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

4G/5G 장비업체의 통신사 대상 영업~서비스 운영 전 과정 정리

aiproductmanager 2025. 5. 17. 04:41
728x90
반응형

[4G/5G 장비업체의 통신사 대상 영업~서비스 운영 전 과정 정리]


1. 사전 단계: 정보 수집 및 준비

  • 시장 동향 분석: 통신사 전략, 정부 정책, 스펙트럼 계획 등 확인
  • 레퍼런스 확보: 국내외 구축 사례, 벤치마크 시험 성적 확보
  • 기술 협의/사전 미팅: 통신사 CTO 조직과 사전 기술 적합성 검토

2. RFx 절차 (공식 제안 프로세스)

2.1 RFI (Request for Information)

  • 목적: 공급사 기술력 및 가능성 탐색
  • 내용: 기술사양 개요서, 벤더 포트폴리오, 사전질의서 응답

2.2 RFQ (Request for Quotation)

  • 목적: 단가 기준 확보 (개별 장비, SW, 라이선스 등)
  • 내용: 품목별 단가표, 연간단가, 조건부 할인율 제안 등

2.3 RFP (Request for Proposal)

  • 목적: 정식 입찰 및 제안
  • 내용:
    • 기술 제안서 (3GPP Release, 성능, 호환성 등)
    • 구축 일정/방법론 (Delivery Plan)
    • 서비스 운영 전략 및 SLA
    • 전체 TCO 견적서 (Capex + Opex)

2.4 벤더 선정 및 계약

  • 평가 기준: 기술 40~50%, 가격 30%, 서비스 20% 비율로 평가
  • 계약서 체결: SLA, 벌점 조항, 지연 패널티 포함

3. 구축 및 개통 단계

3.1 Kick-off & 상세 설계

  • 프로젝트 팀 구성 (PM, 기술, 물류 등)
  • Site 설계, PoP 구성, 백홀 연동 계획 수립

3.2 물류 및 인프라 설치

  • 장비 생산 및 입고
  • 기지국 설치, DU/RU 설치, 전원/안테나 연동
  • 데이터센터 내 Core 장비 설치 및 상면 확보

3.3 통합 테스트

  • FAT (공장 시험): 출하 전 기능 검증
  • SAT (현장 시험): 설치 후 연동/성능 시험
  • Interop Test: 타 벤더 연동 시험 (RAN ↔ Core, 3rd-party 장비 등)

3.4 서비스 개통 (Commercial Launch)

  • 개통 승인
  • Live Traffic 전환 (Pilot → 점진 확대)
  • 장비별 모니터링 체계 운영 시작

4. 운영 및 유지보수 단계

4.1 초기 안정화 지원

  • 운영팀 핸드오버
  • 상주 인력 운영 (최대 3~6개월)
  • 장애 대응 프로세스 정립

4.2 정기 유지보수/업그레이드

  • SW 패치, 버그 수정
  • 3GPP Release 반영 (예: Rel-17, 18)
  • 신규 기능/성능 개선 적용

4.3 SLA 기반 기술지원

  • 장애 등급 (Severity 1~4)에 따른 대응 시간
  • MTTR, RCA 보고
  • 운영 리포트/통계 보고

5. 중장기 전략 대응

  • 5G SA, B2B 특화 서비스 (Network Slicing, URLLC 등) 연계
  • MEC/Edge, AI 기반 최적화 솔루션 공동 제안
  • 6G 로드맵 대응 전략 수립

비고: 이 프로세스는 국내 통신 3사(SK텔레콤, KT, LGU+) 기준이지만, 글로벌 Tier-1 통신사(Reliance Jio, NTT Docomo 등)도 유사함.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아래 링크를 통해서 후원해주세요.( 맥주한잔 이나 커피한잔 )

 

 

[4G/5G 장비업체의 통신사 대상 영업~서비스 운영 전 과정 정리 (가상화 기술 반영)]


1. 사전 단계: 정보 수집 및 준비

  • 시장 동향 분석: 통신사 전략, 정부 정책, 스펙트럼 계획 등 확인
  • 레퍼런스 확보: 국내외 구축 사례, 벤치마크 시험 성적 확보
  • 기술 협의/사전 미팅: 통신사 CTO 조직과 사전 기술 적합성 검토

