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안전망(MCPTX)과 TETRA 장비를 연동해주는 글로벌 게이트웨이 솔루션에 대해 조사하겠습니다.
MCPTX(Mission Critical Push-to-Everything) 서비스와 기존 TETRA 무전 시스템을 통합하여 음성, 데이터, 그룹콜, 상태 전송 등을 지원하는 게이트웨이 솔루션을 대상으로 하며, 특히 재난안전망 구축에 적합한 글로벌 벤더들의 제품, 특징, 연동 방식, 실제 구축 사례 등을 포함해 정리해드릴게요.
조사 결과를 정리해서 곧 알려드리겠습니다.
MCPTX–TETRA 연동 게이트웨이 솔루션 비교
재난안전망 구축 시 MCPTX(Mission Critical Push-To-Everything) 기술은 LTE/5G 기반의 차세대 광대역 미션크리티컬 통신을 의미하며, 기존 협대역 TETRA 무전 시스템과의 원활한 통합 운용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MCPTT/MCX–TETRA 게이트웨이가 사용되어 음성 그룹통화, 개별통화, 긴급호출, SDS(단문 데이터 서비스) 및 위치정보 등의 기능을 양 체계 간 연동합니다. 글로벌 주요 벤더들이 3GPP 표준에 기반한 다양한 게이트웨이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표준 기반의 연동 기능을 강조한 제품일수록 상호운용성과 확장성이 높습니다. 아래 표에는 Airbus, Motorola, Frequentis, Softil, Prescom 등의 대표 솔루션들을 비교 정리하였습니다.
주요 게이트웨이 솔루션 비교표
Airbus (Agnet TETRA) (Hybrid IWF 통합) |
- 음성 통화: TETRA 그룹콜 및 개별 PTT - 데이터: 텍스트/SDS 전송, 멀티미디어 공유 - 기타: 위치정보 공유, 긴급호출 연동 |
예 (3GPP IWF 표준 지원)
TETRA–LTE 상호연동 인터페이스 준수 |
- 핀란드 Virve 2.0 차세대 공공안전망
- UAE 아부다비 경찰 하이브리드망 |
- 미션크리티컬 코어 이중화 (Taira 서버 등) - 높은 가용성: TETRA망 백업 활용 - 확장성: Tetrapol 등 다양한 PMR 연동 |
Motorola (WAVE PTX + Critical Connect) (Broadband PTT 서비스 + 클라우드 게이트웨이) |
- 음성 통화: 그룹콜, 개별통화, 원격 모니터링(무전기 주변청취)
- 데이터: 멀티미디어 메시징, 영상 PTT 공유 - 기타: 긴급호출 (Emergency) 연동 지원 |
예 (3GPP MCPTT 규격 기반 서비스)
표준 MCX 기능 채택 (멀티미디어, 긴급호출 등) |
- 영국 런던 경찰 등 Airwave–ESN 연동 추진 - 호주 NSW 주정부 PTT망 (PSN) 구축 |
- Critical Connect 클라우드 연동: ASTRO(P25)/DIMETRA(TETRA) 통합
- 동적 그룹 패칭 지원 (그룹 통합/재구성) - E2E 암호화, 대규모 확장 (구독형 서비스) |
Frequentis (3020 LifeX + ESN Gateway) (통합 지휘센터 플랫폼 연동) |
- 음성 통화: 그룹콜, 개별통화, 긴급호출, 주변청취 모두 지원
- 데이터: 상태메시지·텍스트 전송 (TETRA SDS ↔ LTE 메시지) - 기타: 방송호출 등 Airwave 대비 동등 기능 제공 |
예 (3GPP MCX Release-15 기반) Nemergent MCX 코어 연동으로 표준 구현 |
- 영국 ESN 시범: 경찰·구급대 지휘실 연동
- 영국 Ambulance Radio Program (ARP) 적용 테스트 |
- 지휘센터 통합: 기존 TETRA 콘솔과 동일 UI/기능 - 고가용성 설계: 이중화된 LifeX 플랫폼 - 가상화 지원: 소프트웨어 게이트웨이로 유연 배치 |
Softil (BEEHD MCX IWF SDK) (SDK 기반 엔진, 예: Catalyst IntelliLink) |
- 음성 통화: 표준 MCPTT 그룹/개별통화 엔진 제공 - 데이터: 메시지 채팅, 파일전송 등 MCX 기능 구현 가능 - 기타: 벤더별 요구에 맞춰 위치 등 확장 지원 |
예 (3GPP MCX Release-16 프레임워크) 전세계 주요 MCX 서버와 호환 SDK |
- 미국 FirstNet – LMR 연동 게이트웨이 (DHS 시범)
- 캐나다 Bell 및 한국 Safe-Net 등 MCPTT 단말에 적용 |
- 범용 SDK: Airbus, Motorola 등 다수 솔루션에 내장
- 유연성: 다양한 LMR (P25 등)과 연동 개발 용이 - 확장성: 파트너사 통해 차량단말·콘솔까지 적용 |
