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주(3월 24일부터 3월 31일까지)의 인공지능(AI) 관련 주요 뉴스를 요약해 드리겠습니다.
- 뤼튼테크놀로지스, 시리즈B 투자 유치 완료
인공지능 서비스 플랫폼인 뤼튼테크놀로지스가 총 1,080억 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하며, 국내 AI 서비스 플랫폼 중 최초로 누적 투자액 1,000억 원을 돌파했습니다. - 마누스 AI, '클로드' 모델 활용 인정 및 오픈 소스 공개 계획 발표
인공지능 에이전트 '마누스'가 앤트로픽의 '클로드 3.5 소네트' 모델을 사용한 것을 인정하며, 향후 오픈 소스로 공개할 계획을 밝혔습니다. - 오픈AI, 추론 모델의 '사고 사슬' 감시 방법 제안
오픈AI는 향후 출시될 프론티어 모델의 잘못된 행동을 방지하기 위해 추론 과정의 '사고 사슬'을 감시하는 방법이 유용하다고 밝혔습니다. - 과다 트래픽으로 서비스 장애 겪는 딥시크, 외부 투자 거부
딥시크가 급증하는 사용자 수요로 인해 서버 용량 부족 문제를 겪고 있지만, 외부 투자는 받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 애플, 대대적인 UI 개편 계획 발표
애플이 올해 세계개발자회의(WWDC)에서 대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UI) 개편을 실시할 계획이며, 이는 AI보다 UI 혁신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예상됩니다. - 오픈AI, 코어위브와 17조 원 규모의 클라우드 계약 체결
오픈AI가 코어위브와 119억 달러(약 17조 원) 규모의 대형 클라우드 계약을 체결하며, '탈 마이크로소프트' 전략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 트럼프, 틱톡 인수 협상 진행 중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틱톡 인수를 위해 4곳의 미국 컨소시엄과 협상 중이며, 곧 타결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에 3D 게임 기능 추가 계획
마이크로소프트가 '코파일럿'에 3D 게임 기능을 추가하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MoE 문제 해결하는 'CoE' 등장
전문가 혼합(MoE) 방식 대형언어모델의 연산 효율성과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새로운 모델 아키텍처 'CoE'가 공개되었습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대표 AI 모델 프로젝트 기획안 공개 예정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국가 대표 인공지능 모델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월드베스트LLM(WBL)’의 구체적인 기획안을 이달 말 공개할 예정입니다. - 콕스웨이브, 앤트로픽과 ‘코리아 빌더 서밋’ 개최
인공지능 제품 분석 전문 기업 콕스웨이브가 글로벌 AI 기업 앤트로픽과 함께 19일 시그니엘 서울 그랜드볼룸에서 ‘코리아 빌더 서밋’을 공동 주최합니다. - 인셉션, 최초의 확산 방식 언어모델 '머큐리' 공개
인셉션이 확산(Diffusion) 방식을 대형언어모델에 도입한 '머큐리(Mercury)'를 공개했습니다. - 오픈AI, '스타게이트' 데이터센터에 엔비디아 블랙웰 GPU 대규모 투입
오픈AI가 미국 텍사스주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데이터센터에 엔비디아의 최신 '블랙웰' GPU 64,000개를 투입할 계획입니다. - 리콘랩스, AI 3D 콘텐츠 기술을 제조 산업으로 확대
리콘랩스가 인공지능 3D 콘텐츠 기술을 '이커머스'에서 '제조 산업' 분야로 확대 도입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 뉴튠, 세계 최초 'AI 뮤직 에이전트' 서비스 출시 예정
국내 최초로 텍스트 프롬프트 기반 AI 음악 창작 서비스를 선보인 뉴튠이 4월 중 세계 최초의 'AI 뮤직 에이전트'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입니다. -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의 양자 칩 개발 주장에 회의적 입장 표명