2. RFx 절차 (공식 제안 프로세스)

2.1 RFI (Request for Information)

  • 목적: 공급사 기술력 및 가능성 탐색
  • 내용: 기술사양 개요서, 벤더 포트폴리오, 사전질의서 응답
  • 소요 일정: 2~4주 (공통)

2.2 RFQ (Request for Quotation)

  • 목적: 단가 기준 확보 (개별 장비, SW, 라이선스 등)
  • 내용: 품목별 단가표, 연간단가, 조건부 할인율 제안 등
  • 소요 일정: 2~3주

2.3 RFP (Request for Proposal)

  • 목적: 정식 입찰 및 제안
  • 내용:
    • 기술 제안서 (3GPP Release, 성능, 호환성 등)
    • 구축 일정/방법론 (Delivery Plan)
    • 서비스 운영 전략 및 SLA
    • 전체 TCO 견적서 (Capex + Opex)
  • 소요 일정: 4~6주 (검토 포함)

2.4 벤더 선정 및 계약

  • 평가 기준: 기술 40~50%, 가격 30%, 서비스 20% 비율로 평가
  • 계약서 체결: SLA, 벌점 조항, 지연 패널티 포함
  • 소요 일정: 3~4주

3. 구축 및 개통 단계 (전통 vs 가상화 비교)

단계  전통(PNF 기준) VNF/CNF 기반 (가상화)
상세설계 4~6주 2~3주 (템플릿, YAML 기반)
HW 물류/설치 8~12주 2~4주 (x86 공용 서버 사용)
SW 설치 및 구성 4~6주 1~2주 (CI/CD 자동화 배포)
연동/테스트 (SAT 등) 4~6주 2~3주 (컨테이너 기반 빠른 반복)
총 구축 기간 5~6개월 2~3개월

4. 운영 및 유지보수 단계 (비용/일정 비교)

항목   전통 장비(PNF)   가상화 기반 (VNF/CNF)
프로페셔널 서비스 비용 높음 (HW 설치 중심) 중간~낮음 (SW 구성/자동화 중심)
SW 유지보수 주기 연 1~2회 수동 업그레이드 월간/분기 단위 CI/CD 자동 배포
버전 업그레이드 리드타임 2~3개월 이상 수일~2주 이내
장애 대응 수동 로그 수집 중심 중앙 로그 분석, 자동 재시작
기술지원 운영 인력 상주 인력 필요 원격 운영 가능, DevOps 체계

5. 중장기 전략 대응

  • 5G SA, B2B 특화 서비스 (Network Slicing, URLLC 등) 연계
  • MEC/Edge, AI 기반 최적화 솔루션 공동 제안
  • CI/CD 기반 DevOps 운영 도입으로 유지보수 TCO 대폭 절감 (최대 30~50%)
  • 6G 로드맵 대응 전략 수립

비고: 이 프로세스는 국내 통신 3사(SK텔레콤, KT, LGU+) 기준이지만, 글로벌 Tier-1 통신사(Reliance Jio, NTT Docomo 등)도 유사하며, 점차 CNF+CI/CD 중심으로 전환 중.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아래 링크를 통해서 후원해주세요.( 맥주한잔 이나 커피한잔 )

 

 

[4G/5G 장비업체의 통신사 대상 영업~서비스 운영 전 과정 정리 (DevOps반영)]


1. 사전 단계: 정보 수집 및 준비

  • 시장 동향 분석: 통신사 전략, 정부 정책, 스펙트럼 계획 등 확인
  • 레퍼런스 확보: 국내외 구축 사례, 벤치마크 시험 성적 확보
  • 기술 협의/사전 미팅: 통신사 CTO 조직과 사전 기술 적합성 검토

2. RFx 절차 (공식 제안 프로세스)

2.1 RFI (Request for Information)

  • 목적: 공급사 기술력 및 가능성 탐색
  • 내용: 기술사양 개요서, 벤더 포트폴리오, 사전질의서 응답
  • 소요 일정: 2~4주 (공통)