Prescom (TACTICOM 게이트웨이 시리즈) (Intervention/RadioSite/DataCenter) |
- 음성 통화: PTT 음성 브리지 (다수 그룹 동시연결) 지원
- 기타: 호출자 ID 전달, 비상호출 신호 연동 ※SDS/데이터: 필요시 사용자별 맞춤 구현 |
예 (3GPP MCS 서버 표준 인터페이스)
MCPTT 표준 기반 LTE 연동 (Release-15) |
- 프랑스 경찰/소방 Tetrapol-LTE 통합 (TACTICOM) - 유럽 다수 국가 다중망 연동 솔루션 납품 |
- 전용 게이트웨이 장비: 휴대형부터 센터형 제공
- SNMP 관리, VMware 가상화 지원 - 다표준: TETRA·P25·DMR 등 동시 연결 지원 |
각 솔루션 모두 기존 협대역 무전망과 신규 광대역망을 동시에 활용하도록 설계되어, 재난통신의 연속성과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예를 들어 Airbus의 Agnet 하이브리드 솔루션은 맞춤형 게이트웨이부터 3GPP 표준 IWF(Interworking Function)까지 다양한 연동 방식을 지원함으로써, TETRA·Tetrapol 등의 기존 망과 LTE 미션크리티컬 서비스 간 원활한 상호운용을 구현합니다
. 이를 통해 TETRA 통화 그룹을 스마트폰으로 그대로 확장하고 멀티미디어 기능까지 제공하여, 사용자가 기존 무전기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넘나들며 통신할 수 있게 합니다. 실제로 에리illisverkot(핀란드 공공안전망 운영기관)은 Virve 2.0 브로드밴드망에 Agnet 기반 MCX 서비스를 도입하면서 기존 전국 TETRA망(Virve)과 끊김없이 연동하는 계획을 추진 중이고 , UAE 아부다비 경찰도 Agnet을 활용한 브로드밴드 통신을 기존 시스템에 순차 도입하여 안정적인 하이브리드 운영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 Airbus 솔루션의 강점은 완전 이중화된 미션크리티컬 코어(예: Taira 서버)로 높은 가용성을 갖추고, 전환 단계에서 TETRA망을 백업으로 활용하여 LTE 커버리지 문제나 장애 시에도 통신을 지속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 또한 Tetrapol 등 다양한 무전 표준을 포괄하기 때문에 국가별 기존망 환경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Motorola Solutions의 경우 WAVE PTX 브로드밴드 PTT 플랫폼과 Critical Connect 게이트웨이 서비스를 통해 TETRA와 LTE 간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WAVE PTX는 Motorola가 축적한 Kodiak 기술을 기반으로 발전된 것으로, 3GPP MCPTT 표준 기반의 광범위한 기능 세트를 갖춘 것이 특징입니다
. 예를 들어 스마트폰용 WAVE PTX 앱은 보안 멀티미디어 메시징, 영상 Push-to-Talk 스트리밍, 긴급호출, 원격 모니터링(무전기 원격 주변청취) 등을 지원하여 기존 음성 중심의 통신을 한층 강화합니다 . 한편 Critical Connect는 Motorola의 클라우드 기반 상호연동 게이트웨이로서, 기존 ASTRO 25(P25) 또는 DIMETRA TETRA 시스템을 다른 LMR망이나 브로드밴드 PTT 서비스에 간편히 연결해 줍니다 . 이를 통해 다양한 기관 및 지역 간에 음성통화 상호운용 (인터옵), 개인통화, 그룹 통합/재편성(동적으로 이종망의 그룹들을 패칭) 그리고 종단간 암호화까지 지원하여 보안도 유지합니다 . Critical Connect는 Subscription형 서비스로 확장성이 뛰어나고, 현재 영국 에어웨이브(Airwave) TETRA망과 차세대 ESN LTE망의 연동 방안으로도 거론되었습니다(영국 내 Airwave 운영사였던 Motorola의 역량을 활용) . 