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정보

asdsvr.exe,EPrM Service (Enhanced Performance Resource Management)

by aiproductmanager 2025. 5. 21.
728x90
반응형

**asdsvr.exe**는 Windows 시스템에서 잘 알려진 공식 파일이 아니며, 일반적인 Microsoft Windows 운영체제 구성 요소에는 포함되지 않은 비표준 실행 파일입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3가지 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 1. 정상적인 제3자 프로그램의 실행 파일

  • 특정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드라이버가 설치될 때 함께 설치된 정상적인 백그라운드 서비스일 수 있음
  • 예: 사설 보안 솔루션, 장비 제어용 서비스 프로그램 등

→ 이 경우 해당 파일의 속성 → 디지털 서명을 확인하면 제작사 정보가 나옵니다.


⚠️ 2. 악성코드 또는 트로이목마 위장 가능성

  • asdsvr.exe는 이름이 마치 시스템 서비스처럼 보이지만, 정체 불명의 실행 파일로 위장하는 악성코드일 수 있습니다.
  • 특히 다음의 특징이 있다면 위험 신호입니다:
    • C:\Windows\System32가 아닌 이상한 경로에 위치
    • 작업 관리자에서 높은 CPU/RAM 점유
    • 자동 시작 항목에 등록돼 있음
    • 보안 소프트웨어가 감지하지 못함

→ 이 경우 VirusTotal에 파일을 업로드해 분석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 3. 사내 또는 자체 개발 프로그램

  • 기업 내부에서 개발한 백엔드 서비스(exe)일 수도 있음
  • 예: ASD라는 약어를 사용하는 기업/솔루션의 "Service Daemon"

→ 이 경우 설치된 프로그램 목록이나 회사 관리 매뉴얼에서 확인 필요


✅ 확인하는 방법 요약

방법 설명
파일 경로 확인 C:\Program Files 또는 C:\Windows 외 위치일 경우 주의
속성 > 디지털 서명 제작자 정보가 없거나 이상하면 의심
작업 관리자 확인 CPU, 메모리 점유율 확인
시작프로그램/서비스 목록 msconfig, services.msc 등으로 자동 실행 여부 확인
VirusTotal 업로드 https://www.virustotal.com 에 파일 업로드하여 악성여부 분석
 

arsvc.exe 또는 **EPrM Service (Enhanced Performance Resource Management)**는 공식적인 Microsoft 시스템 파일은 아니며, 일부 사용자 사례나 보안 분석에서 다음과 같은 용도로 보고된 바 있습니다.


✅ 요약: arsvc.exe / EPrM Service

항목 설명
파일명 arsvc.exe
표시 서비스명 EPrM Service (또는 Enhanced Performance Resource Management)
정체 가능성 ① 일부 정품 소프트웨어의 부가 서비스
② 자체 제작 서비스 or 사내용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③ (⚠️가능성 있음) 악성코드 또는 광고 프로그램 위장 파일
파일 경로 확인 필요 C:\Program Files, C:\Windows\System32 경로 여부 중요
 

✅ 의심 여부 판단 기준

점검 항목 판단 기준
파일 경로 C:\Users\[사용자명]\AppData\... 또는 임의 폴더일 경우 주의
디지털 서명 확인 파일 우클릭 → 속성 → 디지털 서명 탭 확인
시스템 자원 점유 작업 관리자에서 CPU, 메모리 과도 점유 여부 확인
자동 실행 여부 msconfig → 시작프로그램 / services.msc 에 등록 여부 확인
정상 소프트웨어 연관성 설치된 프로그램 중 해당 서비스와 연동되는 앱이 있는지 확인
 

✅ 악성 가능성이 있을 때 조치

  1. VirusTotal 검사
    https://www.virustotal.com/ 에서 arsvc.exe 파일 업로드 → 의심 점수 확인
  2. 시작 서비스 해제 및 삭제 절차
    • services.msc에서 "EPrM Service" → 중지 및 사용 안 함
    • regedit →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arsvc 제거
    • 파일 삭제 전에는 백업 권장
  3. 정밀 보안 점검 툴 실행
    • Malwarebytes, AdwCleaner, Windows Defender 오프라인 검사 권장

⚠️ 실제 사용자 사례 (예시)

  • 일부 OEM PC에 번들로 설치된 성능 관리 도구의 백엔드 서비스로 알려진 경우도 있음.
  • 그러나 동일한 파일명이 광고 배너나 백도어 악성코드로 변조되어 유포된 사례도 다수 존재.

원하시면:

  • arsvc.exe의 실제 파일 경로 / 속성 캡처 / 실행 중인 위치 정보를 알려주시면,
    해당 서비스가 정상이거나 위장된 악성인지를 더 정확히 분석해 드릴 수 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아래 링크를 통해서 후원해주세요.( 맥주한잔 이나 커피한잔 )

 

728x90
반응형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 구독❤️ 좋아요 꾸우욱 눌러 주세요!🙏

그리고 💖커피 ☕, 💚차 🍵, 💛맥주 🍺, ❤️와인 🍷 중 마음에 드시는 한 잔으로 💰 후원해 주시면 큰 힘이 됩니다.

👇 지금 바로 아래 🔘버튼을 꾸욱 눌러 📣 응원해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