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

4G OFCS(Offline Charging System) 연동을 위해 필요한 연동 규격

aiproductmanager 2025. 1. 22. 21:32
728x90
반응형

4G OFCS(Offline Charging System) 연동을 위해 필요한 연동 규격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정의한 표준을 따릅니다. 주요 연동 규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Gy 인터페이스

  • 목적:
    • 실시간 과금(Online Charging System, OCS)과의 통신을 통해 과금 데이터를 전달.
  • 프로토콜: Diameter.
  • 주요 기능:
    • 사용량 모니터링.
    • 과금 규칙 확인.
  • 참고 규격: 3GPP TS 32.299.

2. Gz 인터페이스

  • 목적:
    • OFCS와 네트워크 요소(PGW, SGW, MME 등) 간에 사용된 과금 데이터를 전달.
  • 프로토콜: GTP' (GPRS Tunneling Protocol Prime).
  • 주요 기능:
    • CDR(Call Detail Records) 생성 및 전달.
  • 참고 규격: 3GPP TS 32.295.

3. Ga 인터페이스

  • 목적:
    • OFCS와 CGF(Charging Gateway Function) 간에 CDR 데이터를 전달.
  • 프로토콜: FTP(File Transfer Protocol) 또는 FTAM(File Transfer and Access Management).
  • 주요 기능:
    • CDR 전송 및 저장.
  • 참고 규격: 3GPP TS 32.297.

4. Rf 인터페이스

  • 목적:
    • OFCS와 네트워크 요소 간에 오프라인 과금 데이터를 전달.
  • 프로토콜: Diameter.
  • 주요 기능:
    • 과금 요청(Credit-Control Request, CCR) 및 응답(Credit-Control Answer, CCA) 처리.
  • 참고 규격: 3GPP TS 32.299.

5. S6a 및 S6b 인터페이스

  • 목적:
    • 사용자 정보와 과금 관련 정보를 HSS(Home Subscriber Server) 또는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서버와 연동.
  • 프로토콜: Diameter.
  • 참고 규격: 3GPP TS 29.272, TS 29.273.

6. Sy 인터페이스

  • 목적:
    •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와 OCS 간의 정책 및 과금 제어 정보 교환.
  • 프로토콜: Diameter.
  • 참고 규격: 3GPP TS 29.219.

연동 설계 시 고려사항

  1. 프로토콜 호환성:
    • Diameter와 GTP' 프로토콜이 주로 사용되므로, 연동하는 장비가 이를 지원해야 합니다.
  2. CDR 포맷:
    • OFCS에서 CDR 포맷은 3GPP 규격에 따라 구성되어야 하며, 특정 사업자 요구사항에 맞게 확장될 수 있습니다.
  3. 보안:
    • Diameter와 GTP' 통신은 TLS/DTLS를 사용하여 보안성을 강화합니다.
  4. 규격 준수:
    • 3GPP TS 32 시리즈와 TS 29 시리즈를 준수하여 연동 구현.

결론

4G OFCS 연동에는 주로 Diameter 기반의 Gy, Rf, Sy 인터페이스GTP' 기반의 Gz 인터페이스가 필요합니다. 프로젝트에 따라 구체적인 요구사항과 사업자별 특화된 설정이 요구될 수 있으므로, 연동 전에 상세 설계와 테스트 계획이 필수적입니다.

 

IDI 시스템과 4G OFCS(Offline Charging System)를 연동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는 두 시스템 간의 데이터 흐름,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정의 및 연동에 필요한 환경 설정 등이 포함됩니다. 다음은 연동을 위해 준비해야 할 주요 정보입니다.


1. 인터페이스 관련 정보

  1. 주요 인터페이스:
    • Rf 인터페이스: Diameter 프로토콜 기반으로 사용량 데이터를 전송.
    • Ga 인터페이스: FTP 또는 FTAM을 통해 Call Detail Records(CDR)를 전달.
    • Gz 인터페이스: GTP' 프로토콜 기반으로 네트워크 요소와 OFCS 간 과금 데이터를 전송.
  2. 프로토콜 지원:
    • Diameter 프로토콜 사양 (예: Diameter AVP(Attribute Value Pair) 구조).
    • GTP' 프로토콜 사양 (사용량 데이터 전송 시 필요).

2. IDI 시스템 관련 정보

  1. 데이터 모델 및 포맷:
    • IDI 시스템에서 생성 및 처리하는 데이터 형식.
    • CDR 데이터의 구조, 필드 정의(예: 사용자 ID, 세션 정보, 사용량 데이터 등).
  2. 연동 방식:
    • IDI 시스템이 OFCS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Diameter, FTP, API 등).
    • 데이터를 송수신할 주기와 타이밍.
  3. IP 및 포트 정보:
    • IDI 시스템 및 OFCS 간 통신을 위한 IP 주소 및 포트 번호.
    • Diameter 기본 포트(통상적으로 3868) 또는 FTP 관련 설정.
  4. CDR 전송 규칙:
    • CDR 파일 생성, 전송, 확인(ACK) 프로세스.
    • 전송 실패 시 재전송 정책.

3. OFCS 시스템 관련 정보

  1. CDR 규격:
    • OFCS에서 요구하는 CDR 필드 및 포맷 (3GPP TS 32.297 참조).
    • 예: IMSI, MSISDN, RAT Type, Start Time, End Time, Usage Volume.
  2. 데이터 처리 요구사항:
    • 실시간 데이터 수신 및 처리 여부.
    • 데이터를 수집, 분석, 저장하는 주기.
  3. 보안 설정:
    • 데이터 전송 시 TLS/DTLS 사용 여부.
    • 인증 및 암호화 설정.
  4. 오류 처리:
    • 데이터 전송 실패 시 알림 및 재전송 메커니즘.
    • CDR 데이터 중복 방지 및 무결성 검증.

4. 네트워크 환경 정보

  1. 연결 네트워크:
    • IDI 시스템과 OFCS 간 통신이 이루어질 네트워크 환경 (LAN/WAN).
    • 방화벽 설정 및 네트워크 접근 제어.
  2. 라우팅 정보:
    • 데이터 패킷이 IDI 시스템에서 OFCS로 정확히 전달되기 위한 경로.
    • NAT 또는 VPN 설정 여부.
  3. Latency 요구사항:
    • 실시간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경우 네트워크 지연 허용 범위.

5. 테스트 및 검증 정보

  1. 테스트 케이스:
    • CDR 데이터 전송 및 수신 테스트.
    • 데이터 포맷 및 무결성 검증.
    • Diameter 메시지 전송/응답 검증.
  2. 성능 테스트:
    • 대량의 CDR 데이터를 처리할 때의 성능 확인.
    • 네트워크 대역폭 사용량 및 과부하 테스트.
  3. 시뮬레이션 도구:
    • IDI 또는 OFCS와 동일한 환경에서 데이터를 생성하고 전송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

6. 시스템 구성 요소 및 문서

  1. 시스템 매뉴얼:
    • IDI 및 OFCS 시스템의 구성 및 연동을 위한 기술 문서.
    • 데이터 흐름 다이어그램.
  2. 버전 호환성:
    • IDI와 OFCS 간 소프트웨어 버전 호환성 확인.
  3. 운영 정책:
    • 데이터 저장 기간, 데이터 백업, 재처리 정책 등.

결론

IDI 시스템과 4G OFCS를 연동하려면 인터페이스 규격(Diameter, GTP', FTP 등), 데이터 포맷, 네트워크 설정, 보안 요구사항, 그리고 테스트 계획을 철저히 준비해야 합니다. 특히, CDR 포맷과 전송 프로세스에 대해 명확히 정의하고, 데이터 처리와 오류 상황에 대비한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업자의 요금 정책, 요금제, 요금 시나리오에 따라 연동 인터페이스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소는 요금 계산 방식, 데이터 처리 요구사항, 정책 구현 방식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각 요소는 4G OFCS(Offline Charging System) 및 OCS(Online Charging System)와의 연동 방식과 인터페이스 동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1. 요금 정책이 연동 인터페이스에 미치는 영향

  1. 실시간 요금 계산 필요 여부:
    • 실시간 요금 계산이 필요하면 Gy 인터페이스(OCS와 연동)가 필수적입니다.
    • 오프라인 데이터 기반 정산만 필요하면 Rf 인터페이스(OFCS와 연동)가 주로 사용됩니다.
  2. 정밀한 과금 데이터 요구:
    • 사업자가 세분화된 요금제를 운영하면, 과금 데이터(CDR)에서 추가 필드(예: 시간대, 위치, 사용량 분류 등)가 필요합니다.
    • 이로 인해 CDR 포맷과 관련된 Gz, Ga, Rf 인터페이스가 영향을 받습니다.
  3. 정책 기반 과금(PCRF 연동):
    • 요금 정책에 따라 데이터 속도 제한, 특정 서비스(예: 동영상 스트리밍) 과금 차별화 등 정책이 다르면 Sy 인터페이스를 통한 OCS와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간의 연동이 필요합니다.

2. 요금제가 미치는 영향

  1. 요금제 유형:
    • 정액제(Flat Rate):
      • 월 사용량이 고정된 요금제는 사용량 데이터 모니터링 빈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 Rf 인터페이스의 빈도나 데이터 크기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 종량제(Usage-based):
      • 사용량 기반 요금제는 실시간 데이터 전송이 더 중요하며, Gy 인터페이스의 트래픽 증가.
      • CDR의 사용량 필드(예: MB 단위, 세션 단위)와 관련된 Gz 인터페이스가 중요해집니다.
    • 혼합 요금제(Hybrid):
      • 정액제와 종량제를 결합한 요금제는 복잡한 사용량 추적 및 정책 기반 과금이 필요하며, 여러 인터페이스(Rf, Gy, Sy)가 동시에 활용됩니다.
  2. 요금제의 사용자별 차등화:
    • VIP 고객, 일반 고객 등 그룹별 요금제를 운영하면, 사용자 속성(예: 등급, 할인율)을 반영하기 위해 OCS 또는 OFCS에서 추가 데이터 필드를 처리해야 합니다.