최근 Motorola는 호주 뉴사우스웨일즈(NSW) 주정부 공공안전망 사업에 WAVE PTX Government와 Critical Connect를 공급하여, 주(州)내 다양한 긴급구조 기관들이 기존 광역 무전망과 LTE PTT 간 심리스 통신을 구현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 이처럼 Motorola 솔루션은 클라우드 연동을 통한 손쉬운 확장과, MCPTX 표준 기반의 멀티미디어·긴급호출 기능으로 재난 상황에서의 상황인지 향상을 도모합니다.Frequentis는 공공안전 지휘센터 분야의 강점을 살려, 3020 LifeX 멀티미디어 통신 플랫폼에 ESN 게이트웨이 모듈을 통합하는 방식으로 TETRA-LTE 연동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이 솔루션은 영국 차세대 비상통신망(ESN) 전환을 위해 개발되고 있으며, Airwave TETRA망의 모든 핵심 기능을 ESN 브로드밴드망에서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실제 2021년 영국 홈오피스와 진행한 테스트에서 Frequentis는 그룹콜, 개별통화(발신/수신), 단말 원격 주변청취(ambient listening), 상태(Status) 메시지 및 텍스트 전송, 비상 호출, 단문 브로드캐스트 등 TETRA에서 제공되던 서비스들을 LTE MCX환경에서 성공적으로 재현해 보였습니다 . 특히 긴급 버튼 누름에 따른 비상호출, TETRA 단말 ID 및 상태 전송(SDS), 음성 방송통화까지 연동되어, 양대 망을 병행 운영하는 동안에도 사용자 경험의 통일성을 유지한다는 점을 입증했습니다. Frequentis 게이트웨이는 3GPP 표준에 따라 Nemergent사의 MCX 서버와 연동하여 개발되었고 , 현재 영국 구급대 등에서 레퍼런스 테스트를 마친 상태입니다. 이 솔루션의 기술적 특징은, 기존 TETRA 디스패치 콘솔과 동일한 인터페이스로 LTE망의 그룹을 제어할 수 있어 운영자 교육 없이도 이질망 통합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또한 LifeX 플랫폼의 이중화 구성으로 고가용성을 보장하며, 소프트웨어 기반 게이트웨이이므로 가상화 환경에서 유연하게 배치되어 여러 기관의 요구 규모에 맞게 확장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영국뿐 아니라 차세대 재난망을 추진 중인 다른 국가(예: 노르웨이 Nødnett 후속망, 핀란드 Virve 2 등)에서도 참고 모델이 되고 있습니다.Softil은 최종 솔루션을 직접 판매하기보다는, MCX 표준 구현을 위한 핵심 SDK를 제공하는 기술 공급업체로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Softil의 BEEHD 프레임워크는 3GPP Release-16 MCX 표준을 준수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이를 통합하면 휴대용 단말부터 LMR–LTE 게이트웨이, 녹취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비에 MCPTT/MCVideo/MCData 기능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 대표적으로 미국 Catalyst Communications는 미 국토안보부(DHS) 사업을 통해 Softil의 BEEHD를 기반으로 **IntelliLink™**라는 LMR-LTE 인터워킹 게이트웨이를 개발하였는데, 이는 세계 최초의 표준기반 MCPTT–LMR 음성 상호운용 브리지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 Softil 기술이 채택된 이 게이트웨이는 FirstNet 망의 MCPTT 사용자와 기존 무전망(P25 등) 사용자 간에 음성 그룹통화의 실시간 연동을 가능하게 했으며, Catalyst사는 동 기술을 자사의 디스패치 콘솔에도 적용하여 MCPTT 통화를 직접 수신/발신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Softil의 MCX SDK는 이러한 게이트웨이 개발 외에도 L3Harris, Sepura와 같은 양모드(LMR+LTE) 단말기 개발사, Airbus, Motorola, Nokia, Samsung과 같은 통신 인프라 공급사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어 업계의 사실상 표준 구현체로 자리매김했습니다 . 그 결과 Softil은 **한국 재난안전망(Safe-Net)**의 다수 단말 및 앱, 북미 Southern Linc의 차량용 단말, 캐나다 TELUS PSBN, 유럽 여러 MCX 프로젝트 등 5개 이상의 실망(實網) 구축 사례에서 간접적인 활약을 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 Softil 기반 솔루션의 장점은 서버-클라이언트 주요 인터페이스가 이미 표준과 호환되므로 상호운용 테스트에 유리하고, 타 업체 MCX 서버들과도 쉽게 연동된다는 점입니다. 