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5G UPF (User Plane Function)**에 대한 핵심 정리입니다.
역할, 기능, 구조, 인터페이스, 진화 방향, 벤더별 차이점까지 실무 중심으로 설명드립니다.
■ 5G UPF란?
**UPF (User Plane Function)**는 5G Core의 사용자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핵심 데이터 플레인 NF입니다.
4G의 SGW-U + PGW-U 기능을 통합하고, 5G의 Control-User Plane Separation(CUPS)을 완전히 구현합니다.
1. 핵심 역할
기능 | 설명 |
GTP-U 터널 처리 | UE–gNB 간 데이터 터널 (N3), DN(인터넷 등) 간 트래픽 처리 (N6) |
QoS Flow 처리 | PDR/FAR/QER에 따른 트래픽 필터링 및 우선순위 처리 |
ULCL (Uplink Classifier) | 상향 트래픽을 목적지별(DNN, MEC 등)로 분기 |
Buffering & Forwarding | Session 이탈 시 패킷 버퍼링 및 지연 전달 |
Charging Data Collection | 과금 기록용 Usage Report 생성 (N4→SMF→CHF) |
Traffic Steering | 정책에 따른 다중 경로 처리 (MEC, 로컬브레이크아웃 등) |
2. 인터페이스 요약
인터페이스 | 연결 대상 | 주요 기능 |
N3 | gNB | GTP-U 사용자 데이터 터널 |
N4 | SMF | 세션 룰(PDR, FAR, QER) 수신, 제어 명령 |
N6 | DN(Data Network) | 인터넷, MEC, 엔터프라이즈망 등 외부 연결 |
N9 (선택) | 다른 UPF | 다단계 UPF 구성 (e.g., Branching, Anchor UPF) |
N1/N2 | 없음 | Control Plane 없이 독립 운영됨 |
3. Rel-15~Rel-18 기능 진화
Release | 주요 진화 내용 |
Rel-15 | 기본 UPF 구조 도입, GTP-U, QoS Flow 기반 처리 |
Rel-16 | ULCL, MEC 분기 처리, Lawful Interception 강화 |
Rel-17 | MB-UPF: Multicast/Broadcast 전용 데이터 경로 |
Rel-18 | TSC-UPF: 초저지연 Time Sensitive Comm 전용 UPF Edge-aware UPF 최적화, Slice-aware UPF 확장 |
4. UPF 배포 구조 예시
구성 | 설명 | 활용 예 |
Centralized UPF | 코어망 중심에 위치, 전국 통합 트래픽 처리 | 기본형 (eMBB, 소비자 서비스) |
Edge UPF | DU/CU 근처 MEC 노드에 배치 | MEC 연동, 저지연 서비스 |
ULCL UPF | 상향 패킷 분기 전용 | 슬라이싱/MEC 라우팅 최적화 |
Branching UPF (N9) | 다단계 UPF 구성 | 지역망, 백본망 분리 구성 |
5. UPF 성능 설계 기준 예시
항목 | 사양 |
Throughput | 20 |
Session 처리량 | 50K~500K GTP 세션 |
CPU | 16~64 vCPU (DPDK 활용 시 코어 고정) |
RAM | 64~256 GB |
NIC | 2x10G ~ 4x100G NIC 구성 |
6. 벤더별 UPF 특성 비교 (요약)
항목 | Samsung | Ericsson | Huawei | Mavenir |
UPF 종류 | Central, Edge, ULCL, TSC-UPF 모두 | 중앙+ULCL 대응 | Central + MEC 통합 | vUPF, Cloud-Native 집중 |
DNN-aware 처리 | 지원 | 지원 | 자사 플랫폼 우선 | 표준 기반 일부 한계 |
MEC 최적화 | AWS Wavelength 등과 협력 | ENM 기반 연동 | 자체 Cloud Stack 우선 | O-RAN 기반 연동성 높음 |
구성 형태 | VNF/CNF 모두, 클라우드 최적화 | VNF 우세 | 자사 서버 최적화 | Pure CNF(K8s Native) |
7. 실제 운영 시 고려사항
- UPF는 성능 병목 지점 → DPDK 기반 가속 필수
- MEC 분기 기능(ULCL) 필요 시: 슬라이스별 DNN-aware 구성 추천
- 로컬 UPF 배포 시: 로밍/법적 감청(LI) 기능 여부도 확인 필요
8. [시각 흐름 요약]
UE ⇄ gNB ⇄ UPF ⇄ Internet / MEC
│ │
│ (N3, GTP-U)
▼
SMF ⇄ UPF (N4) ← PDR/FAR 설정
|
→ QoS Flow 분기, 정책 실행
│ │
│ (N3, GTP-U)
▼
SMF ⇄ UPF (N4) ← PDR/FAR 설정
|
→ QoS Flow 분기, 정책 실행
5G UPF에 대한 다음 세 가지 내용을 모두 정리해 드립니다:
- AMF–SMF–UPF 간 Call Flow
- UPF 구성도 및 시스템 요구사양
- 벤더별 UPF 특성 비교 (Samsung, Ericsson, Huawei, Mavenir 등)
① AMF–SMF–UPF Call Flow (PDU 세션 수립)
[기본 시나리오: UE 최초 접속 및 PDU 세션 설정]
UE
│
├─N1: Registration Request ──────────────▶ AMF
│ │
│ + 인증 (AUSF/UDM 연동)
│ + 슬라이스 선택 (NSSF)
│ + SMF 탐색 (NRF)
│
├─N1: PDU Session Request ──────────────▶ AMF
│ │
│ ┌──────N11──────▶ SMF
│ │ + IP 할당 요청 (N10 → UDM)
│ │ + 정책 요청 (N7 → PCF)
│ │ + UPF 선택/설정 (N4)
│ │
│ └──────N2──────▶ gNB
│ + N3 Tunnel 생성 (gNB ↔ UPF)
│
└─N1: PDU Session Accept ◀─────────────── AMF
│
├─N1: Registration Request ──────────────▶ AMF