3. 요금 시나리오가 미치는 영향

  1. 서비스 유형별 과금:
    • 음성, 데이터, 메시지 등 서비스 유형별로 다른 요금 정책을 적용할 경우:
      • Rf 인터페이스에서 서비스별 사용량 데이터(CDR) 분류가 필요.
      • Sy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별 정책 제어.
  2. 시간대 기반 요금:
    • 특정 시간대에 요금이 다르게 적용되는 경우:
      • OCS 또는 OFCS에서 시간대 데이터를 포함한 정확한 과금 요청이 필요.
      • Gy 또는 Rf 인터페이스에 시간대 관련 필드 추가.
  3. 이벤트 기반 요금:
    • 특정 이벤트(예: 프로모션, 특정 콘텐츠 사용) 시 요금 할인이 적용되면:
      • OCS와 실시간 통신을 통해 이벤트 적용 여부를 확인(Gy 인터페이스 활용).
      • OFCS에서 이벤트 데이터를 포함한 상세한 CDR 기록 필요.
  4. 로밍 과금:
    • 로밍 사용량에 따라 요금이 다르면:
      • Visited Network에서 Home Network로 사용량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Gy 및 Gz 인터페이스 활용.
      • 로밍 관련 속성(예: MCC/MNC, 로밍 구간)을 포함한 CDR 생성.

4. 연동 인터페이스에 영향을 주는 기술적 요소

  1. 데이터량 및 빈도:
    • 종량제나 실시간 과금이 많은 경우, Gy 또는 Rf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전송 빈도가 높아지고 대역폭 요구가 증가.
  2. 데이터 필드 및 포맷:
    • 요금 정책에 따라 새로운 데이터 필드(예: 서비스 유형, 사용자 그룹, 로밍 정보 등)를 포함하도록 CDR 포맷 확장이 필요.
  3. 보안 요구사항:
    • 민감한 사용자 데이터(예: 과금 데이터, 로밍 정보 등)를 처리하므로 TLS/DTLS와 같은 보안 프로토콜이 필수.
  4. 정책 및 QoS 제어:
    • QoS(서비스 품질) 제어와 연동된 정책 기반 과금이 필요한 경우, Sy 인터페이스에서 PCRF와 OCS 간의 실시간 통신이 중요.

결론

사업자의 요금 정책, 요금제, 요금 시나리오가 OFCS 및 OCS와의 연동 인터페이스에 미치는 주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실시간 과금 여부 → Gy, Sy 인터페이스 활용 증가.
  • 세분화된 데이터 요구 → Rf, Gz 인터페이스의 CDR 구조 복잡성 증가.
  • 정책 및 이벤트 기반 과금 → Sy 인터페이스 통한 정책 연동.
  • 네트워크 대역폭, 데이터 처리량 → 인터페이스 트래픽 및 성능 최적화 필요.

연동 설계 시 이러한 요인을 사전에 고려하여 인터페이스 구조와 데이터 처리를 최적화해야 합니다.

 

 

Payment Gateway와 OFCS(Offline Charging System), CHF(Charging Function) 간 연동을 위해 필요한 인터페이스는 과금 데이터 전달, 결제 상태 확인, 사용자 인증 및 기타 필요한 데이터 흐름을 처리하기 위한 표준화된 연결을 구축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아래는 각 시스템 간의 주요 인터페이스와 그 역할을 설명한 내용입니다.


1. Payment Gateway와 OFCS 간 연동

OFCS는 네트워크 사용량 기반의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고, Payment Gateway는 결제를 처리합니다. 이 둘을 연결하는 연동은 다음을 포함합니다:

필요한 인터페이스

  1. CDR 전달 (Rf 또는 Ga 인터페이스):
    • OFCS → Payment Gateway:
      • OFCS가 생성한 CDR(Call Detail Records)을 Payment Gateway로 전달해 청구 데이터를 기반으로 결제를 요청.
    • 프로토콜: Diameter (Rf), FTP/FTAM (Ga).
    • 역할:
      • 사용량 기반 결제 정보 전달.
      • 사용자 ID, 사용량, 요금 등을 포함.
  2. 결제 상태 확인:
    • Payment Gateway → OFCS:
      • 결제 성공/실패 상태를 OFCS로 전달.
    • 프로토콜: HTTP(S) API 또는 메시지 큐 시스템.
    • 역할:
      • 결제 완료 정보를 OFCS에 기록해 데이터 일관성 유지.

추가 고려사항

  • 보안 요구사항:
    • 결제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HTTPS/TLS를 사용.
  • 실시간 데이터 처리:
    • 실시간 결제를 지원하려면 OFCS와 Payment Gateway 간의 데이터 교환 속도가 중요.

2. Payment Gateway와 CHF 간 연동

CHF는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고, 정책 기반의 과금 기능을 제공합니다. Payment Gateway와의 연동은 요금 정책 및 결제 상태를 관리하는 데 필수입니다.

필요한 인터페이스

  1. 정책 및 과금 데이터 통신 (Sy 인터페이스):
    • CHF ↔ Payment Gateway:
      • 정책 기반으로 결제 상태와 과금 정보를 교환.
    • 프로토콜: Diameter.
    • 역할:
      • 결제 후 정책 변경(예: 데이터 추가, 서비스 활성화) 반영.
      • 사용자 잔액 업데이트.
  2. 결제 이벤트 전달:
    • Payment Gateway → CHF:
      • 사용자가 결제를 완료한 후, 결제 완료 이벤트를 전달해 서비스 활성화 트리거.
    • 프로토콜: HTTP(S) API 또는 Diameter.

3. OFCS와 CHF 간 연동

OFCS와 CHF는 요금 데이터를 처리하고 관리하기 위해 긴밀히 연동됩니다.

필요한 인터페이스

  1. 과금 데이터 동기화 (Rf 인터페이스):
    • OFCS → CHF:
      • 오프라인 과금 데이터를 전달해 CHF에서 정책 기반 결제를 처리.
    • 프로토콜: Diameter.
    • 역할:
      • CHF가 실시간 정책 및 사용자 데이터에 맞게 과금 정보 업데이트.
  2. 정책 연동 (Sy 인터페이스):
    • CHF ↔ OFCS:
      • 정책에 따른 사용량 제한 및 결제 상태 반영.
    • 역할:
      • CHF가 OFCS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상태를 실시간 조정.

4. Payment Gateway, OFCS, CHF 간 공통 연동 요소

통합 흐름

  1. 결제 요청 및 승인:
    • OFCS에서 CDR 생성 → Payment Gateway로 전달 → 결제 승인 및 상태 반환.
  2. 사용량 및 잔액 동기화:
    • CHF에서 정책 기반으로 사용자 데이터 업데이트.
    • 결제 상태와 사용량 데이터를 OFCS에 기록.

기술 스택

  • 프로토콜:
    • Diameter (Rf, Sy 인터페이스).
    • HTTP(S) API (Payment Gateway 연동 시).
    • FTP 또는 메시지 큐를 통한 비동기 통신.
  • 데이터 포맷:
    • JSON, XML, Diameter AVP(Attribute-Value Pair) 등.

보안:

  • TLS/DTLS를 사용한 암호화된 데이터 전송.
  • OAuth 또는 API 키를 활용한 인증.

결론

  • Payment Gateway와 OFCS 간의 Rf 또는 Ga 인터페이스를 통해 CDR 데이터를 교환해야 하며, 결제 상태를 API로 전달해야 합니다.
  • CHF와 Payment Gateway는 Sy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책 기반 과금 및 결제 상태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 OFCS와 CHF는 Rf 및 Sy 인터페이스를 사용해 데이터 동기화 및 정책 연동을 수행합니다.

이를 통해 모든 시스템 간의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하고, 효율적인 결제 및 과금 환경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과금 경보(Charging Alerts)의 종류와 전달 방식은 네트워크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 모두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사용됩니다. 아래는 과금 경보의 주요 종류와 전달 방식에 대한 설명입니다.


1. 과금 경보의 주요 종류

(1) 사용자 측 경보

  1. 잔액 부족 경보 (Low Balance Alert)
    • 사용자의 계정 잔액이 특정 임계값 이하로 감소했을 때 발생.
    • 예: "잔액이 1,000원 이하입니다. 충전하세요."
  2. 사용량 임계치 경보 (Usage Threshold Alert)
    • 데이터, 음성, 메시지 사용량이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했을 때 발생.
    • 예: "데이터 사용량이 90%를 초과했습니다."
  3. 요금제 만료 경보 (Plan Expiry Alert)
    • 가입한 요금제의 만료일이 다가오거나 만료되었을 때 발생.
    • 예: "요금제가 1일 후 만료됩니다."
  4. 초과 사용 경보 (Overage Alert)
    • 사용량이 요금제 한도를 초과했을 때 발생.
    • 예: "데이터 한도를 초과하여 추가 과금이 발생 중입니다."
  5. 로밍 경보 (Roaming Alert)
    • 로밍 상태에서 사용량이나 과금이 증가했을 때 발생.
    • 예: "현재 로밍 중이며 데이터 요금이 추가로 부과됩니다."

(2) 운영자 측 경보

  1. 시스템 오류 경보 (System Error Alert)
    • 과금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장애가 발생했을 때.
    • 예: "OFCS와 OCS 간 연결 장애 발생."
  2. 과금 데이터 누락 경보 (CDR Missing Alert)
    • CDR(Call Detail Record) 데이터가 누락되었을 때.
    • 예: "특정 세션의 CDR 데이터가 처리되지 않았습니다."
  3. 수익 손실 경보 (Revenue Loss Alert)
    • 네트워크에서 예상 수익과 실제 수익의 차이가 발생했을 때.
  4. 네트워크 자원 초과 경보 (Resource Overuse Alert)
    • 네트워크 자원이 과부하 상태일 때.
    • 예: "정액제 사용자의 데이터가 과다 사용되고 있습니다."

2. 과금 경보 전달 방식

(1) 사용자에게 경보 전달

  1. SMS (Short Message Service)
    •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문자 형태로 전송.
    • : "잔액 부족. 현재 잔액: 500원."
  2. 이메일 (Email)
    • 상세한 과금 및 사용량 정보를 사용자 이메일로 전달.
    • : "이번 달 데이터 사용량이 90%를 초과했습니다."
  3. 푸시 알림 (Push Notification)
    • 서비스 제공자의 모바일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알림 전달.
    • : "현재 사용량이 95%를 초과했습니다."
  4. USSD 메시지
    • 사용자가 특정 코드를 입력하면 실시간 과금 상태를 확인하거나 경보를 받음.
    • : "*123#" 입력 후 "잔액: 300원" 표시.
  5. IVR (Interactive Voice Response)
    • 음성 안내를 통해 잔액이나 사용량 경고를 알림.
    • : "잔액이 1,000원 이하입니다. 충전해 주세요."

