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olid Power"는 고체 상태 배터리(전고체 배터리, Solid-State Battery)를 개발하는 미국의 차세대 배터리 기술 기업입니다. 테슬라, BMW, 포드 등의 주요 전기차 기업과도 협력하고 있어 전기차 배터리 산업에서 매우 주목받는 회사입니다.
🔋 Solid Power 개요
항목 | 내용 |
회사명 | Solid Power, Inc. |
설립 연도 | 2012년 |
본사 | 미국 콜로라도주 루이스빌 |
기술 핵심 | 전고체 배터리(Solid-State Battery) 개발 |
상장 여부 | 나스닥 상장 (티커: SLDP) |
협력 기업 | BMW, Ford, SK온, 삼성벤처투자 등 |
웹사이트 | solidpowerbattery.com |
⚙️ Solid Power의 핵심 기술: 전고체 배터리
항목 | 설명 |
전해질 | 액체가 아닌 고체 전해질 사용 (황화물 기반) |
장점 | 🔹화재 위험↓ 🔹에너지 밀도↑ 🔹충전 속도↑ 🔹수명 증가 |
에너지 밀도 | 400Wh/kg 이상 목표 (리튬이온 대비 2배 이상) |
음극 | 리튬 메탈 음극 사용 (기존 흑연보다 고용량) |
현재 상태 | 시험 생산 단계, 2025~2026년 상용화 목표 |
🤝 주요 파트너십 및 투자 현황
파트너 | 내용 |
BMW | 전고체 배터리 공동 개발 및 양산 협약 |
Ford | 배터리 공동 개발 투자자 (전략적 지분 보유) |
SK온 | 공동 배터리 셀 설계 및 양산 라인 기술 공유 |
삼성벤처투자 | 초기 투자사 중 하나 |
📈 재무 요약 (2024년 기준)
항목 | 수치 |
매출 | 약 1,000만 달러 미만 (초기 기술 개발 단계) |
영업손실 | 약 6,000만 달러 이상 (R&D 중심 기업) |
자산 | 약 4억 달러 이상 |
주가 (SLDP) | $1~2 수준 (2025년 초 기준, 변동성 큼) |
🔮 Solid Power의 향후 전망
구분 | 전망 |
기술력 | 상용화 직전 단계, 샘플 셀 납품 성공 |
시장성 | 전고체 배터리는 향후 EV 배터리 시장의 핵심 트렌드로 급성장 전망 |
경쟁사 | QuantumScape, ProLogium, Toyota 등과 경쟁 |
위험 요인 | 기술 상용화 지연, 고비용 문제, 수율 문제 |
✅ 요약
- Solid Power는 전고체 배터리 선도 기업으로 EV 미래 배터리 시장에서 핵심 역할이 기대됩니다.
- 현재는 연구 및 시험 생산 단계이며, BMW/Ford와 협업 중.
- 주가는 낮지만, 기술 상용화 성공 시 매우 큰 성장 가능성이 있는 하이리스크-하이리턴 기업입니다.
아래는 Solid Power, QuantumScape, ProLogium 세 회사의 전고체 배터리 기술력 및 투자 현황 비교표입니다.
핵심 역량과 미래 경쟁력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 기술 및 투자 비교표
항목 | Solid Power | QuantumScape | ProLogium |
국가 / 설립 | 미국 (2012년, 콜로라도) | 미국 (2010년, 스탠퍼드 연계) | 대만 (2006년) |
전해질 종류 | 황화물 기반 howtogeek.com+15futurebatterylab.com+15irsglobal.com+15ecolithiumbattery.com | 산화물/세라믹 기반 (예: LLZO) | 세라믹·복합(Si 양극 + 세라믹 분리막) |
양극/음극 | NCM811 양극, 실리콘 → 리튬메탈 음극 확장 중 | 리튬 메탈 양극; 24‑층 시제품 개발 | 세라믹 분리막 + Si/고‑니켈 NMC 양극, 5분 충전으로 300 km 주행 가능 |
에너지 밀도 | 실리콘 음극 기준 ≈390 Wh/kg; 리튬메탈 음극 적용 시 ≈440 Wh/kg | 시제품에서 301 Wh/kg / 844 Wh/L | 아직 공식 수치 미공개, 하지만 고성능 지향 design 기반 |
양산 단계 & 플랜트 | 파일럿 라인 가동 중 (연 15,000셀) → 2026년 양산 목표 | VW와 공동 양산 채택 계획 (PowerCo 라이선스 확보, 연 40→80 GWh) | 대만 및 프랑스 둔커크에 0.5→2 GWh 타요완 공장 운영 중, 프랑스 2027년 가동 예정 (최대 48 GWh 목표) |
전략적 파트너 | BMW·Ford·SK온과 협업 및 기술 라이선스 계약 | Volkswagen 주도 투자 및 JV, Bill Gates 등 투자자 보유 | Mercedes‑Benz, NIO, VinFast, POSCO, SoftBank 등 투자·협업 |
시제품 / 성능 공개 | 22개 셀 스택 기반 시제품 제조 | 신제품 QSE‑5: 1000회 충전 후 용량 95% 유지, 에너지 밀도 발표 | 고출력/고밀도, 5분 충전→300 km 주행 목표 실현 중 |
투자 및 자금 조달 | SK온에 2,200만 달러 기술 라이선스 계약 및 800만 달러 파일럿 설비 계약 | 2020년 SPAC 상장 → 1억 달러 이상 자금 수혈, VW 보유 지분 17% 확보 | 2021년 3.26억 달러 투자유치 → 평가액 20~30억 달러, IPO 계획 중 |
📌 해설 및 의의
- Solid Power
- 장점: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 제조 공정 호환 → 생산 인프라 절감
- 단점: 리튬메탈 적용은 초기 단계, NCM811 + 실리콘 조합 우선 적용 중
- QuantumScape
