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rt Energy & Infrastructure( 스마트에너지및 인프라)
3GPP Release 18의 핵심 주제 중 하나는 스마트 에너지 및 인프라(Smart Energy & Infrastructure) 지원입니다. 이는 스마트 전력망, 수자원 관리, 교통 인프라, 산업설비 통합 등에서 5G 네트워크를 통해 에너지 효율성과 제어 자동화를 실현하기 위한 기술입니다.
1. 목적 및 배경
항목설명
기후 변화 대응 | 5G 기반 에너지 절감 기술 필요 |
에너지 지능화 | 전력, 수도, 통신 등 인프라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분석 |
분산 에너지 자원(DER) | 태양광, ESS, V2G 등 다양한 전원 관리 필요 |
고신뢰·저지연 통신 | 변전소, 센서망, 전력기기 간 연결에 필수 |
2. 3GPP Rel-18 주요 기능
기능설명
전력망 시나리오용 S-NSSAI 슬라이싱 지원 | 스마트 전력망 전용 슬라이스 운영 (예: 긴급 복구, 제어 트래픽 분리) |
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 (URLLC) 최적화 | 에너지 인프라의 제어 루프에 적합한 통신 구조 |
타임센서 통신(Time-Sensitive Networking, TSN) 연동 강화 | 전력망/산업제어 네트워크와 5G 간 시간 정렬 정밀도 향상 |
NEF 기반 에너지 시스템 인터페이스 | 에너지 서비스가 5G 슬라이스/QoS/지연 제어 가능 |
분산 전력 자원 제어를 위한 위치/지연 기반 서비스 | DER/EMS/SCADA 연동 가능 (5G로 원격 제어) |
스마트빌딩/스마트그리드용 다중 슬라이스 동시 운영 | 전력, HVAC, 보안, 통신 등 각 기능별 슬라이스 구성 지원 |
3. 시나리오 예시
분야5G 적용 방식
스마트 변전소 | IEC 61850 통신 기반 제어 메시지를 5G URLLC 슬라이스에 탑재 |
분산전원(DER) | 태양광 인버터–중앙 EMS 간 지연 보장 제어 (≤10ms) |
HVAC 설비 제어 | 건물 슬라이스 내 공조, 전력, 센서 연동 제어 |
수자원 관리 | 댐, 정수장, 배수펌프에 설치된 센서와 5G 제어 연계 |
지능형 교통신호 (ITS) | 전력공급+제어 명령을 5G로 실시간 연계 (MEC 포함) |
4. 구조 예시
scss
[EMS / DERMS / SCADA]
▲
│ NEF API + Trigger
▼
[NEF]
│
├─ Slice Control (전력망 슬라이스)
├─ QoS & Delay Enforcement
└─ Location Tracking (분산설비 단말)
▲
│ NEF API + Trigger
▼
[NEF]
│
├─ Slice Control (전력망 슬라이스)
├─ QoS & Delay Enforcement
└─ Location Tracking (분산설비 단말)
5. 연계 표준 문서
문서내용
TS 23.501 / 23.503 | 슬라이스 기반 인프라 트래픽 분리 구조 |
TS 23.548 | NEF API 기반 제어 기능 정의 |
TS 22.261 / 22.104 | 스마트에너지 Use Case 정의 (DER, grid, 전기차 등) |
TR 23.700-92 | 에너지 기반 슬라이스 및 통신 요구사항 정리 (Rel-18 신설) |
728x90
반응형
'IT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oT NTN 향상 (IoT over Non-Terrestrial Networks enhancement) (0) | 2025.04.23 |
---|---|
비지상 네트워크(NTN, Non-Terrestrial Network)**와 위성 통신(Satellite Communication) . NR NTN (New Radio Non-Terrestrial Network) 향상 (2) | 2025.04.23 |
Industrial Service Exposure Interface (0) | 2025.04.23 |
IMS (IP Multimedia Subsystem)멀티미디어 전화서비스의 진화 (0) | 2025.04.23 |
Network Slice Support Enhancements (0)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