(2) 운영자에게 경보 전달

  1.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NMS) 통합 알림
    • 네트워크 관리 도구를 통해 경보가 실시간으로 전달.
    • 프로토콜: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2. 이메일 알림
    • 장애나 데이터 누락 등의 경보를 운영자 이메일로 전달.
    • : "CDR 처리 실패. 로그를 확인하세요."
  3. 대시보드 경보 (Dashboard Alert)
    • 과금 및 사용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대시보드에 경고 표시.
    • : "지난 1시간 동안 10건의 오류 발생."
  4. 모바일 앱 알림
    • 운영자가 사용하는 관리 앱에 푸시 알림으로 전달.
    • : "Revenue Loss 발생. 세부사항 확인 필요."
  5. SMS 또는 음성 통보
    • 중요한 경고는 운영자 핸드폰으로 SMS나 자동 음성 메시지로 전달.

3. 전달 방식 설계 시 고려사항

  1. 실시간성:
    • 중요한 경고는 사용자와 운영자 모두에게 실시간으로 전달되어야 함.
  2. 우선순위:
    • 경보의 중요도에 따라 전달 우선순위를 다르게 설정.
    • 예: 로밍 과금 경보는 실시간 전달, 사용량 경보는 주기적 전달.
  3. 다중 채널 사용:
    • SMS, 이메일, 푸시 알림 등 여러 채널을 사용해 누락 방지.
  4. 보안:
    • TLS, HTTPS 등 암호화 프로토콜을 통해 경고 데이터 보호.
  5. 사용자 설정 가능:
    •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SMS, 이메일 등)으로 경보를 받을 수 있도록 선택 기능 제공.

결론

과금 경보는 사용자와 운영자 모두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SMS, 이메일, 푸시 알림, USSD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달됩니다. 설계 시 실시간성, 보안, 다중 채널 활용 및 사용자 설정 가능성을 고려해 효과적인 전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OFCS(Offline Charging System) 및 CHF(Charging Function)를 in-service 상태에서 마이그레이션(migration)하는 방법은 실시간 과금과 서비스 중단 없이 진행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를 위해 세부적인 계획, 테스트, 이중화 및 단계적 전환 방식이 필요합니다. 아래는 주요 단계를 설명한 내용입니다.


1. 사전 준비 단계

  1. 현황 분석
    • 기존 OFCS/CHF 시스템의 아키텍처, 인터페이스, 데이터 흐름 분석.
    • 관련 네트워크 요소(PGW, SGW, OCS 등)와의 연동 구조 및 프로토콜 확인.
    • 현재 사용 중인 CDR 포맷, Diameter 인터페이스(Rf, Sy 등) 분석.
  2. 새로운 시스템 설계
    • 마이그레이션할 새로운 OFCS/CHF 시스템의 스펙 정의.
    •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프로토콜, 데이터 포맷, 인터페이스) 확인.
    •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데이터 매핑 및 변환 로직 정의.
  3. 테스트 환경 구축
    • 새 시스템에서 테스트할 수 있는 병렬 환경 구축.
    •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실제 운영 상황 시뮬레이션.
  4. 백업 계획 수립
    • 기존 시스템의 데이터(CDR, 과금 기록, 설정값 등) 백업.
    • 운영 중 문제가 발생할 경우 롤백 절차 정의.

2. 단계별 마이그레이션

(1) 병렬 운영 (Parallel Operation)

  • 목적: 기존 시스템과 새로운 시스템을 동시에 운영하며 안정성을 확인.
  • 방법:
    • 기존 OFCS/CHF와 새 시스템을 병렬로 연결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처리.
    • CDR 데이터를 복제하여 두 시스템으로 전송.
    • 두 시스템의 결과값 비교 및 검증.

(2) 데이터 동기화

  • 기존 시스템에서 새로운 시스템으로 다음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배치로 전송:
    1. 사용자 과금 정보 (잔액, 플랜, 사용량).
    2. 정책 데이터(PCRF와 연동된 QoS 정책, 한도 설정 등).
    3. 과거 CDR 및 과금 기록.

(3) 인터페이스 연동 테스트

  • 기존 시스템과 새로운 시스템 간 Diameter 인터페이스(Rf, Sy 등)를 동시에 운영.
  • 연동되는 네트워크 요소(PGW, SGW, OCS)와의 호환성 확인.

(4) 단계적 트래픽 전환

  • 실시간 트래픽을 기존 시스템에서 새로운 시스템으로 점진적으로 전환.
  • 방법:
    • 사용자 그룹을 나눠 소규모로 전환 시작.
    • 트래픽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며 안정성 검증.

3. 전환 단계

(1) 완전 트래픽 전환

  • 기존 시스템에서 새 시스템으로 모든 트래픽을 전환.
  • 기존 시스템을 비활성화(standby 상태)하며, 새로운 시스템만 활성화.

(2) 사용자 및 과금 데이터 확인

  • 사용자 데이터(잔액, 사용량, 플랜 등)가 정확히 전환되었는지 확인.
  • 실시간 과금 데이터 처리 및 정책 실행을 테스트하여 정상 작동 여부 검증.

(3) 장애 및 이슈 대응

  • 전환 중 발생할 수 있는 장애(트래픽 누락, CDR 손실 등)에 대비한 모니터링 및 장애 처리 체계 운영.
  • 롤백 절차:
    • 새로운 시스템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기존 시스템으로 즉시 트래픽을 전환.

4. 사후 작업

  1. 최종 검증
    • 새로운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처리, 정책 실행, 과금 계산 결과 검증.
    • 기존 시스템에서 생성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데이터 일관성 확인.
  2. 운영 최적화
    • 새 시스템에서의 성능 및 처리 속도를 모니터링하고 튜닝.
    • 필요 시 추가적인 소프트웨어 패치 적용.
  3. 기존 시스템 폐기
    • 기존 시스템 데이터를 아카이빙 후 시스템을 완전히 비활성화 및 폐기.
    • 기존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 제거.

5. 주요 고려사항

  1. 서비스 연속성
    • 마이그레이션 동안 서비스 중단이 없도록 병렬 운영 및 단계적 전환 방식 채택.
  2. 보안
    • 데이터 전송 및 동기화 과정에서 TLS/DTLS와 같은 암호화 기술 사용.
    • 민감 데이터(사용자 과금 정보 등) 보호.
  3. 테스트 계획
    • 모든 시나리오(정상/비정상 상황)를 포함한 테스트 계획 수립.
    • 로드 테스트를 통해 대규모 트래픽 처리 능력 검증.
  4. 운영자 교육
    • 새 시스템에 대한 운영자 교육 및 관리 툴 제공.

결론

  • 병렬 운영단계적 전환이 in-service 상태에서 OFCS와 CHF를 안전하게 마이그레이션하는 핵심 전략입니다.
  • 데이터 동기화, 실시간 트래픽 전환, 철저한 테스트와 모니터링을 통해 서비스 중단 없이 마이그레이션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
  • 전환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문제에 대비한 롤백 계획과 안정성을 확인하는 최종 검증이 중요합니다.

 

가입자 DB 마이그레이션(Subscriber Database Migration)은 기존 데이터베이스에서 새로운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이전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이를 수행하는 방법에는 API를 통한 자동화 방식, ASCII 또는 CSV를 통한 파일 전송 방식, 엑셀을 활용한 수작업 방식이 있습니다. 각 방법의 세부 절차와 장단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1. API를 통한 마이그레이션

특징

  • 자동화된 데이터 전송 방식.
  • REST API, SOAP API, 또는 기타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

단계별 절차

  1. API 인터페이스 정의
    • 원천 시스템(Old System)과 대상 시스템(New System)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API 설계.
    • 필수 요소:
      • 인증 방식(OAuth, JWT 등).
      • 데이터 포맷(JSON, XML).
      • 호출 방식(POST, PUT 등).
  2. 데이터 매핑
    • 원천 시스템과 대상 시스템의 데이터 필드 매핑 정의.
    • 예: Old_DB.username → New_DB.user_id.
  3. API 엔드포인트 구축
    • 대상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을 위한 API 엔드포인트 구성.
    • : POST /api/v1/subscriber.
  4. 데이터 전송 및 검증
    • API 호출 스크립트 작성(예: Python, Java).
    • 전송 후 응답 상태 코드(200, 201 등)와 에러 로그를 확인.
    • 전송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샘플 데이터 비교).
  5. 자동화 도구 사용
    • 데이터 규모가 클 경우, ETL(Extract, Transform, Load) 도구 활용.
    • : Talend, Apache NiFi.

장단점

  • 장점:
    • 대규모 데이터에 적합.
    • 전송 속도가 빠르고 오류 추적이 용이.
    • 실시간 또는 배치 처리 가능.
  • 단점:
    • API 개발 및 테스트에 시간이 소요.
    • 양측 시스템 간 네트워크 연결 및 인증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2. ASCII 또는 CSV 파일 전송 방식

특징

  • 데이터를 파일 형태로 추출하고, 대상 시스템으로 업로드하여 처리.

단계별 절차

  1. 데이터 추출
    • 원천 시스템에서 ASCII 또는 CSV 파일로 데이터를 내보냄.
    • :
      css
      복사편집
      user_id,username,email,phone 101,johndoe,john@example.com,1234567890
  2. 파일 검증
    • 데이터 필드와 포맷이 대상 시스템 요구사항과 일치하는지 확인.
    • 텍스트 에디터 또는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오류 데이터 수정.
  3. 파일 전송
    • SFTP, SCP, 또는 파일 공유 시스템으로 대상 시스템에 파일 업로드.
    • 대규모 데이터는 압축 형식(zip, gzip)으로 전송.
  4. 대상 시스템 업로드 및 처리
    • 대상 시스템에서 업로드된 파일을 데이터베이스에 로드.
    • SQL 스크립트를 통해 데이터 삽입:
      sql
      복사편집
      LOAD DATA INFILE 'subscribers.csv' INTO TABLE subscribers FIELDS TERMINATED BY ',' LINES TERMINATED BY '\n' IGNORE 1 ROWS;
  5. 로그 및 오류 처리
    • 처리된 데이터 로그를 검토.
    • 실패한 레코드 재처리.