2.2 RFQ (Request for Quotation)

  • 목적: 단가 기준 확보 (개별 장비, SW, 라이선스 등)
  • 내용: 품목별 단가표, 연간단가, 조건부 할인율 제안 등
  • 소요 일정: 2~3주

2.3 RFP (Request for Proposal)

  • 목적: 정식 입찰 및 제안
  • 내용:
    • 기술 제안서 (3GPP Release, 성능, 호환성 등)
    • 구축 일정/방법론 (Delivery Plan)
    • 서비스 운영 전략 및 SLA
    • 전체 TCO 견적서 (Capex + Opex)
  • 소요 일정: 4~6주 (검토 포함)

2.4 벤더 선정 및 계약

  • 평가 기준: 기술 40~50%, 가격 30%, 서비스 20% 비율로 평가
  • 계약서 체결: SLA, 벌점 조항, 지연 패널티 포함
  • 소요 일정: 3~4주

3. 구축 및 개통 단계 (전통 vs 가상화 비교)

단계  전통(PNF 기준)  VNF/CNF 기반 (가상화)
상세설계 4~6주 2~3주 (템플릿, YAML 기반)
HW 물류/설치 8~12주 2~4주 (x86 공용 서버 사용)
SW 설치 및 구성 4~6주 1~2주 (CI/CD 자동화 배포)
연동/테스트 (SAT 등) 4~6주 2~3주 (컨테이너 기반 빠른 반복)
총 구축 기간 5~6개월 2~3개월

4. 운영 및 유지보수 단계 (비용/일정 비교)

항목  전통 장비(PNF)  가상화 기반 (VNF/CNF)
프로페셔널 서비스 비용 높음 (HW 설치 중심) 중간~낮음 (SW 구성/자동화 중심)
SW 유지보수 주기 연 1~2회 수동 업그레이드 월간/분기 단위 CI/CD 자동 배포
버전 업그레이드 리드타임 2~3개월 이상 수일~2주 이내
장애 대응 수동 로그 수집 중심 중앙 로그 분석, 자동 재시작
기술지원 운영 인력 상주 인력 필요 원격 운영 가능, DevOps 체계

5. 중장기 전략 대응

  • 5G SA, B2B 특화 서비스 (Network Slicing, URLLC 등) 연계
  • MEC/Edge, AI 기반 최적화 솔루션 공동 제안
  • CI/CD 기반 DevOps 운영 도입으로 유지보수 TCO 대폭 절감 (최대 30~50%)
  • 6G 로드맵 대응 전략 수립

6. [DevOps 기반 통신사 운영 전략 가이드]

6.1 DevOps 개념

  • Dev(개발) + Ops(운영) 통합
  • 자동화된 배포, 빠른 피드백, 안정적인 운영을 추구하는 체계

6.2 통신사 적용 전략

적용  영역 내용
CI/CD 코드 → 빌드 → 테스트 → 배포 자동화 (Jenkins, GitOps 등 활용)
IaC (Infrastructure as Code) YAML/Ansible 기반 배포 템플릿 사용으로 구성 자동화
모니터링 Prometheus, Grafana, ELK 기반 통합 대시보드 구성
자동 롤백/롤링 배포 장애 발생 시 자동 이전 버전 복구, 무중단 배포 가능

6.3 도입 효과

  • 장애 대응 시간 50%↓
  • 버전 배포 주기 70% 단축
  • 운영 인건비 30~50% 절감
  • 연간 유지보수 비용 최대 40% 감소

6.4 구축 유의사항

  • 조직 내 DevOps 전담팀 구성 필요
  • 통신사 보안 정책에 맞춘 툴 체계 설계
  • 기존 Legacy NMS와 연계 방식 정의 필수

비고: 이 프로세스는 국내 통신 3사(SK텔레콤, KT, LGU+) 기준이지만, 글로벌 Tier-1 통신사(Reliance Jio, NTT Docomo 등)도 유사하며, 점차 CNF+CI/CD 중심으로 전환 중.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아래 링크를 통해서 후원해주세요.( 맥주한잔 이나 커피한잔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