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

STP 장비 비교: Oracle, Ribbon, NetNumber, BroadForward 완전 정리

aiproductmanager 2025. 4. 30. 06:33
728x90
반응형

 

📡 STP란? 통신사의 신호를 제어하는 핵심 장비

STP(Signal Transfer Point)는 통신망 내에서 전화 연결, SMS, 로밍 인증 등 제어 신호를 라우팅하고 중계하는 핵심 장비입니다.
주로 SS7, SIGTRAN, Diameter 등의 프로토콜을 처리하며, 2G~5G까지의 코어 네트워크에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 STP 장비 성능 설계 기준 – CPS / MPS란?

  • CPS(Calls Per Second): 초당 처리할 수 있는 통화 수
  • MPS(Messages Per Second): 초당 처리 가능한 신호 메시지 수 (통화 1건당 평균 10~15 메시지 발생)
  • Busy Hour 기준 트래픽 + 향후 성장률 30~50% 여유 고려

📈 주요 STP 제조사 장비 비교표 (2025년 기준)

제조사 제품명 특징 가상화 보안기능 추천 적용망
Oracle EAGLE STP / vSTP 하드웨어 + 클라우드 지원, 대형 사업자 다수 O (vSTP) GTT, SS7 FW, 오버로드 보호 5G/IMS 망, 글로벌 대형 사업자
Ribbon DSC 8000 / SWe 고성능 + 다중 프로토콜 지원 O (SWe) SS7 FW, Gateway Screening 대규모 사업자, IMS 중심망
NetNumber TITAN STP Diameter/SIP/ENUM 통합, 클라우드 최적화 O GTT, SS7/Diameter 보안 내장 클라우드 망, 5G SBA 구조
BroadForward NextGen STP 100% 소프트웨어 기반, API 인터페이스 강화 O 오버로드 차단, 필터링 클라우드 네이티브 망, IoT/로밍망
Enghouse Dialogic DSI STP 중소형 망 특화, 저비용 X (하드웨어 위주) 기초 필터링 중소규모 사업자, 고정망 SS7 전용

🧩 STP 제안서 작성 시 유의사항

  1. 필수 요구사항과 선택 기능 명확 구분
  2. CPS/MPS 산출근거 수치로 제시
  3. HA 구성, 장애 복구 시나리오 포함
  4. 기술 지원 체계 및 유지보수 계획 제시
  5. 국내외 성공 사례(Reference) 강조

🔖 추천 해시태그

#STP #STP장비비교 #SignalTransferPoint #OracleSTP #NetNumberTITAN #BroadForwardSTP #RibbonDSC #5GCore #통신망설계 #RFP제안

✅ 마무리 요약

STP는 단순 신호 스위치가 아닌, 네트워크 안정성과 지능형 서비스 연결의 핵심 허브입니다. 본 포스팅을 통해 STP의 개념, 트래픽 용량 설계 방법, 제조사 비교까지 이해하고 제안서 작성 또는 장비 도입 시 실질적인 기준이 되길 바랍니다.

 

 

통신사 코어망 설계에서 핵심인 STP(Signal Transfer Point)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Oracle, Ribbon, BroadForward, NetNumber 등 글로벌 제조사의 STP 장비 기능, 용량, 보안, 가상화 지원 여부를 한눈에 비교 정리했습니다. 제안서 작성과 장비 선정에 필요한 기술적/전략적 포인트도 함께 확인하세요.

 

5G, LTE, IMS 같은 코어망에서 통신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장비 중 하나가 바로 STP(Signal Transfer Point)입니다.  
전화 연결, 로밍 인증, SMS 전송 같은 신호 흐름을 중계하고 제어하는 이 장비는 네트워크 신뢰성과 확장성의 중심에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STP의 기본 개념부터 CPS/MPS 산정법, 실제 장애 시나리오, RFP 대응 전략, 그리고 Oracle, Ribbon, BroadForward, NetNumber, Enghouse 등 주요 제조사의 장비를 기능별로 비교 분석했습니다.

통신사업자 장비 제안서 작성 시, 또는 클라우드 전환/5G 인프라 설계 검토 중이라면 꼭 참고해야 할 가이드입니다.