장단점

  • 장점:
    • 간단한 데이터 전송.
    • 표준 포맷(CSV/ASCII)을 사용하므로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호환 가능.
  • 단점:
    • 수작업이 많아 대규모 데이터에 비효율적.
    • 실시간 처리 어려움.

3. 엑셀을 이용한 수작업 방식

특징

  • 데이터 크기가 작고 간단한 경우에 사용.

단계별 절차

  1. 데이터 추출
    • 원천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엑셀 파일로 내보냄.
    • : subscribers.xlsx.
  2. 데이터 정리
    • 엑셀에서 데이터 필드를 정렬 및 매핑.
    • 불필요한 데이터 제거:
      • 예: 중복 데이터, NULL 값 수정.
    • 데이터 유효성 검증:
      • 전화번호, 이메일 형식 확인.
  3. 대상 시스템 업로드
    • 대상 시스템에서 엑셀 파일을 지원하면 업로드 기능 사용.
    • 엑셀 데이터를 CSV로 변환 후 데이터베이스에 로드:
      • 엑셀 → CSV 변환:
        1. 엑셀에서 "다른 이름으로 저장".
        2. 형식을 "CSV (쉼표로 구분됨)"로 선택.
  4. 수동 삽입
    • 소규모 데이터의 경우 대상 시스템에 직접 입력(관리 UI 등).
  5. 결과 검증
    • 업로드된 데이터와 원본 데이터 비교.

장단점

  • 장점:
    • 소규모 데이터 전송에 적합.
    •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엑셀)로 작업.
  • 단점:
    • 대규모 데이터 처리 비효율.
    • 실수 가능성 높음.

비교 및 추천

방법적합한 데이터 규모장점단점

API 방식 대규모 자동화, 실시간 처리, 정확도 높음 초기 개발 및 설정 작업 필요
ASCII/CSV 방식 중소규모 간단한 구현, 표준 포맷 지원 실시간 처리 어려움
엑셀 수작업 방식 소규모 간단, 사용자 친화적 비효율적, 오류 가능성 있음

결론

  1. 대규모 데이터:
    • API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며, 자동화 도구(ETL)를 활용해 전송 속도와 정확성을 높입니다.
  2. 중소규모 데이터:
    • CSV 파일 전송 방식을 추천하며, 파일 검증과 오류 처리가 용이합니다.
  3. 소규모 데이터:
    • 엑셀을 활용한 수작업 방식이 간단하고 빠릅니다.

마이그레이션의 성공을 위해서는 데이터 매핑, 무결성 검증, 테스트 및 오류 처리 계획을 철저히 수립해야 합니다.

 

 

Amdocs와 Matrixx 시스템을 사용하여 Ericsson OFCS(Offline Charging System) 및 CHF(Charging Function) 장비를 in-service 상태에서 마이그레이션하는 구체적이고 상세한 방법은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하고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전환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야 합니다. 아래는 단계별 절차와 중요한 요소들을 설명합니다.


1. 사전 준비 단계

(1) 현황 분석

  1. Ericsson OFCS/CHF 분석
    • 현재 OFCS/CHF의 데이터 구조, 인터페이스(Diameter, GTP', FTP 등), 프로토콜 확인.
    • CDR(Call Detail Record) 데이터 포맷, 정책 데이터 구조(PCRF 연동 포함) 분석.
    • 네트워크 연결 상태 및 트래픽 흐름 파악.
  2. Amdocs/Matrixx 시스템 분석
    • Amdocs와 Matrixx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구조 및 프로토콜 확인.
    • API, 파일 기반 연동 방식 및 데이터 변환 로직 설계.
  3. 데이터 매핑
    • Ericsson OFCS/CHF 데이터와 Amdocs/Matrixx 시스템 데이터 간 필드 매핑 정의.
    • 예: 사용자 ID, 잔액, 사용량, 정책 데이터 매핑.
  4. 테스트 환경 구축
    • 병렬 운영을 위한 테스트 환경 구성.
    • 소규모 샘플 데이터를 사용하여 마이그레이션 시뮬레이션.
  5. 백업 및 롤백 계획
    • Ericsson OFCS/CHF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백업.
    • 문제가 발생할 경우 원래 시스템으로 복원할 수 있는 절차 마련.

2. 마이그레이션 방식

(1) 병렬 운영 (Parallel Operation)

  • 기존 Ericsson OFCS/CHF와 Amdocs/Matrixx 시스템을 동시에 운영.
  • 실시간 데이터를 두 시스템에 동시에 전달하여 데이터 정확성을 검증.

(2) 데이터 동기화 방식

  • 데이터 동기화는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
    1. 실시간 데이터 전송:
      • Diameter(Rf, Sy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량 데이터를 두 시스템에 병렬로 전송.
      • 실시간 잔액 업데이트, 정책 실행 동기화.
    2. 배치 데이터 전송:
      • 기존 OFCS/CHF에서 생성된 CDR 데이터를 배치 방식으로 Amdocs/Matrixx로 전송.
      • FTP/SFTP를 사용하여 CDR 파일을 전송하고 대상 시스템에 로드.

(3) 단계적 사용자 전환

  1. 사용자 그룹을 분리하여 소규모 전환 시작.
    • VIP 고객 등 민감한 그룹은 나중에 전환.
  2. 트래픽을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안정성 검증.
  3. 전환 사용자 데이터와 기존 사용자 데이터 비교.

3. 단계별 절차

단계 1: 데이터 추출

  • Ericsson OFCS/CHF에서 데이터를 추출:
    1. 사용자 데이터:
      • 잔액, 요금제 정보, 정책 데이터.
    2. CDR 데이터:
      • 과거 사용량 기록.
    3. 정책 데이터:
      • QoS, 한도, 사용량 임계치 설정.
  • 데이터 포맷: CSV, JSON, XML 등.

단계 2: 데이터 변환

  • Amdocs/Matrixx 시스템에 적합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
    • 필드 매핑 및 데이터 변환 스크립트 작성.
    • 예: Ericsson 데이터 구조 → Amdocs 데이터 구조.

단계 3: 데이터 전송

  1. 실시간 데이터 전송:
    • Diameter 기반 인터페이스(Rf, Sy)를 통해 실시간 데이터 동기화.
  2. 배치 데이터 전송:
    • FTP/SFTP를 통해 대규모 데이터 전송.
    • 데이터 전송 후 로드 스크립트 실행:
      sql
      복사편집
      LOAD DATA INFILE 'cdr_data.csv' INTO TABLE amdocs_subscribers FIELDS TERMINATED BY ',' LINES TERMINATED BY '\n' IGNORE 1 ROWS;

단계 4: 검증

  1. 데이터 무결성 검증:
    • 전환된 데이터와 원본 데이터 비교.
    • 잔액, 사용량, 정책 데이터 일치 여부 확인.
  2. 시스템 기능 검증:
    • Amdocs/Matrixx 시스템에서 실시간 과금, 정책 실행 테스트.
    • 서비스 활성화/비활성화 동작 확인.

단계 5: 완전 전환

  1. Ericsson OFCS/CHF에서 남은 사용자 및 데이터를 완전히 전환.
  2. 모든 트래픽을 Amdocs/Matrixx 시스템으로 전환.
  3. Ericsson OFCS/CHF 비활성화(Standby 상태로 유지).

4. 전달 방식

(1) 실시간 데이터 동기화

  • Diameter 기반 Rf, Sy 인터페이스 사용.
  • Amdocs/Matrixx 시스템에서 API 호출로 데이터 수신:
    • :
      json
      복사편집
      POST /api/v1/charging { "userId": "12345", "usage": { "data": 1024, "voice": 120 }, "balance": 5000 }

(2) 배치 데이터 전송

  • FTP/SFTP로 CDR 파일 전송 후 처리.
  • Amdocs/Matrixx에서 파일 처리 후 로그 기록.

(3) 알림 및 모니터링

  • 마이그레이션 중 시스템 상태와 데이터를 실시간 모니터링.
  • 대시보드 및 알림 도구(Zabbix, Nagios 등) 사용.

5. 주요 고려사항

  1. 서비스 중단 방지:
    • 병렬 운영 기간 동안 모든 서비스가 정상 작동하도록 보장.
    • 문제가 발생하면 즉시 롤백 가능하도록 준비.
  2. 보안:
    • TLS/DTLS 암호화로 데이터 전송 보호.
    • 민감 데이터 처리 시 접근 제어 강화.
  3. 성능 최적화:
    • 대규모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대역폭과 시스템 성능 확보.
  4. 운영자 교육:
    • Amdocs/Matrixx 시스템 사용법에 대한 운영자 교육.

결론

Ericsson OFCS 및 CHF에서 Amdocs/Matrixx로 in-service 상태에서 마이그레이션하려면 병렬 운영, 데이터 동기화, 단계적 전환 방식을 사용해야 합니다. 데이터 무결성 검증, 실시간 모니터링, 철저한 테스트를 통해 안정성을 확보하며, 서비스 중단 없는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이동통신사업자는 다양한 무제한 요금제를 제공하며, 각 요금제는 데이터 속도, 핫스팟 데이터 용량, 스트리밍 품질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이동통신사업자

예를 들어, Single Unlimited Plan은 월 $45에 무제한 통화, 문자, 데이터를 제공하며, 최대 8Mbps의 속도와 480p 스트리밍, 15GB의 고속 핫스팟 데이터를 포함합니다.
 

이동통신사업자

또한, 55+ Unlimited Plan은 55세 이상 고객을 대상으로 무제한 통화, 문자, 데이터를 제공하며, 30GB의 고속 핫스팟 데이터와 SD(480p) 스트리밍을 지원합니다.

