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

5G EASDF (Edge Application Server Discovery Function)

aiproductmanager 2025. 5. 1. 05:18
728x90
반응형

아래는 **5G EASDF (Edge Application Server Discovery Function)**에 대한 3GPP Rel-17~18 기준 실무 중심 설명입니다.
EASDF는  5G Core와 MEC(Multi-access Edge Computing) 간 통합 연동을 지원하여, UE(단말)가 가장 적절한 MEC/Edge Application Server(EAS)를 빠르게 자동으로 탐색하고 연결,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핵심 기능입니다.




✅ 1. EASDF란? (Edge Application Server Discovery Function)

EASDF 5G 네트워크에서 UE가 접속해야 할 최적의 Edge Application Server(EAS)를 탐색하고 선택하도록 지원하는 네트워크 기능입니다.

EASDF는 5G 시스템 내에서 **엣지 애플리케이션 서버(EAS, Edge App Server)**를 탐색하고,
UE의 위치/슬라이스/로컬 도메인 정보에 따라 최적의 엣지 서버로 연결되도록 지원하는 기능입니다.

즉, EASDF는 **"가장 가까운/적절한 엣지 서버를 찾는 DNS + 정책 판단 + 로컬라우팅 가이드 역할"**을 수행합니다.

📌 즉, UE가 Edge 앱을 실행하려 할 때 "어느 MEC 서버(EAS)에 연결할지" 결정해주는 자동화된 탐색 컨트롤러입니다.


✅ 2. 포함 표준 릴리즈

릴리즈 포함 여부 주요 내용
Rel-17 ✅ 최초 도입 - EASDF 구조 도입
- 위치 기반 EAS 탐색 기능 정의
Rel-18 ✅ 기능 강화 - 부하 기반 탐색 최적화
- NWDAF 연동
- 정책 기반 자동 선택 지원

✅ 3. 주요 기능

기능 설명
EAS 후보 목록 제공 단말 위치(TAI), S-NSSAI, App ID 등을 기반으로 탐색
가장 가까운 EAS 추천 L-UPF와 지연이 가장 짧은 EAS를 선택하여 UE에 전달
부하 기반 필터링 혼잡하거나 성능 저하된 EAS는 제외 가능 (NWDAF 연동 시)
정책 기반 선택 제어 사업자 정책(예: 기업별 MEC 분리, App 우선순위)에 따라 탐색 제어
동적 재탐색 지원 UE 이동 시 EAS 재선택 가능 (이동성 연계)

✅ 4. 연동 구조 예시

[UE] 
  ↓ EAS 연결 요청 (App ID 포함)
[AMF]  
  ↓
[EASDF] ←→ [NEF / NWDAF / PCF]
  ↓
선택된 EAS 주소 → [UE]
         ↓
[Local UPF] → [EAS Instance]
  • EASDF는 App ID와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가장 적절한 EAS를 선택
  • 선택된 EAS는 AMF를 통해 UE에 통보되고, 트래픽은 L-UPF 경로로 유입됨

✅ 5. 실무 적용 시나리오

분야 설명
스마트공장 AGV/로봇 제어용 Edge App이 있는 MEC 서버를 EASDF가 자동 선택
AR/VR 서비스 지연을 줄이기 위해 가장 가까운 렌더링 서버 선택
게임 스트리밍 혼잡하지 않고, 사용자와 물리적으로 가까운 게임 서버를 자동 연결

✅ 6. Rel-18 고도화 포인트

항목 설명
NWDAF 연계 부하/성능 예측 정보를 기반으로 혼잡도 고려한 선택 가능
정책 필터링 특정 UE 그룹/기업 고객 전용 EAS 선택 지원
멀티 Access 고려 Wi-Fi, Fixed망을 통한 접속 시에도 탐색 로직 일관성 유지
탐색 속도 최적화 DNS 기반 탐색보다는 빠른 SBA 기반 EAS 직접 매핑

✅ 7. EASDF vs 기존 구조 비교

항목 EASDF 기반 기존 DNS 기반 탐색
위치 기반 선택 ✔ (TAI 기준 정밀 탐색) ✘ (기본 IP 기반 지역 DNS)
부하 고려 ✔ (NWDAF와 연동 가능)
네트워크 정책 반영 ✔ (PCF 연계 가능)
연결 최적화 ✔ L-UPF 경유 구조 고려 ✘ Best-effort

✅ 실무 요약

항목 설명
역할 UE가 앱 실행 시, 가장 적절한 Edge Application Server 선택/탐색 기능
Rel-17 기능 위치 기반 정적 탐색 + App ID 기반 탐색
Rel-18 기능 NWDAF 연계 부하 최적화 + 정책 기반 동적 제어 + 재탐색
활용 대상 스마트팩토리, 게임, AR/VR, V2X, 공공/산업용 MEC

 

 

TAI(TAI: Tracking Area Identity) 기준 정밀 탐색은 **EASDF(Edge Application Server Discovery Function)**의 핵심 기능 중 하나이며, 특히 5G MEC 환경에서 사용자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한 위치 기반 최적 EAS 선택 메커니즘입니다.