 

STP (Signal Transfer Point)**에 대해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STP (Signal Transfer Point) 개요

구분내용
정의 SS7(Signaling System No.7) 네트워크 내에서 신호 메시지를 중계(라우팅)하는 스위칭 노드
주요 기능 - 신호 메시지(Message Signaling Unit, MSU) 라우팅
- 목적지까지 최적 경로 선택
- 네트워크 신호 트래픽 부하 분산
역할 전화 통화 연결, SMS 전송, 착신 전환(Call Forwarding), 로밍 지원 등 통신 서비스의 제어 신호 관리
위치 통신망의 중심부(Core Network)에 배치되어 여러 SSP(서비스 스위칭 포인트) 및 SCP(서비스 제어 포인트)와 연결
연결 프로토콜 SS7 (특히 MTP - Message Transfer Part, SCCP - Signaling Connection Control Part) 사용

STP 동작 흐름 요약

  1. 전화기나 단말기(SSP)가 신호를 보냄
    → 예를 들어 전화 걸기 요청.
  2. STP가 신호를 수신
    → 요청 목적지에 따라 어디로 보낼지 결정.
  3. STP가 최적 경로로 신호를 중계
    → 목적지 SSP나 SCP로 라우팅.
  4. 목적지에서 최종 서비스 처리
    → 예: 수신자 전화 벨 울림, SMS 전송 등.

STP의 주요 기능 상세

기능설명
라우팅(Routing) 최적 경로를 찾아 신호 메시지를 전달
로드 쉐어링(Load Sharing) 신호 부하를 여러 경로에 분산하여 장애나 병목 예방
리던던시(Redundancy) 이중화 구성을 통해 장애 시 자동 대체
트래픽 필터링 및 보안 비정상 신호 차단, 보안 정책 적용
번호변환 (Global Title Translation, GTT) 로밍, 착신 전환 등 상황에 맞게 번호를 변환

STP의 구성 예시

scss
복사편집
[단말기 A] ↓ (SS7 signaling) [SSP][STP][SCP or 다른 SSP][단말기 B]
  • SSP: Service Switching Point (서비스 요청 발생)
  • STP: Signal Transfer Point (신호 라우팅 중계)
  • SCP: Service Control Point (서비스 로직 처리)

STP의 현대적 진화

구분설명
클래식 STP - 물리적 장비 기반 SS7 전용 장비
- 고정망/2G/3G 코어망에 주로 사용
IP 기반 STP (IP-STP) - IP망 기반 신호 전송 (SIGTRAN 프로토콜 사용)
- LTE, 5G 망에서도 연계 가능
가상화/클라우드 STP - NFV(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기반 가상 STP 등장
- 클라우드 기반 신호 관리 가능

주요 STP 제조업체

업체제품/솔루션명
Ericsson STP, IP-STP
Oracle Communications Eagle STP
NetNumber TITAN STP
Huawei Sigtran STP
Nokia NetAct STP

최종 요약

**STP (Signal Transfer Point)**는 전화 연결, SMS, 로밍 등 통신 서비스를 위한 신호를 네트워크 상에서 최적으로 전달하고 조율하는 핵심 스위칭 노드입니다.

현대에는 IP 기반, 가상화된 STP로 발전하면서 LTE, 5G 환경에서도 중요성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추가로

  • "STP와 Diameter Routing Agent(DRA, 4G/5G용 신호라우터) 비교"
  • "STP 장애 시 발생하는 통신망 문제 사례"
    도 심화해서 정리해드릴 수 있습니다.

 


1. STP와 DRA 비교

구분STP (Signal Transfer Point)DRA (Diameter Routing Agent)
적용 네트워크 - 2G / 3G (SS7 기반 네트워크)
- PSTN(유선망)
- 4G LTE / 5G (Diameter 기반 네트워크)
주요 프로토콜 - SS7 (MTP, SCCP, TCAP, ISUP 등) - Diameter (RFC 6733)
주요 역할 - SS7 신호 메시지 중계 및 라우팅
- 번호변환(GTT), 트래픽 부하 분산, 이중화 관리
- Diameter 메시지 라우팅
- 정책/과금/인증 신호 중계 (PCRF, HSS, AAA 서버 연결)
확장성 - 고정 회선 중심
- 트래픽 증가에 한계
- 클라우드 기반 확장 가능
- 5G SBA(Service Based Architecture) 연계 지원
보안 기능 - 기본적인 신호 필터링 - Diameter Overload Control
- 보안 인증 및 암호화 기능 내장
현재 추세 - SS7 네트워크 유지 또는 축소
- 일부 VoLTE/5G 전환 시 감소
- 4G, 5G망에서 필수적
- SBA로 인해 역할 확장 중