 

이동통신사업자

이러한 요금제를 OFCS(Offline Charging System)와 CHF(Charging Function)에 적용하려면 다음과 같은 조치가 필요합니다:

  1. 요금제 정의 및 설정:
    • 요금제 매개변수 설정: 각 요금제의 세부 사항을 OFCS와 CHF에 정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Single Unlimited Plan의 경우 최대 8Mbps의 속도 제한, 15GB의 고속 핫스팟 데이터 한도, 480p 스트리밍 품질 등을 설정합니다. 이동통신사업자
    • 정책 및 과금 규칙 구성: 각 요금제에 맞는 정책과 과금 규칙을 설정하여, 사용자의 데이터 사용량과 속도 제한, 핫스팟 데이터 한도 등을 관리합니다.
  2. 정책 및 과금 제어 기능 구현:
    • 정책 제어: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와의 연동을 통해 각 요금제에 따른 QoS(Quality of Service) 정책을 적용합니다. 예를 들어,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해 480p 해상도로 제한하는 정책을 설정합니다.
    • 과금 제어: CHF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데이터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설정된 한도에 도달하면 속도 제한이나 추가 과금 등의 조치를 취합니다.
  3. 데이터 수집 및 보고:
    • CDR(Call Detail Record) 생성: OFCS는 사용자의 데이터 사용 내역을 기록한 CDR을 생성하여, 후불제 고객의 요금 청구에 활용합니다.
    • 데이터 분석 및 보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요금제의 효율성 평가 및 향후 요금제 개발에 활용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동통신사업자의 다양한 요금제를 OFCS와 CHF 시스템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의 정책 제어와 QoS(Quality of Service) 정책을 설계 및 설정하는 방법은 주로 사용자 요금제, 서비스 요구사항, 네트워크 자원 관리에 따라 달라집니다. 아래는 이동통신사업자의 요금제 특성을 기반으로 한 설계 및 설정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1. 정책 제어(PCRF) 설계 및 설정 프로세스

(1) 요금제 분석 및 요구사항 정의

이동통신사업자  요금제에 따른 정책 요구사항:

  • 속도 제한: 예를 들어, Single Unlimited Plan은 최대 8Mbps로 제한.
  • 핫스팟 데이터 한도: 15GB 고속 데이터 이후 속도 제한.
  • 스트리밍 품질: SD(480p)로 제한.
  • 사용량 임계치 설정: 90%, 100% 도달 시 사용자 알림.

(2) PCRF 정책 요소 정의

  1. 서비스 데이터 흐름(SDF):
    • 서비스별 트래픽을 구분하고 정책을 적용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 정의.
    • : 스트리밍, 웹 브라우징, 파일 다운로드 등.
  2. QoS 프로파일:
    •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각 서비스에 QoS 프로파일을 설정.
    • 속성:
      • 최대 대역폭: 업링크/다운링크 속도 제한.
      • 우선순위: 특정 트래픽의 전송 우선권 설정.
      • 지연(Latency): 민감한 서비스(예: VoIP)를 위한 최소 지연 요구사항.
  3. 정책 규칙(Policy Rules):
    • 각 사용자의 요금제에 따라 정책을 정의.
    • 규칙 구성 요소:
      • 필터링 규칙: 특정 IP, 포트, 프로토콜 기반 트래픽 분류.
      • 과금 규칙: 사용량 제한에 따라 요금 부과.
      • 사용량 제한: 데이터 한도 도달 시 속도 제한 설정.

(3) QoS 정책 설계

  1. 속도 제한 설정
    • 각 요금제별 대역폭 제한:
      • Single Unlimited Plan: 다운로드/업로드 각각 8Mbps.
      • 핫스팟 데이터 초과 후: 다운로드/업로드 각각 256kbps.
    • QoS 프로파일 예:
      json
      복사편집
      { "qosProfile": { "maxUplinkBitrate": "8000000", "maxDownlinkBitrate": "8000000", "qosClassIdentifier": "5", "arpPriority": "2" } }
  2. 스트리밍 품질 제한
    • 특정 스트리밍 서비스(예: Netflix, YouTube)에 대해 SD(480p) 품질 제한:
      • 트래픽 필터링 규칙:
        json
        복사편집
        { "filterRule": { "sourceIp": "0.0.0.0/0", "destinationIp": "192.0.2.0/24", "destinationPort": "443", "protocol": "TCP" } }
  3. 핫스팟 데이터 제한
    • 핫스팟 데이터가 15GB를 초과하면 속도를 제한.
    • 정책 규칙:
      json
      복사편집
      { "usageMonitoring": { "threshold": "15GB", "action": "reduceSpeed", "newSpeed": { "maxUplinkBitrate": "256000", "maxDownlinkBitrate": "256000" } } }
  4. 우선순위 관리
    • 음성 통화(VoIP) 트래픽에 가장 높은 우선순위 할당.
    • : VoIP 서비스에 대해 ARP(priority) 값을 1로 설정.

2. PCRF 시스템에서의 정책 설정

(1) 정책 규칙 생성

  • PCRF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책 규칙을 생성 및 배포.
  • 구성 단계:
    1. 요금제별 정책 프로파일 정의.
    2. SDF와 QoS 프로파일 매핑.
    3. 과금 규칙과 연계된 정책 규칙 생성.

(2) 실시간 사용자 데이터 처리

  • PCRF는 실시간 사용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책을 적용.
  • Diameter 프로토콜(Sy 인터페이스)을 통해 CHF와 통신하여 사용량 상태를 업데이트.

(3) 사용량 임계치 설정

  • 임계치 도달 시 사용자 알림을 트리거.
    • 90% 알림: SMS/푸시 알림 전송.
    • 100% 도달 시: 추가 데이터 구매 옵션 제공.

3. 네트워크 요소와의 통합

(1) PGW(S-GW)와 PCRF 연동

  • PGW는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PCRF의 정책을 적용.
  • Diameter Gx 인터페이스 사용:
    • PCRF → PGW: QoS 프로파일 전달.
    • PGW → PCRF: 트래픽 사용량 보고.

(2) CHF와 PCRF 연동

  • CHF는 실시간 과금 데이터를 관리.
  • Sy 인터페이스:
    • PCRF → CHF: 사용량 초과 시 정책 조정 요청.
    • CHF → PCRF: 사용자 잔액 및 데이터 한도 상태 전달.

4. 테스트 및 검증

(1) 시뮬레이션 테스트

  •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다양한 트래픽 및 사용량 시나리오를 테스트.
    • 속도 제한 테스트(8Mbps → 256kbps).
    • 스트리밍 품질 테스트(480p 제한).

(2) 실제 사용자 그룹 테스트

  • 소규모 사용자 그룹에 대해 정책 적용 테스트 후 피드백 수집.

(3) 성능 및 안정성 테스트

  • 네트워크 대역폭과 정책 적용 지연(Latency) 확인.

결론

이동통신사업자  요금제를 지원하기 위해 PCRF 정책 제어와 QoS 정책은 속도 제한, 스트리밍 품질 관리, 데이터 한도 설정과 같은 주요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PCRF는 QoS 프로파일, SDF, 과금 규칙을 통해 사용자 트래픽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며, Diameter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트워크 요소 및 CHF와 연동하여 정책을 실행해야 합니다. 철저한 테스트를 통해 안정성과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동통신사업자 는 다양한 요금제를 제공하며, 각 요금제는 데이터 속도, 핫스팟 데이터 용량, 스트리밍 품질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는 이동통신사업자 의 주요 요금제를 비교한 표입니다.

요금제 이름월 요금데이터최대 속도스트리밍 품질핫스팟 데이터기타 혜택

Single Unlimited Plan $45 무제한 최대 8Mbps SD(480p) 15GB 무제한 통화 및 문자
55+ Unlimited Plan $40 무제한 최대 8Mbps SD(480p) 30GB 55세 이상 고객 대상, 무제한 통화 및 문자
Student Unlimited Plan $35 무제한 최대 8Mbps SD(480p) 10GB 학생 전용, 무제한 통화 및 문자
Prepaid Unlimited Plan $50 무제한 최대 8Mbps SD(480p) 10GB 선불 요금제, 무제한 통화 및 문자

참고 사항:

  • 모든 요금제는 무제한 통화 및 문자를 포함합니다.
  • 핫스팟 데이터 사용량이 할당된 용량을 초과하면 속도 제한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 스트리밍 품질은 SD(480p)로 제한되며, 이는 데이터 사용량을 관리하고 네트워크 혼잡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자세한 내용과 최신 정보는 이동통신사업자 의 공식 웹사이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동통신사업자 요금제별로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OFCS(Offline Charging System), CHF(Charging Function)의 설정 및 연동 방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각 요금제의 특징에 맞는 과금 및 정책 설정이 필요합니다.


1. Single Unlimited Plan

특징설정 항목

월 요금 $45
데이터 무제한
최대 속도 8Mbps
스트리밍 품질 SD(480p)
핫스팟 데이터 15GB

PCRF 설정

  1. 속도 제한 정책:
    • 다운로드 및 업로드 속도를 8Mbps로 제한.
    • QoS 프로파일:
      json
      복사편집
      { "qosProfile": { "maxDownlinkBitrate": "8000000", "maxUplinkBitrate": "8000000" } }
  2. 스트리밍 품질 제한:
    • 특정 IP(Netflix, YouTube 등)에 대해 SD(480p) 정책 적용.
    • 트래픽 필터링:
      json
      복사편집
      { "filterRule": { "destinationIp": "198.51.100.0/24", "protocol": "TCP", "port": "443" } }
  3. 핫스팟 데이터 한도:
    • 핫스팟 데이터가 15GB를 초과하면 속도를 256kbps로 제한.
    • 사용량 임계치 설정:
      json
      복사편집
      { "usageMonitoring": { "threshold": "15GB", "action": "reduceSpeed", "newSpeed": { "maxDownlinkBitrate": "256000", "maxUplinkBitrate": "256000" } } }

OFCS 설정

  • CDR 생성:
    • 핫스팟 데이터 사용량과 일반 데이터 사용량을 구분해 기록.
    • CDR 예시:
      makefile
      복사편집
      IMSI,UsageType,Volume,DateTime 310150123456789,Hotspot,15000MB,2025-01-21T12:00:00

CHF 설정

  • 잔액 관리:
    • 사용자의 월정액 잔액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
  • 실시간 과금 처리:
    • 핫스팟 데이터 한도 초과 시 CHF에서 속도 제한 요청을 PCRF로 전달.

2. 55+ Unlimited Plan

특징설정 항목

월 요금 $40
데이터 무제한
최대 속도 8Mbps
스트리밍 품질 SD(480p)
핫스팟 데이터 30GB

PCRF 설정

  1. 속도 제한 정책:
    • 다운로드 및 업로드 속도를 8Mbps로 설정(모든 트래픽에 적용).
  2. 핫스팟 데이터 한도:
    • 30GB 초과 시 속도를 512kbps로 제한.
    • 사용량 임계치:
      json
      복사편집
      { "usageMonitoring": { "threshold": "30GB", "action": "reduceSpeed", "newSpeed": { "maxDownlinkBitrate": "512000", "maxUplinkBitrate": "512000" } } }
  3. 알림 정책:
    • 데이터 사용량이 90%에 도달하면 SMS 알림 전송.