│ │
│ + 인증 (AUSF/UDM 연동)
│ + 슬라이스 선택 (NSSF)
│ + SMF 탐색 (NRF)
│
├─N1: PDU Session Request ──────────────▶ AMF
│ │
│ ┌──────N11──────▶ SMF
│ │ + IP 할당 요청 (N10 → UDM)
│ │ + 정책 요청 (N7 → PCF)
│ │ + UPF 선택/설정 (N4)
│ │
│ └──────N2──────▶ gNB
│ + N3 Tunnel 생성 (gNB ↔ UPF)
│
└─N1: PDU Session Accept ◀─────────────── AMF
주요 포인트
- SMF가 UPF를 제어 (세션 규칙, 터널 생성)
- AMF는 접속과 NAS signaling만 담당
- UPF는 사용자 트래픽만 처리 (N3/N6 데이터 경로)
② UPF 구성도 및 시스템 요구 사양
[UPF 모듈 구조 예시]
+-----------------------------------------+
| UPF (CNF) |
+-----------------------------------------+
| Session Manager | Usage Report |
|------------------------|----------------|
| QoS Engine | DPI Module |
|------------------------|----------------|
| PDR/FAR/QER Engine | Buffer Mgmt |
|------------------------|----------------|
| N3/N6 Tunnel Handler | N4 Agent |
+-----------------------------------------+
| UPF (CNF) |
+-----------------------------------------+
| Session Manager | Usage Report |
|------------------------|----------------|
| QoS Engine | DPI Module |
|------------------------|----------------|
| PDR/FAR/QER Engine | Buffer Mgmt |
|------------------------|----------------|
| N3/N6 Tunnel Handler | N4 Agent |
+-----------------------------------------+
[시스템 요구 사양 예시]
항목 | 기본형 구성 | 고성능/Edge용 구성 |
CPU | 16~32 vCPU | 64~128 vCPU (DPDK Core 고정) |
RAM | 64~128 GB | 256 GB 이상 |
NIC | 2x10G ~ 4x25G | 2x40G ~ 2x100G |
GTP 세션 처리량 | 10~50K | 100K 이상 |
Throughput | 10~50 Gbps | 100 Gbps 이상 |
Cloud 지원 | OpenStack/K8s | AWS, Azure, On-prem 모두 가능 |
특이사항 | DPDK, SR-IOV 필수 | MEC-LBO 연동 시 ULCL 적용 필요 |
③ 벤더별 UPF 특성 비교
항목 | Samsung | Ericsson | Huawei | Mavenir |
UPF 제품명 | vUPF / CMC | User Plane Gateway | 5GC UPF | MAVcore UPF |
구성 형식 | VNF + CNF 완전 대응 | 주로 VNF, 일부 CNF | 자사 HW 최적화 | Pure CNF, K8s-native |
Edge 배포 | AWS Wavelength, on-prem 지원 | ENM과 연계 | 자체 Cloud 우선 (FusionSphere) | 자유 배포, O-RAN 연계 용이 |
MEC 연동성 | DNN-aware, ULCL 지원 우수 | 일부 한계 | 기능은 있음, 연동 제한 | MEC API 오픈형 |
성능 (고객 사례 기준) | 80~200 Gbps (Verizon, AT&T) | 수백 Gbps 이상 (SKT 등) | 초고성능, 중국 대형망 | 10~50 Gbps 중심 |
정책 제어 연동성 | N4 + PCF 유연 연동 | 내부 PCRF 최적화 | 폐쇄형, 외부 연동 제약 | 표준 연동 기반 |
장점 | 글로벌 호환성, 성능/유연성 균형 | 고성능, 안정성, 대규모 상용화 | 고성능, 자체 플랫폼 최적화 | O-RAN 호환성, 가격 경쟁력 |
단점 | 일부 Edge/RIC 초기 단계 | 유연성/라이선스 비용 부담 | 개방성 부족, 외부 연동 제약 | 대규모 사례 제한, SLA 부족 |
✅ 정리 요약
- UPF는 사용자 트래픽의 핵심 처리 NF로,
- SMF 제어 하에 GTP-U 터널, QoS, 트래픽 라우팅을 수행
- 5G MEC, 슬라이싱, 로컬 브레이크아웃(LBO) 구현에 필수적
- Samsung vs Ericsson vs Huawei vs Mavenir
- 삼성: 글로벌 호환성 + DNN 분기 + MEC 강점
- 에릭슨: 고성능, 대형 사업자 중심
- 화웨이: 초고속 처리량 + 자사 통합형 구조
- 마베니어: Open RAN/MEC 특화형, 중소망 적합
728x90
반응형
'IT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5G UDM (Unified Data Management) (0) | 2025.04.30 |
---|---|
5G PCF (Policy Control Function) (0) | 2025.04.30 |
5G SMF (Session Management Function) (1) | 2025.04.30 |
5G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0) | 2025.04.30 |
3GPP Rel-15 ~ Rel-18에 따른 5G Core NF(Network Function) 종류와 진화 (0)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