아마존이 마이크로소프트의 최신 양자 컴퓨팅 칩 발표에 대해 과장된 주장이라며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습니다. - 애플, '개인화 시리' 출시 연기로 AI 관련 광고 및 제품 출시 지연
애플이 '개인화 시리'의 출시를 연기함에 따라 관련 AI 광고를 삭제하고 제품 출시를 늦추고 있습니다. - 폭스콘, 대만 최초의 대형언어모델 '폭스브레인' 출시
폭스콘이 대만 최초의 대형언어모델(LLM)인 '폭스브레인(FoxBrain)'을 개발하여 제조 및 산업 분야에 적용할 계획입니다. - 러시아, 가짜 뉴스 360만 건 배포로 AI 챗봇에도 영향 미쳐
인터넷에 대량의 가짜 뉴스를 배포하면 AI 챗봇이 이를 학습하여 가짜 뉴스를 출력할 확률이 높아진다는 보고가 등장했습니다. - 미 국무부, AI 활용한 외교 전략 실험
미국 국무부가 소셜 미디어에 AI를 활용해 메시지를 최적화하고 외교적 설득 효과를 실험 중입니다. 타겟 국가에 따라 맞춤형 AI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 일론 머스크의 xAI, 오픈소스 GPT-4 대항마 '그로크 1.5' 공개 예고
xAI가 ‘그로크 1.5(Grok 1.5)’를 곧 오픈소스로 공개할 예정이며, 이는 GPT-4에 필적할 성능을 목표로 하고 있어 관심을 모읍니다. - 딥마인드, AI 모델에 '계산 능력' 추가하는 연구 발표
구글 딥마인드가 AI 모델이 인간처럼 논리적 계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연구 중입니다. LLM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한 시도로 평가됩니다. - 삼성전자, 스마트폰에 '지연 없는' AI 통역 기능 탑재
삼성전자가 최신 갤럭시 모델에 AI 기반 실시간 통역 기능을 추가해, 통화 중에도 자연스러운 번역이 가능해졌습니다. - 캐나다, AI로 인한 일자리 변화에 대응하는 국가 전략 발표
캐나다 정부가 AI로 인한 노동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직업 재훈련과 기술 기반 교육을 강화하는 국가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 MIT, 'AI 수학 교사' 연구 결과 발표 – 실제 교사와 성능 유사
MIT가 개발한 AI 수학 튜터가 중학생 대상 시험에서 인간 교사와 유사한 수준의 교육 효과를 보였다는 연구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 핀란드, 공공 부문에 AI 규제 샌드박스 도입
핀란드가 정부기관의 AI 사용을 위해 규제 샌드박스를 도입, 윤리적이고 투명한 AI 도입을 시험하고 있습니다. - AI 영상 생성 서비스 ‘픽셀리드’ 출시, 1분 만에 완성
스타트업 픽셀리드가 텍스트 기반으로 1분 만에 고화질 영상을 제작해주는 AI 툴을 출시했습니다. 유튜버, 마케터들 사이에서 빠르게 확산 중입니다. - 중국, ChatGPT 대응용 ‘프롬프트 검열 시스템’ 개발
중국 정부가 ChatGPT와 같은 AI 서비스에 입력되는 프롬프트를 감시·검열하는 시스템을 개발해 시행에 나섰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 OpenAI, AI 사용 가이드라인 공개 – ‘사용자 책임 강조’
OpenAI가 기업 및 일반 사용자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생성된 결과물의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음을 명확히 했습니다.
728x90
반응형
'인공지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브 코딩(Vibe Coding),개발자 커뮤니티나 SNS에서 감성적이고 창의적인 분위기에서 코딩하는 것 (0) | 2025.04.04 |
---|---|
이번 주 AI ,인공지능 뉴스 요약 (2025년 3월 28일~4월 4일) (1) | 2025.04.04 |
이번 주(2025년 3월 12일부터 3월 19일까지)의 인공지능(AI) 분야 최신 뉴스 (8) | 2025.03.19 |
Captions.ai, 립싱크 (0) | 2025.03.19 |
openai 의 swarm,다중 에이전트 시스템 (0)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