OFCS 설정

  • CDR 기록:
    • 핫스팟과 일반 데이터 사용량을 구분하여 기록.
    • 핫스팟 데이터가 30GB 초과 시 속도 제한 상태를 기록.

CHF 설정

  • 잔액 관리:
    • 55+ 요금제 사용자의 잔액 상태와 핫스팟 사용량 관리.
  • 실시간 과금:
    • 데이터 사용량 임계치 도달 시 PCRF와 연동하여 속도 제한 적용.

3. Student Unlimited Plan

특징설정 항목

월 요금 $35
데이터 무제한
최대 속도 8Mbps
스트리밍 품질 SD(480p)
핫스팟 데이터 10GB

PCRF 설정

  1. 속도 제한 정책:
    • 8Mbps로 설정.
  2. 핫스팟 데이터 한도:
    • 10GB 초과 시 속도를 128kbps로 제한.
  3. 트래픽 필터링:
    • 학생 전용 사이트(예: 교육용 플랫폼) 트래픽 우선순위 부여.

OFCS 설정

  • CDR 기록 및 핫스팟 데이터 관리:
    • 10GB 초과 시 데이터 사용 기록에 속도 제한 상태 추가.

CHF 설정

  • 잔액 및 사용량 관리:
    • 월정액 요금과 데이터 사용량을 연동하여 속도 제한 적용.

4. Prepaid Unlimited Plan

특징설정 항목

월 요금 $50
데이터 무제한
최대 속도 8Mbps
스트리밍 품질 SD(480p)
핫스팟 데이터 10GB

PCRF 설정

  1. 속도 제한 정책:
    • 8Mbps로 설정.
  2. 사용량 임계치:
    • 핫스팟 데이터 10GB 초과 시 속도 제한.
  3. 사용자 알림:
    • 잔액이 부족하거나 데이터 한도를 초과하면 실시간 알림 전송.

OFCS 설정

  • 선불 데이터 사용량 기록:
    • 잔액이 소진되었을 경우 서비스 제한 기록.

CHF 설정

  • 선불 사용자의 잔액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
  • 충전 시 데이터를 즉시 활성화.

PCRF, OFCS, CHF 연동 구조

  1. PCRF ↔ PGW 연동:
    • Diameter Gx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책 제어(QoS, 속도 제한).
  2. PCRF ↔ CHF 연동:
    • Diameter Sy 인터페이스로 실시간 과금 데이터 교환.
  3. OFCS ↔ CHF 연동:
    • OFCS에서 생성된 CDR 데이터를 CHF로 전달하여 잔액 상태 업데이트.
  4. 알림 및 보고:
    • 사용량 임계치 도달 시 SMS 또는 푸시 알림 전송.

결론

각 요금제에 맞는 **PCRF 정책 제어(QoS 설정)**와 OFCS/CHF 연동을 통해 데이터 사용량, 속도 제한, 핫스팟 관리 등 다양한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습니다. 특히, PCRF는 속도 제한, 핫스팟 한도 관리, 스트리밍 품질 설정을, CHF는 잔액 및 사용량 모니터링을 중점적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가입자 청약에서 개통까지의 절차와 시나리오를 약정팀에서 관리하기 위한 구체적인 단계별 할 일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각 단계는 청약부터 개통, 최종 사용까지 체계적으로 진행됩니다.


1. 청약 접수 (Subscription Application)

목적:

고객의 신규 가입 요청을 접수하고 필요한 정보를 수집.

단계별 할 일:

  1. 고객 정보 수집:
    • 이름, 주소, 연락처, 신분증 등 기본 정보 확인.
    • 신용 조회 및 약정 가능 여부 확인.
  2. 요금제 및 단말기 선택:
    • 고객의 요구에 맞는 요금제와 단말기 제공.
    • 프로모션, 약정 할인 정보 안내.
  3. 약정서 작성 및 계약 체결:
    • 약정 기간, 위약금, 요금 조건 등을 포함한 계약서 작성.
    • 고객 서명 후 계약 완료.
  4. 시스템 입력:
    • 고객 정보를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시스템에 입력.
    • 약정 조건과 선택된 요금제 설정.

2. 주문 처리 및 준비 (Order Processing)

목적:

청약 내용을 기반으로 개통 준비.

단계별 할 일:

  1. 단말기 및 SIM 카드 준비:
    • 고객이 선택한 단말기 모델 확인 및 재고 확보.
    • 신규 SIM 카드 발급.
  2. 시스템 연동:
    • 주문 데이터를 OFCS(Offline Charging System), CHF(Charging Function) 등 과금 시스템에 연동.
    • 사용자 요금제, 속도 제한, 데이터 한도 설정.
  3. 내부 승인 절차:
    • 내부 승인 단계 진행 (신용 상태, 약정 조건 재검토).
  4. 고객 알림:
    • 청약이 완료되었음을 고객에게 SMS 또는 이메일로 통보.

3. SIM 발급 및 배송 (SIM Provisioning and Delivery)

목적:

고객이 사용할 SIM 카드와 단말기를 제공.

단계별 할 일:

  1. SIM 카드 등록:
    • 고객 정보를 SIM 카드와 매핑.
    • IMSI, ICCID 정보 등록.
  2. 배송 준비:
    • 단말기 및 SIM 카드를 포장하여 고객에게 발송.
    • 배송 추적 정보 제공.

4. 개통 단계 (Activation)

목적:

SIM 카드 및 단말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고 개통 처리.

단계별 할 일:

  1. SIM 활성화:
    • SIM 카드의 IMSI, ICCID 정보를 네트워크와 동기화.
    • HLR(Home Location Register) 및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에 정보 등록.
  2. 네트워크 개통:
    • 고객의 데이터, 음성, 문자 서비스 활성화.
    • LTE/5G 네트워크에 연결 테스트.
  3. 테스트 통화 및 데이터 연결 확인:
    • 테스트 통화 및 데이터 연결 성공 여부 확인.

5. 서비스 시작 (Service Usage)

목적:

고객이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

단계별 할 일:

  1. 사용자 안내:
    • 고객에게 서비스 시작 안내(SMS, 이메일).
    • 요금제 및 사용 가이드 제공.
  2. 실시간 사용 모니터링:
    • CHF 및 OFCS 시스템을 통해 초기 사용량 모니터링.
    • 데이터 사용 한도 초과 시 알림 설정.
  3. 고객 지원:
    • 개통 관련 문제나 불편사항 해결을 위한 고객센터 지원.

단계별 요약

단계세부 작업

청약 접수 고객 정보 수집, 요금제 선택, 약정 체결, 시스템 입력.
주문 처리 및 준비 단말기 준비, SIM 발급, 시스템 연동, 내부 승인, 고객 알림.
SIM 발급 및 배송 SIM 카드 등록, 단말기 준비 및 배송, 배송 상태 추적.
개통 SIM 활성화, 네트워크 동기화, 테스트 통화 및 데이터 연결 확인.
서비스 시작 사용 안내, 실시간 모니터링, 고객 지원.

시스템 연동 요소

  1. 고객 정보 및 요금제 관리.
  2. 배송 및 물류 상태 관리.
  3. SIM 카드 등록 및 네트워크 동기화.
  4. 개통 테스트 및 네트워크 활성화.
  5. SIM 활성화:
    • OFCS: 사용량 및 과금 데이터 관리.
    • CHF: 실시간 과금 및 정책 제어.
    • HLR: 고객 네트워크 정보 저장.

이 절차와 시스템 연동을 통해 고객이 원활하게 개통과 사용을 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각 단계에서 정확성과 속도가 중요하며, 문제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합니다.

 

 

아래는 가입자 청약에서 개통 및 사용까지의 절차에서 AMF(Access and Mobility Function),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UPF(User Plane Function),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PGW(Packet Gateway) 등의 네트워크 장비와 OFCS, PCRF, CHF, Payment Gateway, IDI B/OSS의 역할을 비교한 확장된 테이블입니다.


단계OFCS 연계PCRF 연계CHF 연계Payment Gateway 연계IDI CostGuard B/OSS 연계AMF/SMF/UPF/MME/PGW 연계

