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Google LaMDA,Google LaMDA
aiproductmanager
2025. 6. 14. 20:20
728x90
반응형
Google LaMDA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 Google LaMDA 입니다.
🧠 Google LaMDA (Language Model for Dialogue Applications) 개요
항목 | 내용 |
개발사 | Google Research (특히 Brain 팀) |
출시 | 최초 발표: 2021년 Google I/O |
기반 기술 | Transformer 계열 초거대 언어 모델 (GPT 유사 구조) |
목적 | 자연스러운 자유 대화를 위한 특화 모델 |
차별점 | 단일 정답 대신 다양한 맥락과 의미 있는 대화 흐름 생성 |
🔍 주요 특징
1. 멀티턴 대화 (Multi-turn Conversation) 이해
- 단순한 질문-응답(QA)을 넘어 연속된 문맥과 주제 전환을 파악함
- 예: "파리 여행 좋아해?" → "거기서 에펠탑 말고 또 뭐 볼 수 있을까?"도 맥락 유지 가능
2. 오픈 도메인(Open Domain) 대화 가능
- 날씨, 음식, 우주, 철학 등 주제를 제한하지 않고 다양한 영역을 자연스럽게 처리
3. 사실 기반 검증 노력
- 2022년부터 Fact-checking 시스템과 통합되어 헛소리(hallucination)를 줄이기 위한 노력 진행
4. 대화의 ‘의미’와 ‘흥미로움’을 추구
- 단순 정확성보다 “이 대답은 흥미로운가?”, “상대와 이어질만한 대화인가?”를 중심으로 설계됨
🤖 활용 사례
서비스 | 설명 |
Bard | Google이 LaMDA 기반으로 개발한 AI 챗봇, 2023년 이후 Gemini 모델로 대체 |
Dialogflow/Vertex AI | 일부 기능이 Google Cloud의 챗봇 솔루션에 통합됨 |
AI 윤리 논란 | 2022년, Google 직원이 "LaMDA는 의식이 있다" 주장 후 해고되며 윤리적 AI 논쟁 촉발 |
🆚 비교: LaMDA vs GPT
항목 | LaMDA | GPT (OpenAI) |
대화 유지력 | 문맥 유지에 강점 (멀티턴 처리 우수) | 최근 GPT-4로 강화됨 |
지식 정확도 | 내부 지식 기반 + 검증 시스템 연동 | GPT는 업데이트 주기에 따라 정체 가능 |
API/접근성 | 제한적 (일반 사용자용은 Bard로 공개됨) | OpenAI는 API로 개방적 |
의식성 논란 | 실제 논쟁 존재 (의식 주장 사건) | GPT는 공식적으로 의식 없음 |
📌 최신 상황 (2025년 기준)
- Google은 현재 Gemini 시리즈(Gemini 1.5 Pro 등)를 중심으로 AI 전략을 전개 중
- LaMDA는 Bard 초기 버전에 사용되었지만, Gemini 모델로 완전히 전환
- LaMDA는 현재 연구용으로만 유지, 일반 서비스에서는 사용되지 않음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 구독 과 ❤️ 좋아요 꾸우욱 눌러 주세요!🙏
그리고 💖커피 ☕, 💚차 🍵, 💛맥주 🍺, ❤️와인 🍷 중 마음에 드시는 한 잔으로 💰 후원해 주시면 큰 힘이 됩니다.
👇 지금 바로 아래 🔘버튼을 꾸욱 눌러 📣 응원해 주세요! 👇
728x90
반응형