)을 수립
│
├─N1: Registration Request──────────────▶
│ │
│ [AMF]
│ - UE 인증 요청 (N8 → UDM, N12 → AUSF)
│ - 슬라이스 선택 (N15 → NSSF)
│ - SMF 선택 (Nnrf)
│
├─N1: Registration Accept◀──────────────
│
├─N1: PDU Session Establishment Request─▶
│ │
│ [AMF]
│ - SMF에게 PDU 세션 요청 전달 (N11)
│
│ [SMF]
│ - UPF 선택 및 세션 Rule 생성
│ - Policy 적용 (N7 → PCF)
│ - IP 할당 (N10 → UDM)
│
├─N2: PDU Session Setup Request────────▶
│ (AMF → gNB)
│ │
│ [UPF]
│ - GTP-U 터널 설정 (N3 Interface)
│ - PDR/FAR/QER 생성
│
├─N2: PDU Session Setup Response◀───────
│
├─N1: PDU Session Establishment Accept◀
요약:
AMF는 접속과 NAS signaling만 처리하고,
실질적인 세션 제어/트래픽 경로는 SMF-UPF가 전담합니다.
② SMF 구성도 및 리소스 요구사항 (실제 구성 관점)
구성 블록 예시
| SMF Controller | ← REST API/CLI 관리
+----------------------+
| Session Mgmt Engine | ← PDU 세션 처리, IP 관리
+----------------------+
| N4 Handler | ← UPF 연동 (PDR/FAR 설정)
+----------------------+
| N11 Handler | ← AMF 연동 (세션 요청 수신)
+----------------------+
| N7 Handler | ← 정책 수신 (PCF)
+----------------------+
| N10/N40 Handler | ← IP/과금 연동
+----------------------+
| DB Cache / Context | ← UE Context, 세션 상태
+----------------------+
시스템 요구 사양 예시 (중대형 사업자 기준)
항목 | 일반 규모 (VM 기반) | 대용량 환경 (CNF 기반) |
CPU | 8~16 vCPU | 24~48 vCPU (코어 분리: N4 처리 전용) |
RAM | 16~64 GB | 128~256 GB |
Storage | 100~300 GB SSD | 500 GB 이상 (로그, 장애 복구 포함) |
Throughput | 20~50 Gbps | 100 Gbps 이상 |
HA 구성 | Active-Standby 또는 1+1 Hot-Standby | Kubernetes 기반 Horizontal Scaling |
③ 슬라이싱 기반 SMF 분리 배치 전략
구분 | 단일 SMF 구조 | 슬라이싱 기반 분리 구조 |
구성 | 하나의 SMF가 모든 슬라이스 처리 | 슬라이스마다 별도 SMF 또는 SSMF 배치 |
장점 | 단순 구축, 리소스 통합 | 보안 분리, 성능 보장, 슬라이스별 SLA 최적화 |
단점 | 트래픽 집중 시 성능 저하 가능 | 인프라 리소스 증가, 관리 복잡도 상승 |
적용 예시 | 일반 소비자용 모바일 슬라이스 | B2B 고객, MEC 슬라이스, URLLC 전용 슬라이스 등 |
Rel-18 기능 | - | SSMF(Secondary SMF) 기능으로 역할 분산 공식화 |
추천 구성 (대형 통신사 기준)
- eMBB용 슬라이스: Standard SMF
- URLLC용 슬라이스: 저지연 최적화 SMF
- MEC 슬라이스: Local SMF + Local UPF
- 분리형 구성: Central SMF + Distributed SSMF 구성
AMF–SMF–UPF 구조 추천 구성 ①~④를
대형 통신사(퍼블릭 5G 사업자) 및 소형 사업자/Private Network 사업자 기준으로 각각 정리해 드립니다.