1. 청약 접수 - 요금제 데이터 구성.
- CDR 데이터 구조 정의.
- 과금 데이터 저장 준비.
- 요금제별 정책 정의 및 초기화.
- QoS 정책 준비.
- 초기 잔액 설정 및 관리 준비.
- 가입자 과금 상태 등록.
- 결제 프로세스 설계.
- 결제 API 연동 테스트.
- 결제 승인 준비.
- 고객 정보 및 요금제 선택 관리.
- 계약 조건 및 약정 관리.
-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기능을 통해 고객 프로파일 생성 및 관리.
- AMF: 가입자 인증 준비.
- MME: 초기 연결 설정 및 가입자 위치 정보 확인.
- SMF/PGW: 초기 세션 정보 구성.
2. 주문 처리 및 준비 - 과금 항목별 데이터 저장 정의.
- 청구 데이터 포맷 설정.
- 예약 과금 데이터 등록.
- 네트워크 정책과 과금 조건 동기화.
- 데이터, 음성, 메시지 사용량 임계치 설정.
- 속도 제한 정책 구성.
- 주문 내역 기반 잔액 관리 및 업데이트.
- 실시간 과금 요청 준비.
- 결제 정보 전송 준비(SIM 카드 요금, 단말기 할부 등).
- 고객의 결제 수단 등록.
- 주문 관리 및 프로비저닝 준비.
- 재고 관리 및 단말기 할당.
- 판매 시점 관리(Point of Sale) 기능을 통해 주문 처리 및 재고 관리.
- AMF: 단말기 인증 절차 설정.
- SMF: 초기 세션 정보 구성.
- PGW: 데이터 연결 준비.
- MME: 단말기 활성화 요청 전달.
3. SIM 발급 및 배송 - SIM ICCID 데이터 저장.
- 배송 상태 확인.
- HSS(Home Subscriber Server)와 연동하여 SIM 사용자 정보 동기화. - 사용자의 초기 상태(비활성/활성) 설정.
- 네트워크 활성화 시 잔액 상태 동기화.
- SIM 카드 또는 단말기 결제 완료 상태 확인.
- 결제 알림 전송.
- 물류 및 배송 관리.
- 고객에게 배송 추적 정보 제공.
- 주문 상태 및 배송 추적 기능을 통해 고객에게 실시간 정보 제공.
- MME: SIM ICCID와 IMSI 등록.
- AMF/SMF: HSS에서 사용자 정보 동기화.
- PGW: 단말기 연결 대기 상태 설정.
4. 개통 - CDR 생성 및 저장 시작.
- 데이터 사용량 추적 활성화.
- 과거 사용량 기록 동기화.
- 사용자 트래픽에 정책 적용.
- 데이터 사용 한도 도달 시 속도 제한 또는 서비스 차단.
- 실시간 네트워크 정책 제어.
- 실시간 잔액 차감 및 잔액 초과 시 알림 제공.
- 사용량 초과 시 PCRF로 속도 제한 요청.
- 초기 결제 상태 확인.
- 결제 실패 시 고객 알림 전송 및 재결제 요청.
- 프로비저닝 상태 업데이트.
- 서비스 활성화 및 네트워크 설정 동기화.
- 프로비저닝 모듈을 통해 네트워크 요소와의 연동 및 서비스 활성화 관리.
- AMF: 단말기와 기지국 연결 활성화.
- SMF: 세션 생성 및 초기 QoS 정책 적용.
- UPF: 사용자 데이터 경로 설정.
- PGW: IP 주소 할당 및 데이터 플로우 설정.
- MME: 세션 설정 완료.
5. 서비스 시작 - 실시간 CDR 생성.
- 사용량 기반 과금 보고.
- 요금제 변경 시 새로운 과금 데이터 설정.
- QoS 적용 상태 유지.
- 실시간 사용자 트래픽 제어.
- 추가 데이터 구매 시 정책 변경.
- 잔액 사용량 실시간 업데이트.
- 초과 사용량에 따른 추가 과금 요청 생성.
- 결제 상태에 따른 서비스 활성화/제한.
- 사용량 초과 시 추가 결제 요청.
- 추가 요금 결제 승인.
- 결제 상태를 OFCS/CHF로 전달.
- 청구서 생성 및 발송.
- 고객 서비스 관리 및 지원.
- 청구 및 수금 모듈을 통해 정확한 청구서 발행 및 결제 상태 모니터링.
- 고객 포털을 통해 고객이 자신의 계정 및 사용량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
- AMF: 이동 중 사용자 연결 관리.
- SMF: 트래픽 세션 유지 및 추가 세션 생성.
- UPF: 데이터 경로 최적화.
- PGW: 데이터 트래픽 처리 및 과금 데이터 전달.
- MME: 단말기 상태 모니터링.

추가 설명

AMF(Access and Mobility Function)

  • 역할: 단말기 인증 및 네트워크 접속 관리. 가입자의 위치 및 이동성을 관리.
  • 연계: HSS와 연동하여 가입자 정보 확인, 네트워크 연결 설정.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 역할: 데이터 세션 생성 및 관리. QoS 정책과 세션당 자원 할당 수행.
  • 연계: PCRF와 연동하여 네트워크 정책 적용.

UPF(User Plane Function)

  • 역할: 사용자 데이터 경로 처리. 실제 사용자 데이터 트래픽을 관리 및 최적화.
  • 연계: PGW와 연동하여 데이터 전송 처리.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 역할: 4G 네트워크에서 단말기 이동성 관리 및 연결 설정.
  • 연계: HSS, PCRF, PGW와 연동하여 가입자 네트워크 세션 설정.

PGW(Packet Gateway)

  • 역할: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 및 IP 주소 할당. 트래픽 처리 및 QoS 적용.
  • 연계: PCRF와 연동하여 정책 제어 및 데이터 과금 처리.

결론

  • OFCS는 과금 데이터를 기록하고, 청구 데이터 생성에 중점을 둡니다.
  • PCRF는 실시간 트래픽 정책과 QoS 관리의 중심 역할을 합니다.
  • CHF는 실시간 잔액 관리 및 사용량 초과 시 제한 적용을 처리합니다.
  • Payment Gateway는 결제 관리와 연계하여 서비스 활성화 상태를 유지합니다.
  • IDI CostGuard B/OSS는 전반적인 고객 정보, 주문, 청구, 및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관리합니다.
  • AMF/SMF/UPF/MME/PGW는 네트워크 연결 설정과 사용자 데이터 트래픽 관리를 담당하며, OFCS/PCRF/CHF와 밀접하게 연계되어 작동합니다.

이 확장된 테이블을 통해 모든 시스템과 장비가 서비스 활성화와 사용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동통신사업자의 구체적인 CDR(Call Detail Record) 구조에 대한 공개된 정보는 현재 확인할 수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CDR은 통화나 데이터 세션에 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기록으로, 이동통신사에서 과금 및 네트워크 관리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일반적인 CDR의 주요 필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 통화 또는 세션 시작 시간: 해당 이벤트의 시작 시각.
  • 통화 또는 세션 종료 시간: 해당 이벤트의 종료 시각.
  • 발신자 및 수신자 정보: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 ID.
  • 사용된 서비스 유형: 음성 통화, SMS, 데이터 등.
  • 데이터 사용량: 전송된 데이터의 양(예: 메가바이트 단위).
  • 호 또는 세션 상태: 성공, 실패, 중단 등.
  • 네트워크 요소 정보: 통화나 세션에 관여한 네트워크 장비 식별자.

이러한 필드를 통해 이동통신사는 사용자 활동을 모니터링하고, 정확한 과금 처리를 수행하며, 네트워크 성능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동통신사업자 는 IDI Billing SolutionsCostGuard B/OSS를 사용하여 과금 및 운영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다양한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지만, 구체적인 CDR 구조는 시스템 설정과 이동통신사의 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정보를 원하신다면, 이동통신사업자 의 기술 지원 부서나 IDI Billing Solutions의 공식 문서를 참조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아래는 LG유플러스 요금제를 기준으로 개통부터 사용까지의 단계적인 시나리오를 포함하여 OFCS, PCRF, CHF, IDI B/OSS 및 네트워크 장비와의 연계를 확장한 테이블입니다. 단계별로 각 시스템이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 상세히 설명합니다.


단계OFCS 연계PCRF 연계CHF 연계IDI B/OSS 연계네트워크 장비 (AMF, SMF, UPF 등)

1. 청약 접수 - 요금제 데이터 구성.
- 초기 CDR 포맷 및 과금 데이터 저장 준비.
- 초기 요금제별 정책 정의.
- QoS 정책 초기화.
- 초기 잔액 설정 및 고객 계정 생성. - 고객 정보 등록 및 요금제 선택 관리.
- 계약 조건 입력.
- 프로모션 적용 여부 관리.
- AMF/MME: 가입자 인증 준비.
- 단말기 상태를 확인하고 네트워크 연결 가능 여부 확인.
2. 주문 처리 및 준비 - 과금 항목별 데이터 저장 정의.
- 예약 과금 데이터 등록.
- 네트워크 정책과 과금 조건 동기화.
- 데이터, 음성, 메시지 사용량 임계치 설정.
- 속도 제한 정책 구성.
- 초기 주문 상태에 따라 잔액 차감/충전 준비.
- 실시간 과금 요청 상태 확인.
- 주문 상태 관리.
- 재고 확인 및 단말기/라우터 할당.
- 프로비저닝 준비 상태 업데이트.
- MME/AMF: 단말기 인증 절차 설정.
- 초기 연결 준비.
- SMF: 세션 설정 준비.
3. SIM 발급 및 배송 - SIM ICCID 데이터 저장.
- 배송 상태 추적 및 관리.
- HSS(Home Subscriber Server)와 연동하여 SIM 사용자 정보 동기화. - 초기 상태(비활성/활성) 기록 및 동기화.
- SIM 카드 사용 시점 업데이트.
- 고객 배송 정보 관리.
- 배송 추적 정보 제공.
- 장비 재고 상태 업데이트.
- AMF/MME: HSS와 사용자 정보 연동.
- 단말기와 SIM 카드 매핑 상태 관리.
4. 개통 준비 - 고객 정보 및 초기 CDR 데이터 준비.
- 예약 과금 데이터 기록 및 활성화.
- 네트워크 접속 정책 설정.
- QoS 초기화 및 속도 제한/정책 구성.
- 초기 과금 프로세스 활성화.
- 실시간 데이터 동기화 상태 확인.
- 가입 상태 확인.
- 요금제 활성화.
- 프로모션 데이터 동기화.
- MME/AMF: 초기 네트워크 연결 설정.
- SMF: 초기 세션 설정.
- PGW: 데이터 경로 설정.
5. 개통 - 실시간 CDR 생성 및 저장.
- 데이터 사용량 추적 및 기록 시작.
- 실시간 네트워크 트래픽에 정책 적용.
- 데이터 사용 한도 도달 시 속도 제한 또는 차단 정책 적용.
- 실시간 잔액 차감 및 초과 데이터 사용 시 추가 과금 요청 생성.
- 추가 잔액 요청/재충전 동기화.
- 개통 상태 최종 업데이트.
- 고객 알림 전송(SMS/이메일).
- AMF/SMF/UPF: 네트워크 연결 및 데이터 전송 활성화.
- PGW: IP 주소 할당 및 트래픽 처리.
6. 서비스 시작 - 실시간 CDR 생성.
- 사용량 기반 청구 데이터 생성.
- 요금제 변경 시 새로운 과금 데이터 생성.
- QoS 정책 적용 상태 유지.
- 실시간 사용자 트래픽 제어.
- 추가 데이터 구매 시 정책 업데이트.
- 잔액 사용량 실시간 업데이트.
- 초과 사용량에 따른 추가 과금 요청 생성.
- 결제 상태에 따른 서비스 활성화/제한.
- 청구서 생성 및 발송.
- 고객 포털 제공(잔액, 사용량, 요금제 변경 등 관리).
- AMF/MME: 이동 중 단말기 상태 모니터링.
- SMF: 세션 유지 및 추가 세션 생성.
- UPF: 데이터 경로 최적화.
- PGW: 과금 데이터 전달 및 데이터 트래픽 처리.

단계별 시나리오

1. 청약 접수

  • 고객이 LG유플러스의 매장 또는 온라인에서 요금제를 선택.
  • IDI B/OSS 시스템에 고객 정보와 요금제가 입력되며, 초기 과금 설정이 이루어짐.

