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바다에서 바닷물이 밀물·썰물의 주기 이상으로 갑자기, 그리고 거대하게 빠져나가는 현상은 일반적으로 “쓰나미 전조”, 지진·해저 지각변동, 또는 드물게는 **기상이변(기압 급변)**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가능한 원인들을 정리해드릴게요:
1. 쓰나미 전조 현상 (Tsunami Drawback)
- 바닷물이 갑자기 해안에서 빠져나가며 바닥이 드러나는 현상
- 해저 지진이나 해저 산사태로 바다 전체가 밀려나면서 발생
- 특히 쓰나미가 밀려오기 전 수분~수십분 전에 발생
- 사람들이 해안 바닥을 구경하러 나왔다가 뒤이은 거대한 쓰나미에 휩쓸리는 사고가 많음
예시:
2004년 인도양 쓰나미 때 태국·스리랑카에서 바닷물이 수백 미터까지 빠져나갔음
2. 해저 지각 변동 (지진, 해저 융기·침강)
- 해양판과 대륙판 사이의 단층 운동이나 판 이동이 바닷물의 위치를 강제로 이동시킴
- 갑작스러운 지반 상승이 발생할 경우 바닷물이 급격히 밀려나갈 수 있음
- 이 역시 쓰나미를 유발할 수 있는 현상과 밀접
3. 공기압 급변에 따른 기상이변 (Meteotsunami)
- **기압 변화(저기압-고기압 간 급변)**로 생기는 파동에 의해 바닷물이 이동
- 강한 돌풍 또는 태풍의 중심 기압이 급격히 변할 때, 바닷물이 끌려나가듯 보이기도 함
- 일반 쓰나미보다는 규모가 작지만, 일부 지역에선 수면이 몇 미터씩 갑자기 낮아졌다가 다시 차오르기도 함
4. 지형적 공명 (Harbor Seiche, 항만 정상파 현상)
- 특정 해안이나 만, 항구는 지형 특성상 파동 공명 현상이 일어날 수 있음
- 이로 인해 바닷물이 급격히 빠졌다가 다시 들어오기도 하는 현상이 생김
5. 사례 요약
원인설명예시
쓰나미 전조 | 해저 지진으로 바닷물이 밀려나감 | 2004 인도양, 2011 동일본 |
해저 융기 | 지반이 올라가면서 물이 밀려나감 | 해령 지진 발생 시 |
기상 쓰나미 | 기압 급변에 따른 해수면 변동 | 지중해, 미국 플로리다 |
항만 공명 | 지형적 파동 공명 | 한국 동해 일부 항구 |
6. 정리된 해시태그
shell
복사편집
#쓰나미전조 #해저지진 #해양이상현상 #기상쓰나미 #해수면급변 #항만공명 #해안재난 #자연재해전조 #해양경고신호
이런 현상을 목격했다면 즉시 고지대로 대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혹시 실제 사례나 한국 근해에서 가능성 있는 지역도 알려드릴까요?
728x90
반응형
'과학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울에서 입사각과 반사각이 같아지는 이유 (0) | 2025.04.14 |
---|---|
궤베클리 테페(Göbekli Tepe)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거석(巨石) 신전 유적 (0) | 2025.04.14 |
중성미자 + 중력파 + FRB(고속전파폭발)를 동시에 같은 사건에서 검출 (0) | 2025.04.14 |
중성미자(Neutrino)란? (0) | 2025.04.14 |
중국의 미래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특히 미중 패권전쟁의 향방과 그 결과 (2)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