요약 포인트

  • STP는 SS7(2G/3G) 신호 라우팅 중심,
  • DRA는 Diameter(4G/5G) 신호 라우팅 중심.
  • 5G시대에는 DRA가 STP의 역할을 대체+확장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2. STP 장애 시 발생하는 통신망 문제 사례

장애 상황영향 및 문제 사례
STP 장애 발생 - 신호 라우팅 불가 → 전화 연결 실패, SMS 전송 실패
특정 STP 노드 장애 - 로밍 연결 불가
- 긴급전화(112, 911 등) 연결 장애
SS7 부하 급증으로 STP 과부하 - 통화 시도 대량 실패
- 착신전환, 발신제한 기능 오작동
GTT(번호변환) 오류 - 로밍 중인 사용자가 연결 실패
- 착신전환이 잘못 설정되는 경우 발생
이중화 리던던시 실패 - STP 이중화 구성 실패 시 전체 지역 통신 두절
(예: 과거 유럽 일부 국가에서 3G 음성망 마비 사례)

장애 발생 시 복구 방법 (통상적 절차)

  1. 장애 감지 → SS7/MTP Layer 오류 탐지
  2. 장애 구간 우회 설정 (Backup STP 경로 활용)
  3. GTT 재설정 또는 오류 수동 수정
  4. 장애 원인 분석 (디스크 고장, CPU 부하, 소프트웨어 오류 등)
  5. STP 소프트웨어 재부팅 또는 장비 교체
  6. 서비스 정상화 후 후속 Root Cause Analysis(RCA) 보고

최종 요약

  • STP는 2G/3G 시대 핵심 신호 라우터였고,
  • DRA는 4G/5G 시대 핵심 신호 라우터로 진화했습니다.
  • STP 장애는 전화 불통, 로밍 장애, 긴급전화 실패 같은 심각한 사회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 이중화 및 실시간 장애 대응체계가 필수적입니다.


STP(Signal Transfer Point) 장비를 사업자(통신사 등)에 제안할 때, 용량 설계(Capacity Planning) 를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핵심 요소를 체계적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STP 장비 용량 설계를 위한 필수 고려 요소

구분설명비고
1. CPS (Calls Per Second) - 초당 처리할 수 있는 신호 호출 수
- 즉, 초당 몇 개 통화 시도가 들어오는가
- 가장 핵심 지표
- 보통 "Busy Hour" 기준으로 설계
2. MPS (Messages Per Second) - 초당 처리할 수 있는 SS7 메시지 수
- 각 통화당 수십~수백 개의 메시지가 발생
- 트래픽 세밀 분석 필요
3. Busy Hour Traffic (BHT) - 하루 중 가장 트래픽이 몰리는 시간대(1시간) 동안의 최대 부하량 - 설계시 반드시 BHT에 맞춰 여유(30~50%) 잡아야
4. 피크 예상 성장률 - 연간 트래픽 증가율 예상 (예: 연 10~20%)
- 미래 트래픽을 고려한 스케일링 계획 필요
- 최소 3~5년 트래픽 예측 반영 설계
5. Signaling Link 수 (E1/T1, IP Link 등) - SS7 Signaling Link 개수와 대역폭 요구사항
- 이중화 고려하여 N+1 방식 설계 필요
- IP-STP라면 SIGTRAN(IP 기반) Bandwidth도 고려
6. Global Title Translation (GTT) 용량 - 번호변환 요청 처리량
- 로밍, 착신전환 시 요청량 급증 가능성 고려
- 특히 국제 로밍 사업자는 GTT 부하 큼
7. 이중화 및 리던던시 - 장애 대비 Dual Node 구성(Active-Active, Active-Standby 등) - 단일 장애점(SPOF) 제거 필수
8. Routing Table 크기 - 노드별 라우팅 테이블 크기
- 로밍 협정국 수 증가에 따라 필요 용량 확대
- 경로 최적화 및 업데이트 빈도도 고려해야
9. 보안 필터링/방화벽 부하 - 신호 트래픽에 대한 DoS/DDoS 보호 기능 활성화 여부 - Security Enable 시 CPU/Memory 여유 설계 필요
10. OAM (운영 및 관리) 트래픽 - 관리/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신호 부하량 - 전체 트래픽의 3~5% 추가로 여유 설계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특수 조건