2. 주문 처리 및 준비

  • 고객이 선택한 단말기/라우터를 재고에서 확인하여 할당.
  • PCRF에서 네트워크 정책(QoS 및 속도 제한) 정의.
  • CHF는 초기 과금 데이터를 준비하고 잔액 관리 설정.

3. SIM 발급 및 배송

  • SIM 카드와 단말기가 고객에게 배송되며, 배송 상태는 IDI B/OSS에서 관리.
  • MME 및 AMF는 SIM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동기화하여 네트워크 활성화를 준비.

4. 개통 준비

  • SIM 카드 및 단말기를 네트워크와 동기화.
  • SMF는 데이터 세션 초기화 및 QoS 정책 준비.
  • PGW는 데이터 경로 설정 및 초기 IP 할당.

5. 개통

  • 고객이 SIM 카드를 삽입하면 네트워크 연결이 활성화됨.
  • 실시간 데이터 사용량이 OFCS 및 PCRF에 기록되며, CHF가 과금을 처리.

6. 서비스 시작

  • 고객은 음성, 데이터, 문자 서비스를 사용하며, 사용량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과금 처리.
  • IDI B/OSS를 통해 고객이 사용량과 요금을 확인할 수 있음.

결론

LG유플러스의 다양한 요금제를 개통부터 사용까지 원활히 적용하려면 OFCS, PCRF, CHF, IDI B/OSS, 그리고 네트워크 장비가 긴밀하게 연계되어야 합니다. 이 테이블과 시나리오는 모든 시스템의 역할을 명확히 정의하여 효과적인 운영과 고객 경험 개선을 지원합니다.

 

 

LG유플러스는 다양한 유선 요금제를 제공하여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아래는 LG유플러스의 주요 유선 요금제를 정리한 표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LG유플러스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 인터넷 요금제

요금제명월정액(부가세 포함)최대 속도비고

프리미엄 안심 100M 23,900원 100Mbps 유해사이트 및 악성코드 자동 차단, 원격 PC 관리 서비스 제공
스마트 광랜안심 22,800원 100Mbps 스마트홈 스피커 제공, 유해사이트 차단 기능 포함
와이파이기본_광랜안심 20,600원 100Mbps 와이파이 공유기 기본 제공, 유해사이트 차단 기능 포함
프리미엄 안심 500M 35,750원 500Mbps 유해사이트 및 악성코드 자동 차단, 원격 PC 관리 서비스 제공
스마트 기가슬림안심 33,500원 500Mbps 스마트홈 스피커 제공, 유해사이트 차단 기능 포함
와이파이기본_기가슬림안심 31,350원 500Mbps 와이파이 공유기 기본 제공, 유해사이트 차단 기능 포함
기가인터넷슬림안심 31,350원 500Mbps 유해사이트 및 악성코드 자동 차단, 원격 PC 관리 서비스 제공
기가인터넷슬림 29,150원 500Mbps 기본 인터넷 서비스
프리미엄 안심 1G 41,800원 1Gbps 유해사이트 및 악성코드 자동 차단, 원격 PC 관리 서비스 제공
스마트 기가안심 39,600원 1Gbps 스마트홈 스피커 제공, 유해사이트 차단 기능 포함
와이파이기본_기가안심 37,400원 1Gbps 와이파이 공유기 기본 제공, 유해사이트 차단 기능 포함
기가인터넷안심 35,200원 1Gbps 유해사이트 및 악성코드 자동 차단, 원격 PC 관리 서비스 제공
기가인터넷 33,000원 1Gbps 기본 인터넷 서비스

2. 인터넷 전화 요금제

요금제명월정액(부가세 포함)통화료비고

일반형 2,000원 국내통화 3분당 38원
휴대폰 10초당 11.7원
팩스에 주로 사용되는 전화서비스
정액형 3,000원 국내통화 300분 무료
이후 3분당 38원
일반 가정 및 사무실에 적합한 요금제

LG유플러스는 고객의 다양한 사용 패턴과 환경에 맞는 유선 요금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보안과 피해 보상 기능을 강화한 '프리미엄 안심 보상 요금제'를 출시하여 디도스(DDoS)·랜섬웨어 등 유해사이트를 자동으로 차단하고, 피해 발생 시 실질적인 보상까지 제공하는 서비스를 선보였습니다.

자세한 요금제 정보와 신청은 LG유플러스 공식 웹사이트를 방문하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LG U+
 

유플러스 인터넷 요금제 < 인터넷/IPTV | LG U+

대용량 콘텐츠도 끊임 없이 즐길 수 있는 U+ 인터넷의 다양한 요금제를 소개합니다. 사용 환경을 고려한 요금제를 비교해보고 나에게 맞는 서비스를 신청하세요.

www.lguplus.com

 

아래는 LG유플러스의 모바일 및 유선 요금제를 모두 적용하기 위해 OFCS, CHF, PCRF, BSS(IDI B/OSS) 등을 활용한 시스템 연계를 정리한 테이블입니다. 각 요금제별 설정, 과금 방식, 정책 적용 등을 포함합니다.


단계OFCS 연계PCRF 연계CHF 연계IDI B/OSS 연계네트워크 장비 (AMF, SMF, UPF 등)
모바일 요금제          
5G 시그니처, 프리미어 등 - 무제한 데이터와 속도 제한 없는 사용량 관리.
- 사용량 기반 CDR 생성.
- 가족 데이터 쉐어링 사용량 기록.
- QoS 정책을 설정하여 속도 제한 없는 데이터 사용 적용.
- 가족 공유 데이터의 개별 사용자별 트래픽 제어.
- 무제한 데이터 기반으로 잔액 차감 없이 데이터 사용.
- 쉐어링 데이터 사용량 동기화.
- 가입자 정보 관리 및 가족 그룹 설정.
- 요금제 변경/프로모션 적용 관리.
- 가족 데이터 사용량 보고 및 과금 관리.
- AMF/SMF: 단말기와 5G 네트워크 연결 관리.
- UPF: 사용자 데이터 플로우 처리.
- PGW: 가족 쉐어링 데이터 플로우 관리.
LTE 프리미어, 데이터 요금제 - 정해진 데이터 제공량 초과 시 속도 제한 데이터 관리.
- 사용량 기반 CDR 생성.
- 속도 제한 시 요금 정책 기록.
- 초과 사용량에 따라 QoS를 설정하여 1Mbps, 400Kbps 등 속도 제한 적용.
- 실시간 데이터 사용량 정책 적용.
- 잔여 데이터 및 속도 제한 조건을 실시간으로 동기화.
- 추가 데이터 구매 시 잔액 차감 및 속도 제한 해제.
- 프로모션 혜택 관리.
- 고객 요청에 따른 요금제 변경 프로세스 관리.
- 데이터 초과 시 알림 및 과금 관리.
- AMF/MME: 단말기 연결 관리.
- SMF: 데이터 초과 사용량 관리 및 제한 적용.
- UPF: QoS 기반 데이터 플로우 처리.
유선 요금제          
인터넷(100Mbps~1Gbps) - 유선 데이터 사용량 기반 CDR 생성.
- 인터넷 요금제별 사용량 기록 및 과금 데이터 전송.
- 대역폭 제한 및 QoS 정책 관리.
- 사용량 초과 시 데이터 제한 속도 적용.
- 부가서비스 정책 설정.
- 유선 데이터 사용량과 요금제별 과금을 동기화.
- 부가서비스 사용량 차감 및 추가 과금 요청 생성.
- 고객의 인터넷 요금제 및 추가 서비스 관리.
- 고객 요청 시 요금제 업그레이드 및 추가 서비스 적용.
- 청구서 생성 및 발송.
- 라우터/스위치: 인터넷 접속 및 대역폭 제어.
- QoS 적용으로 트래픽 우선순위 설정.
인터넷 전화(VoIP) - 통화량 기반 CDR 생성.
- 분당 요금을 계산하여 과금 데이터 전송.
- VoIP 통화 품질(QoS) 관리.
- 초과 사용량에 따른 정책 적용.
- 잔여 통화량 및 초과 통화료 실시간 동기화.
- 추가 통화료 과금 처리 및 잔액 업데이트.
- VoIP 요금제와 통화료 관리.
- 추가 통화료 발생 시 고객 알림.
- 청구서 생성 및 발송.
- IMS(Core): VoIP 통화 연결 관리.
- QoS 설정으로 VoIP 품질 보장.
- 통화 트래픽 우선순위 제어.

세부 설명

1. OFCS(Offline Charging System)

  • 모바일 요금제:
    • 무제한 데이터 사용량을 기록하지 않지만, 가족 쉐어링 데이터는 별도로 사용량 기록 및 과금 데이터 생성.
  • 유선 요금제:
    • 인터넷 사용량과 초과 데이터 요금 기록.
    • VoIP 통화량 기반 CDR 생성.

2.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 모바일 요금제:
    • QoS를 설정하여 속도 제한 없는 무제한 데이터 또는 데이터 초과 시 속도 제한 적용.
  • 유선 요금제:
    • 인터넷 대역폭 및 트래픽 우선순위 정책 설정.
    • VoIP 통화 품질(QoS) 보장.

3. CHF(Charging Function)

  • 실시간 과금 처리:
    • 모바일 및 유선 데이터 사용량과 VoIP 통화량을 실시간으로 잔액에 반영.
    • 데이터 추가 구매나 속도 제한 해제 요청 시 과금 처리.

4. IDI B/OSS

  • 가입자 관리:
    • 모든 모바일 및 유선 요금제를 고객별로 관리.
    • 가족 데이터 쉐어링, 인터넷 추가 서비스 등을 관리.
  • 청구 관리:
    • 청구서 생성 및 고객 알림.
    • 프로모션 혜택 및 요금제 변경 관리.

5. 네트워크 장비

  • 모바일 요금제:
    • AMF/SMF/UPF를 통해 5G 및 LTE 네트워크 연결 및 데이터 트래픽 관리.
  • 유선 요금제:
    • 라우터, 스위치 및 IMS 장비를 통해 유선 인터넷 및 VoIP 트래픽 관리.

결론

LG유플러스의 다양한 모바일 및 유선 요금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려면 OFCS, PCRF, CHF, IDI B/OSS와 네트워크 장비가 긴밀하게 연계되어야 합니다. 특히 QoS 정책 설정, 실시간 과금 처리, 청구서 관리 등 모든 요소가 고객 경험을 개선하고 서비스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