또한 개발 유연성이 높아 각 현장의 요구에 따라 **특수 기능(예: 특정 형태의 데이터 연동이나 위치 정보 공유)**도 구현할 수 있으며, 성능 튜닝을 통해 확장성과 병행 사용자 수 증가에 대응하기 쉽습니다. 다만 Softil은 완제품이 아닌 SDK이므로, 최종 신뢰성이나 이중화 구조는 이를 통합하는 제조사에 따라 결정됩니다. 현재 Softil 파트너사들은 자사 솔루션에 별도의 이중화, 모니터링 기능을 덧붙여 공공안전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고 있습니다.Prescom은 프랑스 기반의 전문 게이트웨이 장비 제조사로, 오래전부터 군·경찰용 음성망 연동 솔루션을 제공해온 업체입니다. Prescom의 TACTICOM 시리즈는 이기종 무전망과 LTE망을 연결하는 다양한 형태의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며, 고정형 데이터센터 연동 장비에서부터 휴대용 배낭/슈트케이스형 장비까지 구비되어 있습니다
. 모든 TACTICOM 게이트웨이는 3GPP 미션크리티컬 서비스 표준에 따라 설계되어, LTE 측에는 표준 MCPTT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연동하고, 무전 측에는 TETRA, Tetrapol, P25, DMR 등 다양한 PMR 표준 인터페이스를 지원합니다 . Prescom 솔루션은 주로 음성 그룹 통화의 상호연결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하나의 LTE 그룹과 여러 개의 무전 그룹을 동시에 묶는 기능(Group Merge)도 제공합니다 . 이를 통해 예를 들어 경찰 TETRA망의 특정 그룹과 소방 P25망 그룹, 그리고 공공망 LTE상의 MCPTT 그룹을 하나의 공동 통화그룹처럼 운영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무전 사용자의 식별정보(PMR Talker ID)**를 LTE망으로 전달하고, **긴급 호출(비상 신호)**을 상호 인지시키는 등 음성 이외 부가신호 연동도 구현되어 있습니다 . (필요에 따라 특정 SDS 데이터나 위치 정보도 별도 모듈 개발로 연동 가능합니다.) Prescom은 2020년 TACTICOM V2 소프트웨어 릴리스를 통해 SNMP 기반 원격관리, VMware 가상화 지원 등의 기능을 추가하고 시스템 오디오 레벨 자동조정 등 안정성을 높였다고 발표했습니다 . 이러한 기술적 개선으로 대규모 재난망에서 요구되는 24/7 모니터링, 고가용성 클러스터 구성에 부응하고 있습니다. Prescom의 게이트웨이는 이미 **프랑스 국토군경(Tetrapol)**과 타 유럽 국가들의 시험적 통합에 사용되었으며, 프랑스 차세대 RRF 사업에서도 기존 Tetrapol 지역망 연계를 위해 일부 기술검증에 참여한 바 있습니다. 휴대용 TACTICOM 장비는 응급현장에서 신속히 전개하여 서로 다른 기관 무전망 간 **전술적 통신거품(tactical bubble)**을 형성하는 용도로도 활용 가능해, 재난 현장 지휘에 유용합니다.표준 기반 연동과 기술적 특징 비교
상기 솔루션들을 종합하면, 3GPP 표준 기반의 연동을 제공하는 제품일수록 이종 시스템 간 상호운용성과 기능 호환성이 뛰어나며, 향후 국제공조 통신에도 유리함을 알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각 벤더가 자체 프로토콜로 LMR–LTE 게이트웨이를 구현하여 상호 호환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 Airbus, Motorola, Frequentis, Prescom 등은 모두 3GPP에서 정의한 IWF 표준 인터페이스를 따르거나 적극 지원함으로써 표준 준수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Catalyst(Softil 기반)는 P25 ISSI 표준 + 3GPP MCX 표준 조합으로 세계 최초의 완전 표준형 게이트웨이를 발표했고