✅ TAI 기준 정밀 탐색 개념

항목설명
TAI (Tracking Area Identity) UE가 위치한 무선망의 추적 영역 ID. LTE/5G RAN에서 AMF에 보고되는 단말의 위치 정보
정밀 탐색 의미 단순한 Cell ID 수준이 아닌, UE가 속한 지역 단위(TAI 기준)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가장 가까운 EAS (Edge Application Server)를 선별
목적 UE의 지연을 최소화하고, 위치 기반으로 EAS를 자동 연결

✅ 동작 흐름 예시 (TAI 기반)

  1. UE → AMF: 특정 애플리케이션 실행 요청 (App ID 포함)
  2. AMF → EASDF: 현재 UE의 TAI 및 App ID 전달
  3. EASDF 내부 판단:
    • TAI ↔ EAS 위치 맵핑 테이블 조회
    • 가장 가까운 L-UPF + EAS 위치 선택
    • NWDAF 부하 정보 고려 가능
  4. EAS 주소 → AMF → UE로 전달
  5. UE ↔ EAS 연결: 로컬 UPF 경유로 최단 경로 연결

✅ TAI 기반 EAS 선택 로직 구성 예시

요소 내용
입력 TAI, App ID, UE S-NSSAI, 부하 상태 (NWDAF)
정책 고려 - 특정 TAI → 특정 EAS 지정
- 부하 초과 시 우회 EAS 제공
- 기업 전용 EAS 분리
출력 최적 EAS 주소 + L-UPF 선택

✅ 정밀 탐색 구조도

[UE]
  ↓ App 실행 요청 (App ID 포함)
[AMF]
  ↓ (TAI + App ID)
[EASDF]
  ↙         ↘
[L-UPF1 + EAS A]   [L-UPF2 + EAS B]
  ↑ 선택 기준: 가까운 위치, 부하 적음

✅ 비교: Cell ID vs TAI 기반 탐색

항목 Cell ID 기준 탐색 TAI 기준 탐색
정밀도 매우 높음 (기지국 수준) 중간 (TA 단위 지역)
안정성 너무 자주 변동 가능 적절한 지역 분류
활용도 실내 위치 탐색 적합 Edge server 최적 선택에 적합
실무 활용 위치 추적/보안 MEC 연결 최적화

✅ 실무 장점

항목 효과
지연 최소화 사용자에게 가장 가까운 EAS 자동 연결 (로컬 트래픽 전환)
슬라이스와 연계 가능 TAI + S-NSSAI 기반으로 기업/서비스 전용 EAS 분리 가능
모빌리티 대응 이동 시 새로운 TAI 기반으로 자동 재탐색 가능

**5G 주요 네트워크 기능(NFs)**들의 3GPP 릴리즈(Rel-15~Rel-19) 기준 포함 여부와 해당 릴리즈에서의 주요 도입 목적 및 변화 요약입니다.


✅ 5G NF별 릴리즈 포함 정리표

기능명 (NF) R15 R16 R17 R18 R19예정 주요 내용 요약
LMF (Location Management Function) 🔄 개선 예정 위치 측정 기능 (Rel-15 도입), 정밀도 강화 (Rel-18: sub-meter, Edge-LMF)
GMLC (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 🔄 LMF 연동 게이트웨이 (Rel-15 도입), NEF/API 노출 (Rel-17+), 긴급위치 강화
TNGF (Trusted Non-3GPP Gateway Function) 🔄 보안된 Wi-Fi 단말을 5GC에 연결 (Rel-15부터 도입)
W-AGF (Wireline Access Gateway Function) 🔄 FTTH 등 고정망 접속을 5GC에 연계 (Rel-16 최초 도입, Rel-18은 슬라이스 기반 강화)
TWIF (Trusted WLAN Interworking Function) 🔄 TNGF 경량화 버전 (Rel-17 도입), 가정/기업 Wi-Fi 연동 간소화
UCMF (User Consent Management Function) 🔄 위치정보/API 노출 동의 제어 기능 (Rel-17), 조건부 동의 및 만료 제어 (Rel-18)
AAnF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Function) 🔄 NEF/API 연동 외부 서비스 인증 (Rel-17), OAuth2, Scope 제어 등 강화 (Rel-18)
NSWOF (Network Slice-specific WoF) 🔄 슬라이스별 인증/인가 기능 (Rel-18 도입), B2B망 보안 분리 대응
NSSAAF (Network Slice Specific Auth & Authz Function) 🔄 슬라이스 단위 인증·인가 정책 (Rel-18), 공공망·민간망 분리 대응
NSACF (Network Slice Admission Control Function) 🔄 슬라이스 접속 허용/거부 판단 기능 (Rel-18 도입)
TSCTSF (TSC Time Sync Function) 🔄 정밀 시간 동기화 제공 (Rel-17), 산업용 sub-microsecond 대응 (Rel-18)
EASDF (Edge App Server Discovery Function) 🔄 UE 위치/App ID 기반 최적 MEC 서버 탐색 (Rel-17), 정책·부하 기반 강화 (Rel-18)
TSNAF (TSN Adaptation Function) 🔄 TSN ↔ 5G 트래픽 매핑 및 시간정렬 (Rel-16 도입, Rel-18에서 MEC/로봇 연동 강화)

🟨 참고 기호

  • ✅ : 해당 릴리즈에서 최초 도입 또는 주요 정의
  • 🔄 : 해당 기능이 릴리즈에서 기능 보완 또는 고도화됨
  • ❌ : 해당 릴리즈에 미포함

✅ 결론 요약

릴리즈 핵심 NF 도입
Rel-15 LMF, GMLC, TNGF 등 기본 5GC 구조
Rel-16 W-AGF, TSNAF 등 고정망/산업망 연동
Rel-17 UCMF, AAnF, TSCTSF, EASDF 등 API·TSC 기반 확장
Rel-18 NSWOF, NSSAAF, NSACF 등 슬라이스 보안/정책 분리 강화

 

728x90
반응형

'IT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5G Enhanced NEF (Enhanced Network Exposure Function)  (0) 2025.05.01
5G LAN-type Service Support NF  (0) 2025.05.01
5G SEPP (Security Edge Protection Proxy)  (0) 2025.05.01
5G NWDAF (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  (0) 2025.04.30
5G CHF  (0) 202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