항목설명
VoLTE/IMS 연동 여부 - STP에서 Diameter Edge(DRA)와 연동할 경우 추가 트래픽 발생
긴급호(911/112) 우선 처리 - 긴급호 신호는 항상 우선순위 보장 필요
International Gateway 역할 여부 - 국제 로밍 트래픽 처리시 트래픽량 급증
5G망 연계 여부 - 향후 STP를 5G SBA와 연동할 필요성이 있는지 확인

용량 산정 흐름 요약

① 현재 사업자 망의 BHT(CPS, MPS) 수집
→ ② 향후 3~5년 성장률 적용
→ ③ 신호 종류별(통화, SMS, Roaming, 데이터 세션) 분류
→ ④ 이중화/리던던시 고려
→ ⑤ 최종 장비 스펙 제안 (여유 포함)


최종 요약

STP 장비 제안 시에는 "CPS+MPS+성장률+이중화" 이 네 가지를 기반으로,
"3~5년 후 피크 부하를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여유 용량"을 반드시 반영해서 설계해야 합니다.


추가로 필요하시면

  • "STP 장비 제안서 예시 목차/구성"
  • "CPS, MPS 계산을 위한 실제 산식 예제"
  • "차세대 STP 장비 트렌드(IP-STP, vSTP 등)"
    까지 심화해서 정리해드릴 수 있습니다.

.
STP 장비 사업자 제안을 제대로 준비하시려면, 앞서 드린 용량 설계 외에 추가로 꼭 준비해두셔야 할 핵심 내용 3가지를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추가로 필요한 내용 3가지

번호항목설명
1 고가용성(High Availability, HA) 설계 방안 - 장애 시 신속 복구를 위한 이중화 구성 설계 (Active-Active 또는 Active-Standby)
- Link Failure, Node Failure, Site Failure 대비 시나리오 명확화
2 운영/관리(OAM) 기능 및 편의성 - Stop 장비에 포함된 모니터링/알람/장애 통지 기능 정리
- CLI, GUI 지원 여부, SNMP 연동 가능성, 백업/복구 지원 기능 등 상세화
3 보안(Security) 기능 및 강화 옵션 - SS7 방어 (SS7 방화벽 내장 여부)
- Signaling DoS/DDoS 차단 기능
- 메시지 검증, 인증 및 IP 보안 연계 가능성 등 포함

요약 정리

STOP(STP) 장비를 제안할 때는 단순 "용량" 뿐만 아니라,
"1. 장애 대비 설계(HA) + 2. 운영편의성(OAM) + 3. 보안기능(Security)
이 세 가지를 함께 제시해야 사업자 검토단계에서 경쟁력이 올라갑니다.


추가로 원하시면

  • 이 3가지를 포함해 실제 STP 제안서 샘플 목차까지 잡아드릴 수도 있습니다.
    (예: 표지 → 사업 배경 → 요구사항 분석 → 용량 설계 → HA 설계 → OAM/보안 기능 → 기대 효과 등)

STP 장비 제안서 샘플 목차 및 구성을 아주 실전형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STP 장비 제안서 샘플 목차