, Motorola도 최신 플러그테스트 행사에서 타사 IWF와 자사 LTE MCX 시스템 간 그룹콜 연동 시연을 성공하며 표준 적합성을 입증했습니다 . 이러한 표준 준수 노력은 이중, 삼중 벤더 환경에서도 통신이 끊기지 않게 하는 보험 역할을 합니다.기술적 측면에서, 고가용성(High Availability) 확보와 이중화(Redundancy) 구성은 재난망 게이트웨이의 필수 요건입니다. Airbus와 Frequentis는 핵심 서버를 이중화하고 중요 기능(예: 긴급호출 전파 등)이 하나라도 살아있도록 설계했습니다. Motorola Critical Connect 역시 지리적으로 이중화된 클라우드 인프라로 서비스 중단 위험을 최소화하며, 구독형 서비스로 필요 용량을 신속히 증감할 수 있어 탄력적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Prescom의 경우 Active-Standby 이중화 또는 N+1 구성을 통해 장애 시에도 통신 흐름을 유지하도록 권고되고 있고, SNMP 경보로 장애를 조기에 탐지합니다. 확장성(Scalability) 면에서는 소프트웨어 기반 솔루션들이 유리한데, Softil SDK를 활용한 경우 고객 환경에 맞춰 서버 증설이나 분산 배치를 유연하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보안(Security) 측면에서는 모든 솔루션이 종단간 암호화나 인증 체계를 기존 망 수준으로 맞추도록 설계되어, 예컨대 TETRA의 TEA 암호화 음성이 LTE망으로 넘어갈 때 암호를 유지하거나 재암호화하여 도청 방지를 지속합니다
. 일부 고도화된 솔루션 (예: Motorola, Airbus)은 다중 그룹 패칭, 사용자 우선순위 동기화, 통화 권한 제어 등 부가 기능도 지원해 복잡한 재난 상황에서도 일관된 통신 규율이 유지되도록 합니다.결론적으로, 재난안전망에 적합한 MCPTX–TETRA 게이트웨이 솔루션은 표준 기반의 폭넓은 연동 기능(음성, 데이터, 긴급 등)과 검증된 고가용성 아키텍처를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Airbus, Motorola, Frequentis 등의 솔루션은 대규모 국가망 전환 사례를 통해 신뢰성을 입증하고 있으며, Softil과 Prescom 같은 전문업체의 기술은 이러한 솔루션들의 숨은 연결 고리 역할을 하여 상호운용성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각 벤더별로 구현 방식과 강조점에는 차이가 있으나, 궁극적으로 기존 TETRA 기반 음성통신의 안정성과 LTE 기반 멀티미디어 통신의 풍부한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면서 단계적으로 통합된 재난망으로 이행하도록 돕는다는 공통된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게이트웨이들을 활용하면, 재난 대응 기관들은 투자 보호와 신규 기술 도입을 균형 있게 달성하여 언제 어떠한 상황에서도 끊김없는 통신을 보장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 자료
- 3GPP MCX–LMR 인터워킹 표준 및 벤더 구현 사례
- criticalcommunications.airbus.com
- Airbus Agnet TETRA 하이브리드 솔루션 – 핀란드 Virve2.0 및 UAE 사례
- criticalcommunications.airbus.com
- Motorola WAVE PTX / Critical Connect – 3GPP 기반 기능 및 NSW 경찰망 적용
- criticalcommunicationsreview.com
- Frequentis LifeX ESN Gateway – Airwave–ESN 기능 연동 테스트 결과
- frequentis.com
- Softil BEEHD SDK – Catalyst 게이트웨이 등 파트너 활용 사례
- softil.com
- Prescom TACTICOM 게이트웨이 – 기능 세부사항 및 표준 연동 설명
- criticalcommunicationsreview.com
'IT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pura, TETRA와 LTE 기반 MCPTT(Mission Critical Push-To-Talk) (0) | 2025.03.31 |
---|---|
ROIP GW, PMR-IWF, MCPTT to TETRA Gateway 비교 (0) | 2025.03.31 |
컴퓨터에서 프록시(Proxy) 설정을 하는 방법 (2) | 2025.03.24 |
주요 제조사별 최신 5G RAN 장비의 전력 소비 및 에너지 효율성 비교 분석 (1) | 2025.03.19 |
5G RAN(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절감을 위한 딥 슬립(Deep Sleep,Super Sleep) 기술 (0)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