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지금이 소빙하기(Little Ice Age)다”라는 주장은 일부에서 제기되지만, 과학적으로는 현재가 ‘소빙하기’에 해당한다는 주장은 근거가 부족하거나 과학계의 주류 견해가 아닙니다. 오히려 현재는 지구온난화가 진행 중인 시기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왜 "소빙하기"라는 주장이 나오는지를 설명하고, 과학적 근거 여부를 정리해드릴게요.
1. 소빙하기란?
- 정의: 약 14세기~19세기 중반까지 유럽과 북반구 지역에서 기온이 비교적 낮았던 시기.
- 원인: 태양 활동 저하(예: 마운더 극소기), 화산 폭발로 인한 에어로졸, 대기 순환 변화 등.
2. "지금이 소빙하기"라는 주장: 어디서 나왔나?
일부 과학자 또는 유튜브·SNS 콘텐츠 제작자들이 주장하는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장 내용반박 또는 설명
태양 흑점이 감소하고 있다 → 태양 활동이 약해진다 → 기온 하락 가능성 | 맞는 현상이나, 현재 태양 활동은 11년 주기 중 하나일 뿐. 온난화 효과가 더 강하다는 게 정설 |
북반구 한파, 해수면 냉각 | 단기적 이상 기후에 해당. 지구 전체 평균 기온은 여전히 상승 추세 |
기후 순환 주기에 따라 이제 냉각 국면에 진입 | 기후 순환 주기는 존재하지만, 인간 활동에 의한 온난화 효과가 더 크게 작용 중 |
3. 현재 기후 변화에 대한 과학계의 공식 입장
-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지난 100년간 지구 평균 기온은 약 1.1도 상승. 산업화 이후 가장 빠른 속도의 온난화.
- NASA, NOAA, WMO 등 주요 기후 기관:
- 2023년은 관측 사상 가장 더운 해
- 북극 해빙 감소, 해수면 상승, 폭염 증가 등 온난화 증거 뚜렷
4. 결론: 지금은 소빙하기가 아닌 ‘지구온난화 시대’
- 일부 국지적 한파, 일시적 기온 저하는 있을 수 있지만,
- 과학계의 압도적 다수는 지금을 Anthropocene(인류세) 또는 온난화 시대로 규정
- 소빙하기에 해당할 정도의 장기적 냉각 증거는 없음
혹시 소빙하기를 주장하는 유튜브 영상이나 블로그를 보셨다면, 해당 내용을 분석해드릴 수도 있어요. 어떤 출처였는지도 알려주시면 더 자세히 팩트체크해드릴게요.
728x90
반응형
'과학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 미래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특히 미중 패권전쟁의 향방과 그 결과 (2) | 2025.03.31 |
---|---|
초전도 물질 재료 (1) | 2024.12.18 |
아메리슘-243을 이용한 원자 전지 (0) | 2024.12.08 |
우주의 원리를 표현하는 대표적인 수학 공식 (0) | 2024.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