순번목차 제목상세 내용
1 제안서 개요 - 제안 배경
- 제안 목적
- STOP(STP) 장비의 필요성
2 사업자 망 환경 분석 - 현재 사업자의 네트워크 구조
- 트래픽 현황 (CPS, MPS, BHT) 분석
- 문제점 및 개선 필요성
3 STOP(STP) 장비 요구사항 정리 - 기능 요구사항
- 성능 요구사항
- 고가용성(HA) 요구사항
- 보안 및 운영 요구사항
4 STOP(STP) 장비 제안 내용 - 장비 구조 설명
- 주요 기능 요약
- 트래픽 처리능력(CPS/MPS 설계 근거 포함)
- 이중화(Active-Active/Standby) 구성안
5 용량 설계(Capacity Planning) - CPS, MPS 기준 용량 산정
- 향후 5년 성장률 반영
- 여유 설계(30~50% 스페어 용량 포함)
6 OAM(운영관리) 기능 설명 - 장비 관리(모니터링, 장애 알람, 백업)
- SNMP, CLI/GUI 제공 여부
- 유지보수 편의성 강조
7 보안(Security) 기능 제안 - SS7/Diameter 방화벽 기능
- DoS/DDoS 방어 기능
- 메시지 무결성/인증 지원
8 장애 대비 설계 및 복구 시나리오 - Node Failure, Link Failure, Site Failure 대비
- 빠른 장애 복구 방안 (Failover, Load Sharing)
9 구현 일정 및 프로젝트 계획 - 구축 일정표 (WBS)
- 단계별 구현 계획
- 테스트 및 검증 계획
10 기대 효과 및 투자 가치(ROI) - STOP 장비 도입 시 기대 효과
- 투자 대비 비용 절감 및 서비스 품질 향상 효과
11 부록 - 제품 데이터시트
- 성공 사례 (Reference Case)
- 추가 기술자료 (백업용)

제안서 작성 포인트

  • 초반(1~3장): 왜 필요한지 "명확한 문제 정의" → 사업자 관심 유도
  • 중반(4~8장): "기술적 완성도+미래 확장성" 강조 → 신뢰성 어필
  • 후반(9~11장): "구축 용이성+투자 효과" 강조 → 결정자 설득

최종 요약

STOP(STP) 장비 제안서는 "사업자 환경 분석 → 용량/성능/운영/보안 → 투자 가치 제시"의 흐름으로 체계적으로 설계하는 것이 가장 설득력 있습니다.

특히 사업자 입장에서는 "단순 장비 스펙"보다 "용량 계획 + 장애 대비 + 운영 편의성 + 비용 절감"을 함께 명확히 제시하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봅니다.


추가로 원하시면

  • "제안서 내 삽입할 STP 네트워크 구성도 예시"
  • "CPS/MPS 계산을 위한 실제 산식 샘플"
  • "STP 장비 구축 후 기대 효과 정량화 예시 (수치/그래프 포함)"
    까지도 바로 이어서 정리해드릴 수 있습니다.

1. STOP(STP) 네트워크 구성도 예시,
2. CPS/MPS 계산 산식 샘플,
3. STOP 장비 구축 후 기대 효과 정량화 예시(수치/그래프 포함)
모두 차례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STP 네트워크 구성도 예시

🖥️ STOP/STP 기본 네트워크 연결 구조

css
복사편집
[SSP (교환기)] [SCP (서비스 제어)] ↘ ↙ [STOP (STP 장비)][다른 STOP][HLR/HSS (가입자 DB)][GMSC (게이트웨이 교환기)][PSTN/PLMN/인터넷]

구성 설명:

  • SSP: 사용자의 통화 시도/요청을 보내는 장비 (예: MSC, 교환기)
  • STOP(STP): 신호를 수신하고 최적 경로로 중계하는 핵심 노드
  • SCP: 착신 전환, 로밍 인증 같은 서비스 제어
  • HLR/HSS: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조회
  • GMSC: 외부망(다른 통신사) 연결 지점

특징:

  • STOP 간에는 이중화 링크 설정 (Active-Active 또는 Active-Standby)
  • 모든 Signaling 트래픽은 반드시 STOP을 경유

2. CPS/MPS 계산 산식 샘플

📐 CPS (Calls Per Second) 계산

CPS = (Busy Hour Call Attempts, BHCA) ÷ 3600

  • 예시: Busy Hour 동안 총 360,000건의 통화 시도
  • ➔ CPS = 360,000 ÷ 3600 = 100 CPS

📐 MPS (Messages Per Second) 계산

MPS = CPS × Average Messages per Call

  • 통상적으로 한 통화당 약 10~15개 SS7 메시지 발생
  • 예시: CPS 100, 평균 12개 메시지 발생
  • ➔ MPS = 100 × 12 = 1,200 MPS

주의:

  • SMS, 로밍 요청, USSD 요청 등은 별도로 추가 고려 필요
  • 안전 설계를 위해 최소 30~50% 여유 용량 추가 반영

3. STP 장비 구축 후 기대 효과 정량화 예시

📊 구축 전후 비교표

항목구축 전 (Old)구축 후 (STOP 도입)개선 효과
초당 신호 처리량 (MPS) 800 MPS 2,500 MPS 약 3배 증가
통화 성공률 (CSSR) 95% 99.5% 약 4.5% 향상
긴급호 연결 지연 평균 1.5초 평균 0.5초 67% 단축
망 장애 회복 시간 평균 30분 평균 5분 6배 빠른 복구
운영자 개입 빈도 매일 수동 조치 필요 월 1~2회 점검 수준 OAM 자동화

📈 수치 기반 기대 효과 그래프 예시

  • MPS 처리량 증가 그래프
  • 통화 성공률 개선 꺾은선 그래프
  • 장애 복구 속도 향상 막대 그래프

(원하시면 이 부분은 간단한 차트 이미지로도 제작해드릴 수 있습니다.)


최종 정리

사업자에게 STOP 장비를 제안할 때는
"네트워크 구조 명확화 + CPS/MPS 실계산 + 수치 기반 효과 예시"
이 세 가지를 함께 제시하면 매우 설득력 있는 제안서가 됩니다.


1. STP RFP(제안요청서) 응답 시 유의사항

구분유의사항상세 설명
1 RFP 요구사항 명확 이해 - 사업자가 요구하는 "필수 기능" vs "선택 기능"을 구분
- 필수 요구사항 누락 시 실격 가능
2 성능 수치 근거 제시 - CPS, MPS, 최대 처리량을 수치로 명확하게 제시
- 실제 검증 데이터(벤치마크 결과) 첨부 시 가점
3 고가용성(HA) 설계 구체화 - 단순 이중화 설명만 하지 말고, Failover/Recovery 흐름도 추가
- 장애 복구 시간 (MTTR) 명시
4 확장성(Scalability) 강조 - 미래 5G Core, SBA 연동 가능성(Ex: Diameter Edge 연동 가능성) 언급
5 OAM 운영 편의성 설명 강화 - GUI, CLI, SNMP 관리 기능 구체 설명
- 장애 자동알림, 원격 백업 지원 등 강조
6 보안 기능 명시 - SS7 방어, Signaling Firewall 내장 여부
- DDoS 공격 대응 시나리오 제시
7 국내외 구축 레퍼런스 제시 - 같은 규모 이상의 사업자 구축 성공 사례 포함 (특히 해외 Tier1 통신사 구축 이력 강조)
8 프로젝트 일정 현실성 확보 - 무리한 단기 구축 약속 금지
- 실제 설치→테스트→이행 흐름을 구체적 Gantt 차트로 제시
9 비용 및 ROI 효과 정리 - 단순 견적이 아니라, 구축 후 OPEX 절감 효과까지 수치로 설명
10 기술지원 체계 설명 - 장비 공급 이후, 기술 지원 체계(24x7 Helpdesk, 현장 기술자 파견 등) 명확화

2. STP 장비 경쟁사 비교표 작성 예시

(Huawei vs Ericsson vs Nokia)

비교 항목Huawei STPEricsson STPNokia STP
제품명 Huawei UGW9811(STP 기능 포함) Ericsson IP-STP Nokia NetAct STP
처리 능력 2,000~3,000 CPS 2,500~3,500 CPS 2,200~3,200 CPS
MPS 최대 처리량 약 30,000 MPS 약 40,000 MPS 약 35,000 MPS
고가용성 구성 Active-Standby 지원
Cluster 구성 가능
Active-Active / Active-Standby 모두 지원 Active-Active 최적화
SS7/IP 연동 SS7, SIGTRAN 모두 지원 SS7, SIGTRAN 모두 지원 SS7, SIGTRAN 모두 지원
보안 기능 기본 SS7 필터링 SS7 Firewall 옵션 SS7 Firewall 기본 탑재
OAM 기능 CLI 중심
GUI 제공 제한적
CLI+GUI 완전 지원 CLI+GUI 완전 지원
확장성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로 확장 가능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모두 유연 확장 클라우드 기반 vSTP 확장 지원
국내/해외 레퍼런스 주로 아시아, 아프리카 사업자 중심 북미, 유럽, 아시아 Tier1 사업자 다수 유럽, 북미 강세, 일부 아시아 확대 중
강점 비용 경쟁력, 빠른 구축 안정성, 글로벌 검증 사례 가상화 최적화, 5G Core 연동 최적
약점 정책 리스크(미국 제재 가능성) 가격 상대적으로 높음 구축 복잡성 존재

최종 요약

■ RFP 응답 시에는 "요구사항 정확 대응 + 수치 증명 + 구축 안정성"을 모두 갖춰야 경쟁력이 높아집니다.