- 강점: 오직 리튬메탈 양극 + 세라믹 전해질에 집중 → 기술혁신 성과 우위
- 위험: 산화물 기반 제조 공정 및 자본 부담이 높음, 고비용 구조
- ProLogium
- 차별점: 세라믹 분리막과 Si 양극 조합 → 고속충전·고효율 목표
- 확장성: 프랑스 둔커크와 대만 공장 건설로 글로벌 생산력 확보 중
🚀 향후 전망 요약
- 상용화 시기
- 모두 2025~2027년 사이 시제품/파일럿 생산 돌입 예정 s29.q4cdn.com+11kiei.com+11jooniyar.tistory.com+11tech42.co.kr+3v.daum.net+3blog.naver.com+3
- 2030년 이후 진정한 대량 생산 체제 구축 전망
- 시장 위치
- QuantumScape: 기술 선두주자 → 규제 및 자본 확보에 강점
- Solid Power: 실용성과 생산 효율성 중시 → 기존 배터리업체 채택 용이
- ProLogium: 유럽 중심 확장 + 고속 충전/밀도 전략 → 유럽 완성차사와 연계
- 투자 전략 관점
- QS: 고위험·고수익, 기술적 불확실성 존재
- SLDP: 안정적 파일럿 생산 중심, 생산 전략 현실적
- ProLogium: 비상장 중고급 투자 대상, 정부 지원 및 글로벌 팩토리 확장 중
아래는 전고체 배터리 산업 전망과 ETF·관련주 투자 분석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 1. 산업 전망
- 전고체 배터리는 안전성↑, 에너지 밀도↑, 충전 속도↑, 수명↑ 등의 장점이 있어 차세대 배터리의 핵심 기술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 2024~2027년 사이 파일럿 라인이 본격 가동되며 소량 시험생산 단계에 진입하고, 2030년 이후 대규모 상용화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
- 주요 완성차·배터리 기업(Toyota, VW, Samsung, LG, Mercedes)이 거액 투자하며 생태계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으며, 원천 소재 (고체 전해질, 실리콘 음극 등) 개발 경쟁도 가열되고 있습니다 .
- 다만, 공정 복잡성, 생산 비용, 내구성과 인터페이스 안정성 등 해결할 과제도 많아 계획대로 상용화까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음 .
📈 2. 주요 종목 및 실시간 주가
Solid Power (SLDP): $1.61, 최근 플랜트 및 OEM 협업 투자 기대 → 중기 실적 회복 가능성 주목
- QuantumScape (QS): $4.13, Volkswagen과 라이선스 계약 → 현금 유입과 개발 안정성이 긍정 요인
🧩 3. ETF 및 포트폴리오 전략
🔹 국내 상장 ETF
- SOL 전고체 배터리 & 실리콘 음극재 ETF
- 2025년 1월 코스피 상장, 주요 보유 종목: 삼성SDI, 이수스페셜티케미컬 등
- 상장 후 약 +15% 상승 .
🔹 글로벌 ETF
- Global X Lithium & Battery Tech ETF (LIT)
- 리튬 업스트림부터 배터리 제조까지 전 범위 투자, 주요 보유주: Albemarle, Tesla, LG화학 등 .
- Amplify Lithium & Battery Technology ETF (BATT)
- 금속/광산 중심, ESG·소재 중심 노출 확대 추구 .
- JustETF ‘Battery Technology’
- 4개 지수 기반 다양한 배터리 관련 ETF 추천 .
✅ 투자 포인트 요약
항목 | 내용 |
투자 시기 | 초기 파일럿 단계 → 향후 5~10년 내 상용화 가시화 기대 |
리스크 요인 | 상용 생산 지연, 공정 안정성, 대기업 대응 여부 |
종목형 투자 | SLDP, QS 등 고위험·고수익, 기술/협업 실물검증 관건 |
ETF 투자 | SOL ETF, LIT, BATT 등으로 안정적 분산 투자 가능 |
소재·장비 관련주 | 삼성SDI, 이수화학, 한농화성, CI Systems 등 국내 소재 기업 유망 |
🧠 결론 및 투자 제안
- 하이리스크·하이리턴 투자자: SLDP, QS 주가 추이·협업 성과 모니터링
- 분산 투자 선호자: SOL, LIT, BATT 등 ETF → 기술 상승 확대 수혜 달성
- 국내 중소형주 관심자: 고체 배터리 소재/장비 관련 중소·벤처기업 모니터링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아래 링크를 통해서 후원해주세요.( 커피나 차 한잔 이나 맥주나 와인한잔 )
728x90
반응형
'투자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부동산 PF(Project Finance) 대출 연체율 추이 (1) | 2025.06.16 |
---|---|
2025년 5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인플레이션,cpi inflation rate (4) | 2025.06.12 |
MACD + AI Trading = 1159% Returns? (0) | 2025.06.07 |
블로그를 트래픽 10배 이상 성장 전략 (13) | 2025.06.02 |
공간 공유/임대 수익 모델을 가진 플랫폼 중 대표적인 Top 10 사이트 (4) | 2025.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