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정보

MICO(Mobile Initiated Connection Only) Mode Support

by aiproductmanager 2025. 4. 23.
728x90
반응형
MICO (Mobile Initiated Connection Only ) Mode Support
 

 

**MICO Mode (Mobile Initiated Connection Only Mode)**는 3GPP에서 Rel-13에 처음 소개되었고, Rel-15~18까지 지속적으로 확장 적용되고 있는 UE 전력 최적화(Power Saving) 기술입니다. Rel-18에서는 MICO가 5GC, IoT, 슬라이스 기반 서비스에 적응될 수 있도록 향상되었습니다.


1. MICO Mode란?

MICO Mode는 단말(UE)이 자발적으로 접속 요청이 있을 때만 네트워크와 연결을 수립하고, 나머지 시간에는 비접속 상태로 유지하여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는 모드입니다.


2. 적용 대상

대상 설명
IoT 단말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보내는 스마트미터, 센서 등
에너지 민감 단말 배터리 기반 단말 (Wearable, Remote sensors 등)
5G mMTC 환경 10만 대 이상의 단말 밀집 환경에서 신호 절약 필수

3. 주요 기능 요약

기능 설명
UE initiated only UE가 연결 시작할 때만 RRC 접속 허용
네트워크 paging 없음 네트워크가 UE를 호출할 수 없음 (비수신 단말)
EPS/5GS 모두 지원 Rel-15 이후 EPC와 5GC 양쪽에서 확장됨
상태 유지 UE는 MICO 상태에서 RRC_IDLE 또는 RRC_INACTIVE 유지 가능

4. Rel-18에서의 확장

항목 설명
5G Core 연동 강화 MICO 상태에서도 AMF에서 등록 상태 유지 관리
MICO + PSM 병합 지원 MICO + Power Saving Mode 혼용 설정 가능 (IoT 단말 대상)
MICO + Slicing 정책 설정 가능 특정 S-NSSAI에서만 MICO 활성화 가능
NEF 연동 MICO UE 상태에서도 NEF를 통해 trigger 전송 가능

5. 시나리오 흐름

scss
 
[UE] --(Registration with MICO indication)--> [AMF]
   ↓                               
[MICO 상태로 전환, Paging 불가]

→ UE가 데이터 전송 필요 시
[UE] --(Service Request)--> [AMF/SMF]
→ 세션 수립 및 데이터 전송
→ 이후 다시 MICO 상태 진입

6. 장점과 단점

장점

대상 장점
사업자 시그널링 트래픽 감소, 망 부하 완화
단말/사용자 전력 절감 → 배터리 수명 연장
IoT 서비스 저주기 통신에 적합, Sleep 모드와 연계 운영 가능

단점

항목 설명
수신 불가 네트워크에서 단말로의 하향 호출 불가
긴급성 낮은 서비스에 적합 실시간 호출이 필요한 서비스에는 부적합
Tracking Area Update 지연 발생 가능성 위치 기반 서비스 사용 시 제한될 수 있음

7. 표준 문서 (Rel-18 기준)

문서 설명
TS 23.501 MICO 상태 정의 및 등록 절차
TS 24.501 NAS 레벨 MICO 기능 및 메시지 포맷
TS 23.682 IoT Triggering + NEF 연계 설명
TS 29.122 NEF → MICO UE Application Trigger 전달 방식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