■ 장비 경쟁 분석에서는 "성능/보안/확장성"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사업자에게 비용 대비 최적 선택이 되도록 포지셔닝 해야 합니다.


 

 

 

 

NetNumber의 STP 솔루션을 포함하여 주요 STP(신호 전송 지점) 장비 제조업체들의 제품을 비교한 표를 아래에 정리하였습니다.GlobeNewswire+1PRWeb+1


📊 STP 장비 비교표: NetNumber vs BroadForward vs Enghouse vs Ribbon vs Oracle

항목 NetNumber
TITAN STP
BroadForward
Next Generation STP
Enghouse
Dialogic DSI STP
Ribbon Communications
DSC 8000 / DSC SWe
Oracle
EAGLE STP / vSTP
제품 유형 소프트웨어 기반 STP 100% 소프트웨어 기반 STP 하드웨어 기반 STP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반 STP/DSC 하드웨어 STP 및 가상화 STP (vSTP)
지원 프로토콜 SS7 (TDM, SIGTRAN), Diameter, SIP, ENUM, DNS SS7, Diameter, SIP, HTTP SS7 (TDM, SIGTRAN) SS7, Diameter, SIP, HTTP SS7, Diameter, SIP, HTTP
확장성 다양한 환경 지원 (COTS, NFV, 클라우드) 베어메탈, VM, 컨테이너, 클라우드 등 다양한 환경 지원 중소 규모 네트워크에 적합 대규모 네트워크에 적합 (최대 4,536 SS7 링크) 대규모 네트워크 및 클라우드 환경에 적합
보안 기능 SS7 방화벽, GTT, 오버로드 보호 등 고급 보안 기능 SS7 방화벽, GTT, 오버로드 보호 등 고급 보안 기능 기본적인 SS7 필터링 SS7 방화벽, GTT, Gateway Screening 등 고급 보안 기능 SS7 방화벽, GTT, Gateway Screening 등 고급 보안 기능
운영 관리(OAM) 중앙 집중식 관리, GUI 및 CLI 제공 GUI 기반 중앙 관리, 스크립트 불필요 CLI 기반 관리 도구 제공 통합 관리 시스템 제공 통합 관리 시스템 제공
가상화 지원 완전한 가상화 및 클라우드 네이티브 지원 완전한 가상화 및 클라우드 네이티브 지원 제한적 DSC SWe를 통한 가상화 지원 vSTP를 통한 완전한 가상화 지원
주요 특징 다중 프로토콜 통합, 유연한 배포 옵션, 미래 지향적 설계 다중 프로토콜 통합, 유연한 배포 옵션, 미래 지향적 설계 비용 효율적인 솔루션 고성능, 고확장성, 보안 기능 강화 고성능, 고확장성, 클라우드 네이티브 지원
적합한 환경 다양한 규모의 통신사 및 클라우드 환경 다양한 규모의 통신사 및 클라우드 환경 중소 규모 통신사 대규모 통신사 및 클라우드 환경 대규모 통신사 및 클라우드 환경

요약:

  • NetNumber의 TITAN STP는 다양한 프로토콜 지원과 유연한 배포 옵션을 제공하며,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 적합한 미래 지향적 설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 BroadForward의 Next Generation STP는 100%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다양한 환경에 유연하게 배포할 수 있으며, 고급 보안 기능과 다중 프로토콜 지원을 제공합니다.
  • Enghouse의 Dialogic DSI STP는 중소 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한 비용 효율적인 솔루션입니다.
  • Ribbon Communications의 DSC 8000 / DSC SWe는 고성능과 고확장성을 제공하며, 보안 기능이 강화되어 대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합니다.
  • Oracle의 EAGLE STP / vSTP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을 지원하며, 가상화된 네트워크에 적합한 고성능 솔루션입니다.

각 제품의 선택은 귀사의 네트워크 규모, 가상화 요구사항, 보안 필요성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기술 사양이나 가격 정보가 필요하시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출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