[표] AMF–SMF–UPF 구조 추천 구성 (대형 통신사 vs 소형/프라이빗망)
구분 | ① 표준형 구성 (eMBB 중심) |
② 저지연 특화 구성 (URLLC/산업용) |
③ MEC 슬라이스 특화 구성 (로컬 UPF) |
④ 분리형 확장 구성 (Rel-18 대응용) |
적용 대상 | 전국망 기반 대형 통신사 모든 일반 사용자용 |
공장/스마트시티/긴급통신 등 | B2B MEC 서비스 (클라우드 연계) | 초대형/다중 사업자 제공자 |
AMF 배치 | 전국 단일 또는 2~3개 리전 분산 | 로컬 Edge AMF 또는 저지연 AMF | 공용 AMF 또는 MEC Edge AMF | 중앙 AMF + 지역/슬라이스 전용 AMF |
SMF 배치 | 표준형 Central SMF | 저지연 슬라이스 전용 SMF | 슬라이스별 Local SMF (MEC용) | Primary SMF + Secondary SMF (SSMF) |
UPF 배치 | 지역별 분산 UPF (20~100 Gbps급) | 저지연 Edge-UPF (RU/CU 근접 배치) | 로컬 UPF (LBO/MEC Traffic Breakout) | 중앙/Edge 겸용, Slice-aware UPF |
슬라이스 구성 | eMBB 단일 슬라이스 | URLLC 슬라이스, 사설망 연동 | MEC Slice (네이버클라우드, AWS Wavelength 등) | Slice별 전용 SMF–UPF 완전 분리 |
HA 구성 | 각 NF Active-Standby 또는 Horizontal Scaling | 동기화 빠른 Stateful SMF 구성 필요 | 로컬 장애 대비 Fast Failover 구성 | Dual SMF 구조 (SSMF + FSMF) |
추천 사업자 | SKT, KT, LGU+, Verizon, DoCoMo 등 | Rakuten Symphony, 특화망(MX), 응급통신망 | KT Enterprise 5G, AWS Wavelength 고객 | Jio, Reliance, AT&T 등 멀티도메인 사업자 |
[Private Network/소형 사업자] 기준 구성 예
구분 | 구성 방식 | 설명 |
AMF | 단일 인스턴스 (On-prem) | 내부 가입자용 연결 제어, 로밍 없음 |
SMF | 로컬 단일 SMF | 기본 PDU 세션 및 IP 할당 처리 |
UPF | 로컬 LBO UPF | 사내 데이터망으로 직접 트래픽 전달 |
슬라이싱 | 선택적, 대부분 1슬라이스 운영 | 초경량 구성에서는 S-NSSAI 없이 운영 가능 |
통합 옵션 | AMF+SMF+UPF 통합 구성 가능 (VNF/CNF) | MEC, 로봇망, 캠퍼스망에서 자주 활용 |
적용 사례 | 산업단지, 발전소, 병원, 캠퍼스 전용망 등 |
구성 요약 도식 (시각적 정리)
AMF (중앙)
↓
SMF (중앙)
↓
UPF (지역별)
[URLLC/저지연형]
AMF (Edge)
↓
SMF (Edge 저지연)
↓
UPF (Edge 가까이)
[MEC 특화형]
AMF (공용 또는 Edge)
↓
SMF (슬라이스 단위)
↓
UPF (MEC/DC 내부 Breakout)
[확장형 구조 - Rel-18]
AMF (중앙/지역 분리)
↓
SMF (Primary) → SSMF (슬라이스별)
↓
UPF (Slice-aware 다중 구성)
참고: 슬라이싱 별 구성 예시 (실제 사업자 모델 기반)
슬라이스 유형 | 구성 예시 | 주요 서비스 |
eMBB (기본) | 공용 AMF–SMF–UPF | 대중 소비자 통신 |
URLLC (초저지연) | Edge AMF + SMF + UPF | 스마트팩토리, 자율주행 |
MEC | 공용 AMF + 전용 SMF + 로컬 UPF | 영상 처리, 원격의료, 클라우드 게임 |
Enterprise Private | 전용 AMF/SMF/UPF 단일 인스턴스 | 금융기관, 병원, 사무실 캠퍼스망 |
아래는 **5G Core 네트워크 장비 및 NF(SMF, AMF, UPF 등)**를 기준으로,
에릭슨(Ericsson), 화웨이(Huawei), 도전 벤더들(Mavenir, Casa Systems, Parallel Wireless, Samsung 포함)의
제품 경쟁력, 기능 차이, 기술 스택, 개방성(O-RAN/SBA), 고객사 등을 종합 비교한 표입니다.
[표] 5G Core 벤더 비교: Ericsson vs Huawei vs 도전 벤더들
구분 | Ericsson | Huawei | 도전 벤더들 (Mavenir, Casa, Parallel Wireless 등) |
Samsung (참고) |
5GC 제품명 | Ericsson Dual Mode 5G Core | Huawei Single/Core 5GC | MAVcore, Casa 5GC, PW Cloud-Native Core 등 | Samsung 5G Core (vCore, CMC) |
SBA 완전 지원 여부 | O (Rel-15~18 전체 지원) | O (단, 인터페이스 폐쇄적) | 일부 벤더는 Rel-16까지 제한 | O (AWS 협력 포함) |
NF 모듈화 | 완전한 CNF 컨테이너화 | CNF화 진행 중 (자체 클라우드 스택 우선) | 벤더별 편차 (Mavenir 완전 CNF) | O |
클라우드 호환성 | VMware, AWS, Azure, RedHat OpenShift | Huawei FusionSphere (자사 클라우드 우선) | OpenStack/K8s 기반 (표준 우선) | OpenStack, K8s, AWS 모두 호환 |
Open RAN 연동 | 일부 모듈 제한 지원 (RAN은 폐쇄적) | 미지원, 자사 RAN 강제 | Mavenir, Parallel Wireless는 Full O-RAN | 일부 Open RAN 시범 적용 중 |
SMF/AMF/UPF 성능 | 대형 사업자용 수백 Gbps 검증 | 고성능 (중국 시장 기반 대규모 상용화) | 중소규모 네트워크 최적화 | eMBB/MEC/URLLC 모두 지원 |
슬라이싱 지원 | S-NSSAI + SSMF 연동 지원 (Rel-17~18) | 지원하나 API 공개 범위는 좁음 | Rel-16 수준까지 구현 | Rel-18 기반 SSMF 구조 대응 중 |
폐루프 자동화 (NWDAF) | 자체 AI 엔진 연동 (EXFO 등과 협력) | 자사 빅데이터 기반 분석 플랫폼 내장 | 제한적 or 외부 연동 필요 | 자체 NWDAF + Open API |
OAM/SMO 연동 | ENM + SMO 일부 모듈 보유 | iManager/NCE 플랫폼 기반 | ONAP 기반 지원 (O-RAN WG6 연동) | Samsung SMO + Global Cloud 지원 |
도입 주요국 | SKT, Vodafone, T-Mobile, KDDI 등 | China Mobile, China Telecom, 일부 GCC 국가 | 미국 일부 MVNO, 인도/아프리카/Nokia 대체 시장 | Verizon, AT&T, LGU+, KDDI 등 |
장점 | 신뢰성, 대형 상용 사례 풍부, 글로벌 연동 우수 | 초고속 성능, 자체 클라우드 연동 | 가격 경쟁력, 개방형 구조, 빠른 커스터마이징 | 성능+클라우드+오픈 구조의 균형 |
단점 | 상용화 비용 높음, 폐쇄적 연동 일부 존재 | 비표준 인터페이스 다수, 외부 연동 폐쇄 | 기술 성숙도 낮고, 규모 확장 어려움 | RIC/SMO는 아직 초기단계 일부 |
핵심 포인트 요약
관점 | 에릭슨 | 화웨이 | 도전벤더 | 삼성 |
기술 안정성 | ●●●●● | ●●●●● | ●● | ●●●● |
개방성 (O-RAN, API) | ●●● | ● | ●●●●● | ●●●● |
Cloud-Native 완성도 | ●●●● | ●●● | ●●● | ●●●● |
슬라이싱/AI/NWDAF 대응 | ●●●● | ●●● | ●● | ●●●● |
B2B, MEC 유연성 | ●●● | ●● | ●●●● | ●●●●● |
CAPEX/OPEX 효율 | 높음 | 높음 | 낮음 | 중간 |
결론 및 활용 전략
- 에릭슨: 안정성과 글로벌 이력은 최고지만, 유연성과 비용효율은 낮음
- 화웨이: 초고속 대규모 처리에 강하지만, 표준 개방성 부족으로 제약 존재
- 도전벤더들: Open RAN/Private망에서 유리하지만, 기술 성숙도/대형 레퍼런스 부족
- 삼성: 표준, 퍼포먼스, 클라우드 호환성의 균형을 이룬 실용적 벤더로서 글로벌 확장 중
'IT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5G PCF (Policy Control Function) (0) | 2025.04.30 |
---|---|
5G UPF (User Plane Function) (0) | 2025.04.30 |
5G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0) | 2025.04.30 |
3GPP Rel-15 ~ Rel-18에 따른 5G Core NF(Network Function) 종류와 진화 (0) | 2025.04.30 |
STP 장비 비교: Oracle, Ribbon, NetNumber, BroadForward 완전 정리 (1)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